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우주기업 액시엄 스페이스(Axiom Space)가 우주에서 반도체 칩 소재 생산을 추진한다. 이 과정에서 TSMC 등 대만 반도체 업체들의 참여도 요청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대만 매체 포커스 타이완(Focus Taiwan)에 따르면 액시엄 스페이스 경영진은 최근 대만을 방문해 우주에서 특정 반도체 재료를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했다. 구체적으로 액시엄 스페이스는 TSMC 등 대만 기업들과 협력해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초기 실험을 진행할 것을 제안했다. 오는 2030년 이후에는 액시엄 스페이스의 상업용 스테이션으로 전환할 계획이며, 성공적인 실험이 이뤄질 경우 본격적인 생산으로 이어지는 확장 가능한 프로세스를 구상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어떤 물질을 생산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현지 업계에선 반도체 칩 기본 기판에 쓰이는 실리콘, 질화갈륨, 갈륨 비소 같은 단결정 물질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 코이치 와카타 액시엄 스페이스 아시아태평양 최고기술책임자(CTO)는 반도체 제조를 개선할 수 있는 미세 중력과 진공 환경의 잠재력을 강조했다. 이러한 조건이 결함 없는 결정 성장을 가능하게 해 중
[더구루=홍성환 기자] 스위스 바이오 기업 로이반트사이언시스(Roivant sciences)가 자회사 이뮤노반트(Immunovant)에 약 5000억원 규모 실탄을 충전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따르면 로이반트사이언시스는 지난 13일(현지시간) 이뮤노반트 주식 1684만5010주를 매수했다. 매입가는 주당 20달러로, 총투자액은 3억3690만 달러(약 4910억원)에 이른다. 지분율은 56.9%다. 또 이뮤노반트는 같은 날 3개 기관투자자로부터 4억5000만 달러(약 6600억원) 규모 상장지분사모투자(PIPE)를 유치했다. 기관투자자 3곳에 주당 20달러 가격으로 2250만주를 매각했다. 이뮤노반트는 로이반트사이언시스가 자가면역질환 치료 항체신약 'HL161(물질명 바토클리맙)'의 글로벌 임상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지난 2018년 설립한 자회사다. 이뮤노반트가 개발 중인 HL161ANS(IMVT-1402)은 자가면역질환 항체치료제 후보물질이다. △그레이브스병(GD) △류마티스관절염(RA) △중중증근무력증(MG) 등 치료제로 쓰일 수 있는 후보물질이다. 1분기 중으로 4~5개 적응증에 대한 IMVT-1402 임상을 시작할 예정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프랑스 선급 뷰로 베리타스(Bureau Veritas)가 스위스 선급 SGS와 합병을 추진한다. 선박 적합성 평가와 인증을 전문으로 하는 '공룡 선급'의 탄생이 예고된다. [유료기사코드] 17일 로이터와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BV와 SGS가 합병 논의에 돌입했다. 이들의 합병 가치는 300억 달러(약 43조7000억원) 규모로 평가된다. 합병 관련 최종 세부 사항은 조만간 발표될 전망이다. 런던 증권거래소(LSEG) 데이터에 따르면 BV의 시장 가치는 132억 3000만 유로(약 19조8500억원)다. SGS의 가치는 약 174억 스위스 프랑(약 27조8000억원)이다. BV와 SGS의 합병이 성사될 경우 영국 인터텍(Intertek)과 프랑스 유로핀스(Eurofins) 등의 경쟁사는 물론 노르웨이 선급 DNV에 비길 만한 거대 선급으로 거듭난다. DNV는 지난 2013년 노르웨이의 국제 공인 등록기관인 노르셰 베리타스 (Norske Veritas)와 독일 게르마니셔 로이드(Germanischer Lloyd)가 합병해 탄생했다. 2021년 DNV GL에서 DNV로 사명을 변경했다. 다만 이번 합병 논의가 합의로 이어진다는 보
[더구루=오소영 기자] 에스토니아 연료전지 기업 엘코젠이 현지 국부펀드 '스마트캡(SmartCap)'으로부터 투자를 받았다. HD현대와 미국 베이커 휴즈(Baker Hughes)에 이어 추가 투자자를 모집하며 성장 동력을 마련했다. 조달 자금을 활용해 탈린 신공장 구축에 매진하고, 연료전지 부품 생산을 확대한다. [유료기사코드] 엘코젠은 16일(현지시간) 스마트캡으로부터 500만 유로(약 75억원)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스마트캡은 에스토니아 정부가 스타트업 발굴을 위해 2007년 신설한 '에스토니아 개발펀드(EDF)'의 자회사로 출발했다. 온라인 농장 관리 솔루션 업체인 바이탈필즈와 가상 피팅룸 서비스 개발 기업인 피츠미 등에 투자했다. 특히 그린테크 기업에 관심이 많다. 