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엔씨소프트와 베트남 게임사 VNG 게임즈의 합작사가 오는 5월 모바일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리니지2M' 동남아 서비스를 시작한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NCV 게임즈는 5월부터 리니지2M을 베트남·태국·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싱가포르·필리핀 6개국에서 제공한다. 이를 위해 25일부터는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사전 등록을 시작한다. 또한 오는 29일 태국 방콕에서 리니지2M 쇼케이스도 개최한다. 이날 쇼케이스에서는 출시 관련 정보 공개와 콘텐츠 소개 등이 이뤄질 예정이다. NCV 게임즈는 엔씨소프트와 VNG가 지난해 8월 동남아시아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설립한 합작법인이다. 엔씨소프트는 합작 파트너인 VNG 게임즈의 동남아시아 온라인게임 인프라와 전문성을 기반으로 신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우주기업 스페이스X 위성 인터넷서비스 스타링크(Starlink)의 베트남 출시가 가시권이다. 지난 2023년 연말 이후 중단된 스타링크 베트남 승인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으로 빠르게 진전됐다는 분석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베트남 과학기술부가 스타링크의 베트남 서비스 사용 승인 작업을 개시했다. 이는 지난 18일 진행된 팜 민 찐(Pham Minh Chinh) 베트남 총리와 미국-아세안 기업협의회(USASEAN Business Council, USABC) 대표단 등이 참여한 회의에서 공개됐다. 베트남 과기부는 "스페이스X측은 정부에 스타링크 위성 인터넷 서비스 사용 승인을 요청했다"고 자료를 통해 밝혔다. 앞서 스페이스X는 2023년 중순 스타링크 출시를 위해 베트남 정부와 협상을 시작했으나 11월 이후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 베트남 정부가 네트워크 인프라를 보유한 통신사의 외국인 소유 제한 규제를 완화하지 않기로 하면서다. 베트남 관련 법규는 외국인 보유 지분을 50% 이하로 제한하고 있으나 스페이스X는 스타링크 베트남 법인을 100% 완전 자회사로 운영한다는 방침였다. 베트남 정부의 태도 변화는 지난해 11월 도널드 트럼프
[더구루=홍성일 기자] 전세계 인공지능(AI) 시장의 충격을 준 딥시크를 필두로 한 '항저우 육룡(六小龙)'이 주목받고 있다. 육룡의 '비상'은 항저우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코트라 항저우무역관이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딥시크 △게임사이언스 △유니트리 △딥로보틱스 △브레인코 △매니코어 테크는 '항저우 육룡'으로 불리며 AI와 게임, 로봇 산업 등을 주도하고 있다. 항저우 육룡의 선두는 딥시크가 자리하고 있다. 딥시크는 지난 1월 저비용 고효율 AI 추론 모델 R1을 공개하며 전세계 AI 산업에 충격을 줬다. 이후 딥시크 AI모델은 정부기관과 빅테크에 도입되며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게임 사이언스는 지난해 서유기 세계관 속 손오공의 모험을 그린 액션게임 '검은 신화:오공'을 출시하며 육룡에 등극했다. 검은 신화:오공은 출시 3일만에 1000만 장 넘게 판매되며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로봇 전문기업 유니트리와 딥로보틱스도 항저우 육룡 중 한 자리씩 맡고있다. 2016년 설립된 유니트리는 2024년 글로벌 사족보행 로봇 시장 점유율 70%를 달성했다. 딥로보틱스도 최근 험준한 지형에서 이동할
[더구루=홍성일 기자] 넥슨은 28일 네오플이 개발한 하드코어 액션 신작 퍼스트버서커:카잔(이하 카잔)을 출시한다. 넥슨은 카잔을 통해 던전앤파이터 지식재산권(IP)을 강화한다는 목표다. 넥슨은 정식 출시를 앞둔 지난 1월 챕터 1과 2를 체험할 수 있는 데모버전을 글로벌 게임 플랫폼 스팀 등에 출시했다. 데모버전을 체험한 이용자들은 게임성을 높이 평가하며, 정식 출시가 기다려진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도전욕구가 생기는 하드코어 액션 게임 넥슨은 카잔을 하드코어 액션 게임으로 분류했다. 실제 플레이해본 카잔은 소울라이크 류의 문법을 갖추면서도 역할수행게임(RPG)요소가 담겨, 포기보다는 도전을 선택하게 만들었다. 카잔은 기본적으로 막고 때리는 소울라이크의 전투 문법을 따라간다. 그러다보니 조금이라도 막기나 회피가 늦으면 어느 순간 죽어있는 캐릭터를 볼 수 있다. 실제로 계속된 죽음은 소울라이크류 게임의 특징으로 신규 이용자들의 진입장벽이다. 대표적인 소울라이크 장르 게임인 '다크 소울 시리즈'의 최고 유행어가 '유다희(YOU DIED)'일 정도다. 넥슨은 쉬움 옵션 추가와 보스전 경험치 보존, 실패 경험 부여, 아이템 추가로 진입장벽을 낮추는데 주력했다.
