지표로 확인된 코로나發 美경제 충격…"4월 더 악화"

3월 소매판매액 8.7% 감소…사상 최대폭
산업생산, 2차 세계대전 이후 최악

[더구루=홍성환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로 인한 미국 실물 경제 충격이 경제 지표상으로 확인됐다. 3월 소매판매액은 사상 최대 하락 폭을 기록했고, 산업생산은 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미국 시장 상황 변화에 따라 진출 전략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왔다.

 

 

◇ 미국 3월 소매판매액, 사상 최대 폭 하락

 

25일 코트라 뉴욕무역관이 내놓은 '미국, 코로나19 위기에 따른 실물경제 충격 가시화' 보고서를 보면 3월 미국의 소매판매액은 전월 대비 8.7% 감소, 1992년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후 가장 큰 하락 폭을 기록했다. 전년 같은 때보다는 6.2% 감소했다. 지난달부터 미국 주요 지역의 상업 시설 폐쇄가 시작되면서 전문가 예상치(-8.0%)를 웃돌았다.

 

외출 제한 등 사회적 거리두기 움직임으로 식품, 휴지, 청소 도구, 의약품 등 수요가 급등하면서 온라인 소매점, 식료품 매출이 증가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소매점 매출은 크게 줄었다.

 

식품 및 음료 소매점 판매액은 전월 대비 25.6% 증가했다. 잡화점, 건강 및 개인 관리 용품 매장 매출은 각각 6.4%, 4.3% 늘었다. 아마존 등 온라인 사이트를 포함하는 비점포매장의 판매는 3.1% 늘었다.

 

반면 의류 및 액세서리 매장 매출은 50.5% 하락했다. 가구 및 홈퍼니싱 매출은 26.8% 감소했다. 이외에 식품 및 음료 서비스, 자동차 및 부품, 스포츠 및 취미 용품 매출은 20% 넘게 감소했다.

 

코트라 뉴욕무역관은 "식료품점, 약국 등 필수 소매점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비즈니스가 문을 닫고 직원들을 무급 휴직 또는 정리 해고를 당했다"며 "따라서 소비자들의 가처분 소득 감소가 소매판매액 급락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에서 3월 말까지는 대부분의 비즈니스가 정상 운영됐기 때문에 3월 경제지표는 코로나19의 경제적 타격을 모두 반영하지 않았다"며 "4월 이후 경제 셧다운이 본격화됐기 때문에 경제지표는 더욱 악화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 '코로나19·에너지 시장 충격'으로 산업활동 대폭 둔화

 

3월 미국 공급관리자협회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9.1%로 한 달 전보다 1%포인트 낮아졌다. PMI는 매월 400개 이상 기업의 경영진을 상대로 생산, 주문, 공급, 재고 등을 설문한 결과로, 경제성장률의 선행지표로 꼽힌다. PMI가 50 이상이면 경제 성장을, 50 이하이면 경기 위축을 의미한다.

 

코트라 뉴욕무역관은 "코로나19 팬데믹과 에너지 시장 변동성 증대가 구매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끼쳐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가 경기 위축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신규주문지수는 42.2%로 전월보다 7.6% 포인트 감소했고, 수입지수는 42.1%로 0.5%포인트 줄었다. 생산지수와 고용지수는 각각 2.6%포인트, 3.1%포인트 하락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발표한 3월 미국의 산업생산은 2월 대비 5.4% 대폭 감소해 74년 만에 가장 큰 폭 하락을 기록했다. 1946년 1월 5.6% 하락을 보인 이후 가장 큰 폭 하락이다. 2차 세계대전 종료 직후 미국 산업이 전시물자 생산에서 소비재 생산으로 전환되기 시작하면서 산업 생산이 대폭 감소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근로자 보호를 위해 자동차, 항공기 등 대부분의 공장에서 작업이 중단되거나 글로벌 물류 차질 및 수요 감소로 생산활동이 둔화했다. 또 유가 하락과 여행 급감에 따른 수요 감소는 에너지 부문의 부진을 가져와 광업과 유틸리티 생산량이 각각 2.0%, 3.9% 감소했다.

 

 

코트라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식품 및 음료 소매, 건강 및 개인 관리 용품, 온라인 판매 매출이 상승하는 등 성장 분야가 존재해 시장 상황에 따른 진출 전략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어 "비즈니스가 재개되더라도 당분간 소비자들은 사람과 직접 대면하는 매장 방문보다 바이러스 감염 위험 없고 편리한 온라인 구매 및 서비스 이용을 선호하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며 "따라서 온라인 판매와 소비자 직접 판매는 향후 더욱 중요한 유통 방식으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관련기사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