유망한 그린테크 기업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스마트캡 그린 펀드(SmartCap Green Fund)'를 운용하고 있다. 이번 엘코젠 투자도 그린테크 기업 육성의 일환이다. 엘코젠은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 핵심부품인 셀(단위전지)과 그 집합체인 스택을 제조하는 글로벌 강소기업이다. 2001년 설립돼 영국에 사무소, 핀란드·에스토니아에 제조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30개국 160여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전기차 전용 공장 '팩토리 제로' 가동을 일시 중단하고 도장 시설을 업그레이드한다. 올해 전기차 라인업을 확장하는 가운데 신차 출시 준비에 박차를 가한다. [유료기사코드] 16일 GM 전문소식지 'GM 오소리티(GM Authority)'에 따르면 GM 대변인은 최근 이 매체에 "팩토리 제로는 미래 생산을 지원하기 위한 도장 공장 업그레이드를 위해 1월 2일부터 2월 3일까지 생산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GM은 도장 공장 시설 설비 개선 작업을 통해 최신 도장 기술을 도입, 생산 효율성과 품질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2025년형 전기차 신모델 출시를 앞두고 대량 생산에 착수하기 전 설비를 보완하는 것이다. GM은 올해 △볼트 EV △이쿼녹스 EV △블레이저 EV △실버라도 EV △허머 EV 등 전기차의 2025년형 모델을 새롭게 선보일 계획이다. 이중 볼트 EV는 화재 사고에 따른 대규모 리콜 여파로 인해 판매가 중단됐으나 올해 재출시될 예정이다. 팩토리 제로는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 위치한 GM의 첫 전기차 전용 공장이다. GM은 지난 2021년 햄트랙 조립공장을 전기차 생산시설로 전환하고 이름을 팩토리 제로
[더구루=김형수 기자] 맥도날드가 1년 만에 세컨 브랜드 코스맥스(CosMc’s) 사업을 대폭 축소한다. 사실상 사업 철수 수순에 들어간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맥도날드가 코스맥스 사업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는 미국 대형 코스맥스 매장을 순차적으로 정리한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업계에 따르면 맥도날드는 올해 코스맥스 전체 매장 7개 가운데 3곳을 폐점한다. 텍사스주에 맥도날드 매장을 리뉴얼하는 방식으로 조성한 코스맥스 점포 운영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자 이들 매장의 운영 종료를 결정했다. 업계에서는 기존 맥도날드 매장을 새단장하면서까지 코스맥스 점포를 출점하며 사업 확대를 밀어붙인 것이 원인이라고 진단한다. 맥도날드는 지난 2023년 12월 미국 일리노이주 보일링브룩(Bolingbrook)에 1호점을 열고 사업을 본격화했다. 이후 기존 맥도날드 점포 리뉴얼를 통해 텍사스주에 진출하며 매장 숫자를 7개로 늘렸다. 코스맥스는 배달 중심의 음료 브랜드를 표방하고 있다. 사우어 체리 에너지 버스트(Sour Cheery Energy Burst)·츄로 콜브 브루 프라페(Churro Cold Brew Frappe)·아일랜드 픽미업 펀치
[더구루=진유진 기자] 사우디아라비아가 세계 최대 석유 기업 아람코(Aramco)와 국영 광업 기업 마덴(Ma’aden)의 합작회사(JV)를 설립하며 글로벌 리튬 공급망을 겨냥한 행보를 본격화했다. 이번 파트너십은 전기차(EV)와 전자기기 핵심 원료인 리튬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아람코와 마덴은 최근 "이번 파트너십은 합작회사를 통해 리튬 고농도 매장지에서 자원을 추출하는 동시에 비용 효율적인 직접추출기술(DLE)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며 "상업용 리튬 생산은 2027년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사우디아라비아 '비전 2030'과 맞닿아 있다. 사우디는 비전 2030을 통해 석유 의존도를 낮추고 광업 부문을 강화해 국내총생산(GDP) 기여도를 170억 달러(약 24조7660억원)에서 오는 2030년까지 640억 달러(약 93조2350억원)로 늘릴 계획이다. 현재 인산염·구리·금·보크사이트 등 미개발 광물 자원 가치가 2조5000억 달러(약 3640조원)로 추산되는데 이를 적극 개발하겠다는 목표다. 사우디는 이번 아람코-마덴 합작사를 통해 자국 광물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며, 글로벌 리튬 공급망