◇xCBT 웹3 게임 경쟁 베타 테스트(Competitive Beta Test, CBT) 플랫폼 'xCBT'가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앱스트랙트(Abstract)'에서 정식 출시한다. xCBT는 글로벌 게임 테스트 플랫폼 지그라운드(G.Round)의 창립 멤버와 웹3 전문가들이 설립한 플랫폼으로, 정식 출시 전에 이뤄지는 클로즈 베타 테스트(CBT) 단계에 e스포츠형 경쟁 요소를 도입한 것이 특징이다. xCBT는 개발사에 출시 전 커뮤니티 구축 기회를 제공하고, 이용자에게는 플레이 순위에 따른 보상을 제공한다. xCBT가 정식 출시되는 앱스트랙트(Abstract) 체인은 이더리움 레이어2를 기반으로 개발됐다. 앱스트랙트는 최근 메인넷 출시했으며 커뮤니티 빌더들의 실시간 피드백을 반영하는 '컨슈머 크립토(Consumer Crypto)'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xCBT는 앱스트랙트 정식 출시로 글로벌 마케팅·커뮤니티 구축 역량을 한층 더 강화할 계획이다. xCBT 노홍균 대표이사는 "에어드롭 헌터나 대형 벤처캐피탈에 의한 대규모 토큰 덤핑을 방지하고, 진정한 게이머와 커뮤니티 구성원이 혜택을 받도록 보상 체계를 설계하고 있다"며 "소비자 친화적 블록체인인
◇SK텔레콤 SK텔레콤(SKT)은 인공지능(AI) 에이전트 '에이닷(A.)'에 구글의 최신 거대언어모델(LLM)인 '제미나이 2.0 플래시(Flash)'를 추가하는 등 기능을 대폭 강화했다. 제미나이 추가로 에이닷 이용자들은 SKT의 'A.X'와 '챗GPT', '클로드(claude)', '퍼플렉시티(Perplexity)', '제미나이' 등 글로벌 AI 모델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됐다. 현재 이용 가능한 AI 모델은 △A.X △제미나이 2.0 플래시 △GPT 4o, 4o 미니, o3-미니, o1-미니, o1-프리뷰 △클로드 3.5 소넷, 3.5 하이쿠, 3 오퍼스 △퍼플렉시티 소나, 소나 프로 등 총 12개 모델이다. 에이닷에 새롭게 추가된 제미나이 2.0 플래시는 구글이 지난 2월 공개한 최신 AI 모델이다. 제미나이 2.0 플래시는 기존 '1.5 플래시' 모델을 개선한 버전으로, 응답 시간과 성능이 대폭 향상됐다. 2.0플래시 모델은 주요 벤치마크에서 '1.5 프로' 모델보다 2배 빠른 속도를 기록하는 등 뛰어난 성능을 자랑한다. 이용자들은 답변과 함께 구글의 실시간 검색 결과를 함께 제공 받는 것은 물론, 답변이 어떤 내용을 토대로 생성됐는지 확인할
◇넷마블 넷마블의 2025년 첫 신작 'RF 온라인 넥스트(RF ONLINE NEXT)'가 정식 출시 18시간 만에 국내 애플 앱스토어 매출 1위를 기록했다. RF 온라인 넥스트는 지난 20일 오후 8시 출시 직후 애플 앱스토어 인기 1위 기록했으며, 정식 출시 18시간 만에 매출 1위를 달성했다. 넷마블은 4월 중으로 '낙원 쟁탈전'·'광산 전쟁' 등 다양한 전쟁 콘텐츠를 선보일 예정이며, 출시 후 첫 번째 이벤트인 '봄 맞이 이벤트'도 진행할 계획이다. 또한 적극적인 소통을 위해 개발자 노트와 라이브 방송 등도 빠르게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넷마블은 'RF 론칭 기념! 스페셜 출석'와 '격전지 집결! 홀리가스 교환' 등 출시 기념 이벤트를 4월까지 순차적으로 진행해 △성장 지원 상자 △희귀 바이오슈트·로버 소환권 △인게임 재화 '크레딧' 등 풍성한 보상을 제공한다. 한편 RF 온라인 넥스트는 2004년부터 20여 년간 서비스한 'RF 온라인'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한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으로, PC·모바일 멀티 플랫폼을 지원한다. RF 온라인 넥스트는 우주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3개 국가 간의 스토리를 기반으로 하며, 바이오 슈트·비행 액션·메
[더구루=오소영 기자]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스페이스X가 필리핀 항공기 유지보수 전문 기업 '메트로젯 엔지니어링 클라크(Metrojet Engineering Clark, 이하 MEC)'를 동남아시아 최초 공식 파트너로 뽑았다. 동남아에서 저궤도 위성 기반의 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본격 확대할 예정이다. [유료기사코드] 22일 MEC에 따르면 이 회사는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서비스를 동남아에 공급할 공식 딜러로 선정됐다. MEC는 증가하는 기내 인터넷 수요에 대응하고자 스페이스X와 손잡았다. 스타링크는 530∼570㎞ 상공에 떠있는 저궤도 위성을 토대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3만6000㎞ 고도의 정지궤도 위성 대비 10배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자랑한다. 