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가 플래그십 전동화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EV9’을 앞세워 유럽 자동차 시장 전동화 선도 브랜드로 입지를 공고히 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지난달 15일(월, 현지시간)부터 보름에 걸쳐 독일에서 개최한 ‘기아 브랜드 써밋(The Kia Brand Summit)’을 통해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등 유럽 주요 20여개국 미디어를 대상으로 유럽향 EV9을 처음 공개하고 유럽 시장 중장기 전동화 전략을 발표했다. 기아 브랜드 써밋은 기아 전동화 라인업을 대표하는 EV9의 유럽향 모델을 현지에서 최초 공개하는 한편, 전동화 브랜드로의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기아의 비전을 유럽 시장에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원정 기아 유럽권역본부장(전무)은 “기아는 시장의 판도를 바꾸고 있는 전기차(EV)와 고객 경험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의 바탕이 되고 있는 혁신적인 커넥티드 서비스를 선보이며 유럽 현지에 짜릿한 순간을 선사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기아는 한국 브랜드 사상 처음으로 ‘유럽 올해의 자동차(COTY)’에 오르며 현지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만들어 온 첫 전용 전기차 EV6에 이어 현대차그룹 전용전기차 플랫폼 E-
[더구루=길소연 기자] 아시아조선의 마셜 군도를 위한 화물선 건조가 순항 중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아시아조선은 최근 마셜군도의 요구에 부합하는 화물선 '퍼시픽 아일랜드 서플라이 배슬'(Pacific Island Supply Vessel)의 선체 번호 ASB – 1245 용골거치식을 가졌다. 용골거치식은 목재선박을 건조하던 시대에 선박의 바닥 중앙에서 선체를 버티는 장대한 골조역할을 하는 용골에 특정인의 이름 첫 글자를 새겨 넣어 용골이 제대로 설치됐음을 인증하는 의식과 같다. 배의 선수에서 선미까지의 바닥을 받치는 중심 뼈대인 용골을 놓는 과정을 의미한다. 지금의 선박 건조공법에선 미리 만든 선체 블럭을 도크에 앉히는 공정을 말한다. 용골 거치식에는 아시아조선 경영진과 코스텍 경영진, 한국선급, IRI(International Registries Incorporated), 한국조선기자재연구원(KOMERI), 거제시청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마셜제도 측에서는 키틀랭 카부아(Kitlang Kabua) 마셜제도 외교장관과 알본 이쇼다(Albon Ishoda) 주한 마셜군도 대사 등이 함께했다. 키틀랭 카부아 장관은 "이번 용골 배치는 기존 엔진 추진 선박에서…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테슬라를 제치고 글로벌 완성차 업체 영업이익률 '톱3'에 올랐다. 고가 모델 중심 판매와 더불어 낮은 고정비를 유지한 데 따른 결과다. 4일 독일 컨설팅 회사 에른스트 앤 영(EY)에 따르면 기아는 올해 1분기(1~3월) 영업이익률 12.1%를 기록했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 중 세 번째로 높은 수치이다. 상대적으로 고가인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중심 판매를 토대로 이 같은 성과를 달성했다. 통상 차 값이 비쌀수록 더 많은 이익이 남기 때문이다. 낮은 고정비 또한 영업이익률 향상에 기여했다. 인건비 등 고정비 비중이 매출액 대비 6.7%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오는 2025년 본격적인 전기차 가격 경쟁 시대 기아의 활약이 기대되는 이유다. 특히 기아는 지난해 4분기 1위를 차지했던 테슬라를 제쳤다. 테슬라는 같은 기간 영업이익률 11.4%를 나타냈다. 테슬라 고정비는 기아 3배 수준인 17.6%로 집계됐다. 평균판매가(ASP)는 4만 6000달러(한화 약 6090만 원)로 기아(2만4800달러)보다 2배 높았으나 매출 총이익률은 기아(22.7%)보다 1.6%p 뒤처진 21.1%를 기록했다. 1위는 메르세데스-벤츠가 차지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기업 전문 자문 회사 '실리콘 파운드리(Silicon Foundry)'가 중동·아프리카 시장으로 발을 넓힌다. 아랍에미리트(UAE) 정부와 협력해 현지 기업 유치 활동을 돕는다. [유료기사코드] 6일 실리콘 파운드리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두바이에 중동·북아프리카(MENA) 지역 본부를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두바이 국제금융센터(DIFC), 알지에이벤처스(R/GA Ventures)와의 파트너십 일환이다. 