[더구루=정등용 기자] 북미 최대 폐배터리 재활용 업체 라이-사이클(Li-Cycle)의 IPO(기업공개) 인수 공모 가격이 공개됐다. 총 IPO 규모는 1500만 달러(약 220억원)로 예상된다. [유료기사코드] 16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라이-사이클의 IPO는 △액면가 없는 보통주 1주 △보통주 1주를 매입하기 위한 시리즈A 워런트 1주 △보통주 1주를 매입하기 위한 시리즈B 워런트 1주 등으로 구성된다. 각 시리즈A 워런트는 보통주 1주당 1.00달러의 가격으로 행사할 수 있다. 각 시리즈B 워런트는 특정 희석 방지 및 주식 결합 이벤트 보호에 따라 보통주당 1.00달러의 가격으로 행사할 수 있다. 시리즈A 워런트와 시리즈B 워런트 모두 즉시 행사할 수 있다. 만료 시점은 시리즈A 워런트가 최초 발행일로부터 8개월, 시리즈B 워런트는 5개월 되는 날이다. 라이-사이클은 이번 공모와 관련해 이지스 캐피털에 총 보통주의 최대 15%에 해당하는 추가 보통주, 시리즈A 워런트, 시리즈B 워런트를 45일 동안 구매할 수 있는 옵션을 부여했다. 이는 초과 배정이 있는 경우에만 공모에서 판매된 총 워런트의 최대 15%에 해당한다. 라이-사이클은 이번
[더구루=홍성일 기자] 최근 중국과 러시아 국적 선박들을 중심으로 해저케이블을 훼손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 중국 한 대학교 연구팀이 저렴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해저케이블을 절단할 수 있는 방법을 특허로 출원했던 사실이 밝혀졌다. [유료기사코드] 16일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에 따르면 2020년 1월 저장성 리수이대학교 연구팀은 '견인식 해저 케이블 절단 장치 및 케이블 절단 방법(Towed submarine cable cutting device and cable cutting method)' 특허를 출원했다. 해당 특허는 최종적으로 등록에는 실패했다. 리수이대학교 측은 관련 언급을 거부했다. 연구팀은 해당 기술을 개발한 이유에 대해서 "최근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전 세계에 해저 케이블이 깔리고 있다"며 "어떤 비상 상황에서는 케이블을 끊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전통적인 절단 방법은 케이블의 위치를 파악하고 굴착한 다음 절단을 위해서 회수하는 작업 등이 필요하다"며 "이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값비싼 장비가 필요하다. 더 저렴한 장비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리수이대학교 연구팀은 닻 모양의 케이블 절단 장치
[더구루=진유진 기자] 칠레가 향후 10년 동안 구리 생산량을 6% 가까이 늘릴 계획이다. 세계 1위 구리 생산국인 칠레의 국영 구리 위원회 코칠코(Cochilco)가 구리 생산량 증대와 시장 점유율 확대를 전망하면서 글로벌 광산업계와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코칠코는 15일(현지시간) 오는 2034년 구리 생산량이 지난 2023년보다 5.6% 증가한 554만 톤(t)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다. 칠레는 지난해 전 세계 구리의 23.6%를 생산하며 세계 1위 생산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코칠코는 오는 2034년 칠레의 구리 업계 점유율이 27.3%로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코칠코는 칠레가 오는 2027년 최고 생산량인 607만t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후 생산량은 점차 감소해 2034년에는 최저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앞서 코칠코는 2034년 생산량을 643만t으로 전망했으나, 최근 방법론 조정으로 보다 현실적인 수치를 제시했다. 세르지오 베르두고 코칠코 애널리스트는 이 같은 감소가 주요 광산 노후화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최상의 시나리오에서는 오는 2034년 생산량이 최대 700만t에 달할 가능성도 있다고 언급했다. 칠레는
[더구루=김형수 기자] CJ제일제당이 투자한 이스라엘 배양육 기업 알레프 팜스(Aleph Farms)가 태국에 진출한다. 태국 식품의약품 당국에 자사 배양 소고기 브랜드 '알레프 컷'(Aleph Cuts) 제품 판매 승인 신청서를 제출했다. 알레프 컷 현지화를 추진하며 현지 시장 공략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업계에 따르면 알레프 팜스는 태국 최대 식품기업 타이 유니온(Thai Union)과 협력해 알레프 컷 현지화 작업에 착수했다. 알레프 컷은 변형되지 않은 앵거스(Angus)종 세포를 배양해 만들어진다. 