스타링크는 다운로드 속도 40~220Mbps, 업로드 속도 8~25Mbps에 달해 일반 가정과 선박과 항공 등 다양한 응용처에서 수요가 높다. 미국 유나이티드항공도 이달부터 스페이스X와 손잡고 기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로 했다. 저궤도 위성 기반 인터넷 서비스는 기존 정지궤도 위성을 사용할 때보다 속도가 더 빠르고 항로 제약을 덜 받아 승객들의 만족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루드겐 구즈만(Rudge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빅테크 기업 텐센트(Tencent)가 새로운 인공지능(AI) 추론(reasoning) 모델을 출시한다. 텐센트는 올해 AI 부문 자본 지출도 확대하기로 하며 딥시크(DeepSeek)로부터 촉발된 '중국산 AI' 경쟁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텐센트는 중국 베이징 표준시간 기준 21일 오후 11시, 새로운 AI 추론 특화 모델인 '훈위안 T1(Hunyuan T1)' 출시 행사를 진행한다. 훈위안 T1은 텐센트 독자 생성형 AI 모델인 '훈위안'의 추론 특화 모델이다. 추론 모델은 학습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간과 유사한 사고 과정을 거쳐 이용자의 질문에 최적의 답변을 제공하고, 어떤 과정으로 답변을 도출했는지 단계별로 보여준다. 반면 비추론 모델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답변만 빠르게 제공한다. 훈위안 T1은 딥시크의 추론 모델인 R1과 유사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텐센트는 기존 트랜스포머 아키텍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맘바(Mamba) 아키텍처와 전문가 혼합(MoE·Mixture of Experts) 기술 등을 도입했다. 맘바 아키텍처는 입력된 토큰이 늘어나면 속도가 줄어드는 트랜스포머 아키텍처의
[더구루=홍성일 기자] 양자컴퓨팅 기업 아이온큐(IonQ)가 컴퓨터 이용 공학(CAE)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개발기업 앤시스(Ansys)와 양자컴퓨터의 시뮬레이션 성능을 입증했다. 아이온큐는 상용화를 가속하기 위해 양자컴퓨터 성능 입증에 주력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아이온큐는 20일(현지시간) 산업용 양자컴퓨터 포르테(Forte)가 앤시스 의료기기 설계 애플리케이션 구동 테스트에서 기존 컴퓨팅 장치 대비 최대 12% 향상된 성능을 보였다고 밝혔다. 아이온큐와 앤시스는 지난해 11월 양자컴퓨터를 CAE 분야에 적용하기 위해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이번 테스트는 포르테 양자컴퓨터에서 앤시스 LS-다이나(LS-DYNA) 혈액 펌프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해당 시뮬레이션은 혈액 펌프 내 유체 상호 작용을 분석해 설계를 최적화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아이온큐는 포르테가 260만개의 버텍스와 4000만개의 엣지를 효율적으로 처리, 시뮬레이션 소요 시간을 단축하는데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버텍스와 엣지는 3D 모델링·컴퓨터 그래픽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유체 시뮬레이션에서는 유체의 움직임을 표현·계산하는데 이용된다. 버텍스는 3D 공간에서 점으로 나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업 싱크론(Synchron)이 세계 최초 인지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한다. 싱크론은 엔비디아와 협업을 통해 인지AI 모델 개발을 가속할 계획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싱크론은 미국 실리콘밸리 새너제이에서 열린 엔비디아의 연례 개발자 행사 'GTC 2025'에서 인간 인지 기반 모델 '카이랄(Chiral)' 개발 로드맵을 공개했다. 싱크론은 카이랄 개발을 위해 엔비디아와 협력관계를 구축했다고 덧붙였다. 카이랄 개발은 싱크론의 '스탠트로드'(Stentrode) BCI 기술과 엔비디아 AI 개발 플랫폼을 결합해 진행된다. 싱크론에 따르면 스탠드로드 BCI 장치가 사람의 신경 데이터를 확보하면, 엔비디아 홀로스캔(Holoscan) 플랫폼이 이를 실시간으로 처리·분석해 AI모델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한다. 또한 엔비디아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인 옴니버스(Omniverse)와 코스모스 월드 파운데이션 모델(WFM)을 통해 시뮬레이션을 생성, 카이랄 모델의 추론 정확도와 적응성도 향상시킨다. 