실리콘 파운드리는 DIFC, 알지에이벤처스와 함께 DIFC의 '스튜디오 런치패드' 프로젝트를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스튜디오 런치패드는 DIFC가 성장성이 높은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선도적인 벤처 기업을 두바이에 유치하기 위해 진행중인 이니셔티브다. 실리콘 파운드리와 알지에벤처스는 두바이에 1만5000평방피트 규모 시설에 입주할 예정이다. 글로벌 네트워크와 폭넓은 경험을 바탕으로 이 곳에서 기업인, 연구원, 기업 파트너, 투자자 등과 함께 다양한 자문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2013년 설립된 실리콘 파운드리는 샌프란시스코에 본사가 있으며 뉴욕, 로스앤젤레스, 오스틴 등에 지사를 두고 있다. SK하이닉스, SK이노베이션, 사우스웨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와 루프트한자테크닉의 합작사 'AERQ'가 항공기 좌석용 디스플레이의 안전성을 입증했다. 안전에 대한 신뢰를 확보하며 경쟁력을 강화, 글로벌 시장 내 입지를 확대할 수 있을 전망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AERQ는 독일 장거리 레저노선 전문 항공사 '유로윙스 디스커버'의 에어버스 A320 항공기 내 좌석 등받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대한 머리 상해 수준(HIC) 테스트에서 합격점을 받았다. HIC는 사고 발생시 인체가 머리에 받게 될 충격을 수치화한 것이다. 항공기에 설치되는 부품·장비들이 받아야 할 주요 안전 인증 중 하나다. AERQ는 올 3월에도 국제 항공우주 산업 주요 품질 인증인 'AS 9100와 'EN 9100’를 확보한 바 있다. 설계, 개발, 설치,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공급망 전반에 대한 품질이 보장된 셈이다. AS·EN 9100은 국제항공품질협회(IAQG)가 항공, 우주, 방위 분야에서 요구되는 안전성, 신뢰성, 특수요건을 반영해 제정한 국제 표준 규격이다. 항공산업 진출에 필수적인 인증으로 AS는 북미, EN은 유럽용이다. <본보 2023년 3월 16일 참고 'LG·루프트한자 합작' AERQ, 항공산업 글
[더구루=오소영 기자] 일본 파나소닉이 2022~2024년 투자비 중 3분의 1을 전기차 배터리에 투입한다. 북미에 추가 거점을 짓고 2030년까지 연간 200GWh의 생산체제를 갖춘다. 공격적인 설비 투자를 앞세워 한·중 기업들과 전면전을 선언했다. [유료기사코드] 6일 카워치 등 일본 매체에 따르면 파나소닉은 지난달 18일(현지시간) 기업 전략 설명회에서 2022~2024년 1조8000억엔(약 16조930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6000억엔(약 5조6430억원)은 주로 전기차 배터리 사업에 쓴다. 유키 쿠스미 파나소닉 CEO는 "대부분 캔자스 신공장 건설에 투입된다"고 설명했다. 파나소닉은 작년 11월 캔자스주 데소토에 원통형 배터리 공장을 착공했다. 투자액은 최대 40억 달러(약 5조2180억원)로 연간 생산능력은 30GWh다. 캔자스와 함께 일본 와카야마 공장에서 테슬라향 4680 배터리를 양산한다. 4680 배터리는 지름 46㎜, 길이 80㎜로 기존 2170 제품 대비 용량은 5배, 출력은 6배 좋다. 파나소닉은 당초 올해 4월에서 2024년 3월 사이 4680 배터리를 양산할 계획이었으나 최근 생산 시점을 2024년 4~9월로 연기했다. 파나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얀마 정부가 현지 전기차 시장 확대를 위해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중장기 로드맵을 토대로 전기차 보급과 현지 인프라 조성에 나섰다. 다만 전력 부족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시기상조라는 우려가 나온다. 6일 코트라 등 업계에 따르면 미얀마 전기차 산업개발위원회는 지난 2월 산업 육성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을 내놨다. 오는 2025년까지 수입 완성차를 중심으로 전기차 보급을 시작하겠다는 내용이 골자다. 해당 기간 차종별 등록 차량 14%를 전기차로 교체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원활한 도입을 위해 관세도 면제하기로 했다. 이번 로드맵에 따라 전기차 수입과 보급이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현재 전기차 수입 허가를 받은 현지 업체는 총 31개사다. 이 중 9개사는 중국 등으로부터 차량을 반입해 공급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비야디(BYD) 모델 E2가 양곤 국제공항 및 네피도에서 시범 운행될 전기 택시용으로 공급됐다. 양곤시 버스 운수업체 18개사 중 2곳도 중국산 전기버스를 도입해 운용할 계획이라고 밝힌 상태다. 전기차 인프라도 조성되고 있다. 양곤시 중앙역과 띠리 밍글라 시장(Thiri Mingalar Market)에는 전기차 충전