수정란 하나로 수천톤의 배양육을 생산할 수 있어 전통 방식으로 생산된 소고기에 비해 지속가능성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양사는 태국 소비자 선호도, 로컬 식문화, 시장 환경 등을 반영해 현지화한 알레프 컷 제품을 개발·출시하는 데 협력한다는 방침이다. 태국 고급 외식업체 등을 겨냥해 현지화 과정을 거친 알레프 컷 프티 스테이크(Petit Steak) 기반 제품을 선보일 전망이다. 알레프 컷 프티 스테이크는 취식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한입 크기로 개발된 제품이다. 추후 알레프 컷 제품 라인업 확대 방안도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엔비디아가 투자한 것으로 유명한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스타트업 코어위브(CoreWeave)가 미국 반도체 기업 IBM에 AI 슈퍼컴퓨터를 지원한다. [유료기사코드] 코어위브는 16일 IBM과 'IBM 그래니트' 모델을 지원하기 위해 새로운 AI 슈퍼컴퓨터를 제공하는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밝혔다. 코어위브는 IBM에 엔비디아 블랙웰 GB200 슈퍼칩을 탑재한 AI 슈퍼컴퓨터 가운데 하나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 슈퍼컴퓨터는 퀀텀-2 인피니티밴드 네트워킹으로 상호연결된 엔비디아 GB200 NVL72 플랫폼을 장착했다. IBM은 코어위브의 클라우드 플랫폼을 활용해 차세대 그래니트 모델을 학습시킬 계획이다. 그래니트는 IBM의 선보인 오픈소스 AI 모델이다. 30억 개~340억 개의 매개변수 범위에서 기본형과 명령어 추종형 모델들로 제공되며 복잡한 애플리케이션 현대화, 코드 생성, 버그 수정, 코드 설명 및 문서화, 리포지토리 유지 관리 등의 작업에 적합하다. 마이클 인트레이터 코어위브 공동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AI 경계를 넓히기 위해 혁신적인 기술 솔루션의 오랜 선구자인 IBM과 협력하게 돼 기쁘다"면서 "이번 협력을 코어위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우주기업 액시엄 스페이스(Axiom Space)가 우주에서 반도체 칩 소재 생산을 추진한다. 이 과정에서 TSMC 등 대만 반도체 업체들의 참여도 요청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대만 매체 포커스 타이완(Focus Taiwan)에 따르면 액시엄 스페이스 경영진은 최근 대만을 방문해 우주에서 특정 반도체 재료를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했다. 구체적으로 액시엄 스페이스는 TSMC 등 대만 기업들과 협력해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초기 실험을 진행할 것을 제안했다. 오는 2030년 이후에는 액시엄 스페이스의 상업용 스테이션으로 전환할 계획이며, 성공적인 실험이 이뤄질 경우 본격적인 생산으로 이어지는 확장 가능한 프로세스를 구상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어떤 물질을 생산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현지 업계에선 반도체 칩 기본 기판에 쓰이는 실리콘, 질화갈륨, 갈륨 비소 같은 단결정 물질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 코이치 와카타 액시엄 스페이스 아시아태평양 최고기술책임자(CTO)는 반도체 제조를 개선할 수 있는 미세 중력과 진공 환경의 잠재력을 강조했다. 이러한 조건이 결함 없는 결정 성장을 가능하게 해 중
[더구루=홍성환 기자] 스위스 바이오 기업 로이반트사이언시스(Roivant sciences)가 자회사 이뮤노반트(Immunovant)에 약 5000억원 규모 실탄을 충전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따르면 로이반트사이언시스는 지난 13일(현지시간) 이뮤노반트 주식 1684만5010주를 매수했다. 매입가는 주당 20달러로, 총투자액은 3억3690만 달러(약 4910억원)에 이른다. 지분율은 56.9%다. 또 이뮤노반트는 같은 날 3개 기관투자자로부터 4억5000만 달러(약 6600억원) 규모 상장지분사모투자(PIPE)를 유치했다. 기관투자자 3곳에 주당 20달러 가격으로 2250만주를 매각했다. 이뮤노반트는 로이반트사이언시스가 자가면역질환 치료 항체신약 'HL161(물질명 바토클리맙)'의 글로벌 임상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지난 2018년 설립한 자회사다. 이뮤노반트가 개발 중인 HL161ANS(IMVT-1402)은 자가면역질환 항체치료제 후보물질이다. △그레이브스병(GD) △류마티스관절염(RA) △중중증근무력증(MG) 등 치료제로 쓰일 수 있는 후보물질이다. 1분기 중으로 4~5개 적응증에 대한 IMVT-1402 임상을 시작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