싱크론은 엔비디아와 협력으로 자기지도학습(self-supervised learning)을 통한 인지 AI 모델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가 구글 딥마인드 출신이 설립한 로봇 스타트업에 투자했다. [유료기사코드]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엔비디아 벤처캐피털(VC) 엔벤처스는 로봇 스타트업 제너럴리스트AI에 투자했다. 정확한 투자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제너럴리스트AI는 구글 딥마인드 소속이었던 피터 플로렌스가 설립한 스타트업이다. 피트 플로렌스는 로봇 공학 및 인공지능(AI) 분야 전문가다. 제너럴리스트AI는 범용 로봇을 개발할 예정이다. 다만 이 회사는 현재 '스텔스 모드'로 아직 구체적인 제품은 공개되지 않은 상태다. 스텔스 모드는 일정 기간 비밀을 유지하며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는 곳을 말한다. 피터 플로렌스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서 열린 'GTC 2025'에 참가해 "우리가 정확히 무엇을 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밝힐 수는 없다"면서 "우리의 임무는 다목적 로봇을 현실화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로봇이 무엇이든 할 수 있도록 만드는 데 전념하고 있다"며 "물리적 노동의 한계 비용이 제로가 되는 세상을 상상해 보라"고 했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캐나다가 유럽과 공동 무기 조달을 포함한 방위 동맹 협상을 진행한다. 최근 미국과의 무역 갈등이 격화되는 가운데 캐나다는 미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한편 국방 및 무기 조달 국가를 다각화하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멜라니 졸리 캐나다 외무장관은 지난 20일(현지시간) 캐나다 공영방송 CBC와의 인터뷰를 통해 "캐나다가 유럽 연합(EU) 고위 관계자와 공동 방위 동맹에 대해 협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졸리 장관은 “캐나다의 무기 조달에 대한 미국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다”며 “전 세계적으로 다각화된 파트너십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캐나다는 당초 미국 록히드 마틴사와 F-35 전투기 총 88대 구매 계약을 체결했으나 최근 이를 전면 재검토하고 있다. 캐나다는 지난 2023년 노후 전투기 교체 작업의 일환으로 190억 캐나다달러(약 19조 2000억 원)를 투입해 이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내년 인도분인 F-35 16대에 대해서는 이미 금액을 지불한 상태다. 빌 블레어 캐나다 국방부 장관은 “변화하는 환경을 감안해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미국산 F-35 전투기 구매 계획을 재평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캐나다가 EU와 방위 동맹으로 방향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국영 연구기관이 반도체 미세 회로 패터닝에 필수적인 193나노미터(nm) 심자외선(DUV) 고체 레이저 광원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네덜란드 ASML 등 글로벌 노광 장비 기업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반도체 자립을 앞당길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국제광공학회(SPIE)에 따르면 중국과학원(CAS)은 이달 초 이같은 내용을 담은 '광학적 매개 변수 증폭기와 그 보텍스 빔 생성을 활용한 컴팩트한 좁은 선폭 고체 193나노 펄스 레이저 소스(Compact narrow-linewidth solid-state 193-nm pulsed laser source utilizing an optical parametric amplifier and its vortex beam generation)'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해당 논문은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포토닉스(Advanced Photonics)'에 게재됐다. 연구진은 고체 상태 이터븀 도핑 이트륨 알루미늄 가닛(Yb:YAG) 크리스탈 증폭기를 활용해 193nm 파장의 심자외선 레이저를 구현했다. ASML, 캐논, 니콘 등 DUV 노광장비 제조사들은 193나노 파장의 불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