[더구루=홍성일 기자] 기아자동차가 5월 스페인 승용차 시장에서 판매량 '톱5'에 포함됐다. 현대자동차도 6위에 올라 현대차와 기아의 월간 판매대수는 1만대를 넘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5월 스페인에서만 6227대를 판매해 전체 브랜드 중 5위에 안착했다. 현대차는 5765대로 6위에 올랐다. 5월 스페인 승용차 시장 판매량 1위 브랜드는 7842대를 판매한 토요타였다. 그 뒤를 △푸조(6689대) △르노(6638대) △폭스바겐(6540대)가 이었다. 기아차의 톱5 안착을 이끈 모델은 준중형 SUV 스포티지다. 스포티지는 5월 한달 동안 1830대가 판매돼 베스트셀링카 8위에 올랐다. 현대차도 1772대가 판매된 투싼이 판매를 이끌었다. 투싼의 베스트셀링카 순위는 스포티지에 이은 9위였다. 같은 기간 스페인에서 단일모델로 가장 많이 판매된 차량은 2813대를 판매한 다치아 산데로였으며 그뒤를 △르노 클리오(2397대) △푸조 208(2180대) △세아트 아로나 (1989대) △토요타 코롤라(1980대) 순이었다. 5월 스페인 승용차 시장에서는 총 9만2025대가 판매되며 전년동기 대비 5.3%가 증가했다. 2023년 누적판매대수는 40만4337대로…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가 그리스 국책 사업을 수주했다. 학교에 대규모 전자칠판을 공급하며 글로벌 디스플레이 경쟁력을 입증했다. 6일 LG전자에 따르면 그리스법인은 정부의 '대화형 학습 시스템 공급·설치' 프로젝트 일환으로 그리스 전역 3만6000개의 학교에 전자칠판을 납품한다. 지난 4월을 시작으로 순차 설치하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코로나 시대 이후 그리스 경제 회복을 위한 '그리스 국가재건계획(Greece 2.0)' 일환이다. 교육 부문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대화형 학습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전자칠판을 도입하고 있다. 유럽연합(EU)으로부터 약 1억4800만 유로(약 2075억원)의 자금을 지원받아 진행된다. LG전자는 △86TR3DK △75TR3DK △65TR3DK △55TR3DK 등 인터렉티브 전자칠판 4개 모델을 공급한다. 이 제품은 화면 내 간단한 조작만으로 칠판, 영상, 프레젠테이션 자료 등으로 간편하게 전환하고 도형, 도표 등 다양한 교육용 템플릿을 제공해 효율적인 수업 진행을 돕는다. 탑재된 ‘LG 크리에이트보드 쉐어'앱을 활용하면 최대 9개의 화면(86인치 모델 기준)을 동시에 보며 수업 중 학생들의 결과물을 공유할 때 유용하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피드몬트 리튬이 이달 북미와 유럽에서 리튬 광산 개발 청사진을 공유한다. 오는 3분기부터 북미산 리튬 인도에 돌입하며 LG화학의 수혜가 예상된다. [유료기사코드] 6일 피드몬트 리튬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1일 미국 키뱅크가 주최한 '2023 산업·기본재료 컨퍼런스'에 참가했다. 이 행사는 소재 산업 현황과 기술 등을 논의하는 자리다.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 열렸다. 이날 피드몬트 리튬은 사업 계획을 공유했다. 피드몬트 리튬은 오는 3분기 호주 사요나마이닝과의 합작사 사요나 퀘벡에서 스포듀민 농축액을 처음 인도한다. 2025년 가나 에워야 리튬 프로젝트에서 스포듀민 농축액 생산에 돌입하고, 2026년부터 테네시에서 수산화리튬을 양산한다. 이듬해 노스캐롤라이나에 위치한 캐롤라이나 리튬 프로젝트에서 스포듀민 농축액과 수산화리튬 생산을 시작한다. 피드몬트 리튬은 향후 북미와 유럽 등에서 열리는 다양한 행사에 참여해 이 같은 청사진을 소개할 예정이다. △6일 TD코웬의 지속가능성 주간 △6일 클락슨 배터리 가치사슬 컨퍼런스 △8~9일 벤치마크 배터리 기가팩토리스 USA △13일 BOA 가상 리튬의 날 △15~16일 에버코어 글로벌 청정에너
[더구루=홍성환 기자] 세계 최대 팜유 생산국인 인도네시아가 자체적인 팜원유(CPO) 거래소를 신설한다. 내수와 수출의 공급 가격을 조절하는 동시에 국제적으로 팜유 수출국 위상을 강화하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6일 코트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무역관의 '인도네시아 팜유 거래소 신설 계획'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정부는 이달 팜유 거래소와 기준 가격 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다. 거래소는 상품선물거래감독원(BAPPEBTI) 산하에 설치된다. 인도네시아는 팜유 최대 생산국이자 최대 수출국이다. 지난해 기준 생산량은 4500만t, 수출량은 2850만t에 이른다. 다만 국제 팜유 거래소에서 네덜란드 로테르담 상품거래소와 말레이시아 거래소의 가격을 사용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오래 전부터 팜원유에 대한 기준 가격 시스템 도입을 추진했다. 하지만 관련 인프라가 부족하고 인도네시아에 CPO 선물 거래 제도가 없어 말레이시아 지수를 벤치마크로 사용했다. 팜유 거래소가 신설되면 거래되는 상품은 가공되지 않은 팜원유이며, 인도네시아 내 거래 상품은 제외된다. 팜원유를 수출하려는 기업은 거래소 진입과 수출 허가를 받기 전에 국내 공급 의무 비율을 달성해야한다. 인도네시아는 지난
[더구루=홍성환 기자] 인도네시아에서 폴리우레탄 수요가 주요 산업의 성장에 힘입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우리 수출 기업의 판로 확대가 기대된다. 6일 코트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무역관의 '인도네시아 폴리우레탄 시장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인도네시아 폴리우레탄 소비량은 1만2645t으로 전년 대비 46% 증가했다. 건설·자동차 산업 성장과 가정·기업의 단열재 사용 증가, 섬유유리 강화 플라스틱 등 복합소재 인기 등의 요인으로 폴리우레탄 제품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폴리우레탄은 플라스틱 소재의 일종으로 탄성·내마모성·가공성이 우수해 산업·소비재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고분자 화합물이다. 지난해 인도네시아의 폴리우레탄 수입액은 7527만 달러(약 1000억원)로 전년 대비 42.9% 늘었다. 주요 수입국은 중국과 베트남, 한국, 일본 순이다. 한국 폴리우레탄 수입액은 1671만 달러(약 220억원)로 세 번째로 많았다. 점유율은 22.2%를 기록했다. 인도네시아의 폴리우레탄 관련 제품 유통은 B2B 형태로 이뤄진다. 수입·유통사가 폴리우레탄을 현지 제조업체나 도매업체에 판매하는 구조다. 제품에 따라 건축자재점, 산업용품점 등 폴리우레탄 관련 상품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기업 전문 자문 회사 '실리콘 파운드리(Silicon Foundry)'가 중동·아프리카 시장으로 발을 넓힌다. 아랍에미리트(UAE) 정부와 협력해 현지 기업 유치 활동을 돕는다. [유료기사코드] 6일 실리콘 파운드리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두바이에 중동·북아프리카(MENA) 지역 본부를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두바이 국제금융센터(DIFC), 알지에이벤처스(R/GA Ventures)와의 파트너십 일환이다. 실리콘 파운드리는 DIFC, 알지에이벤처스와 함께 DIFC의 '스튜디오 런치패드' 프로젝트를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스튜디오 런치패드는 DIFC가 성장성이 높은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선도적인 벤처 기업을 두바이에 유치하기 위해 진행중인 이니셔티브다. 실리콘 파운드리와 알지에벤처스는 두바이에 1만5000평방피트 규모 시설에 입주할 예정이다. 글로벌 네트워크와 폭넓은 경험을 바탕으로 이 곳에서 기업인, 연구원, 기업 파트너, 투자자 등과 함께 다양한 자문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2013년 설립된 실리콘 파운드리는 샌프란시스코에 본사가 있으며 뉴욕, 로스앤젤레스, 오스틴 등에 지사를 두고 있다. SK하이닉스, SK이노베이션, 사우스웨
[더구루=오소영 기자] 일본 파나소닉이 2022~2024년 투자비 중 3분의 1을 전기차 배터리에 투입한다. 북미에 추가 거점을 짓고 2030년까지 연간 200GWh의 생산체제를 갖춘다. 공격적인 설비 투자를 앞세워 한·중 기업들과 전면전을 선언했다. [유료기사코드] 6일 카워치 등 일본 매체에 따르면 파나소닉은 지난달 18일(현지시간) 기업 전략 설명회에서 2022~2024년 1조8000억엔(약 16조930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6000억엔(약 5조6430억원)은 주로 전기차 배터리 사업에 쓴다. 유키 쿠스미 파나소닉 CEO는 "대부분 캔자스 신공장 건설에 투입된다"고 설명했다. 파나소닉은 작년 11월 캔자스주 데소토에 원통형 배터리 공장을 착공했다. 투자액은 최대 40억 달러(약 5조2180억원)로 연간 생산능력은 30GWh다. 캔자스와 함께 일본 와카야마 공장에서 테슬라향 4680 배터리를 양산한다. 4680 배터리는 지름 46㎜, 길이 80㎜로 기존 2170 제품 대비 용량은 5배, 출력은 6배 좋다. 파나소닉은 당초 올해 4월에서 2024년 3월 사이 4680 배터리를 양산할 계획이었으나 최근 생산 시점을 2024년 4~9월로 연기했다. 파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