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HD현대중공업이 페루 생산부와 조선산업 분야 중소기업 양성에 협력한다. 영세 기업들의 경쟁력을 높이고 글로벌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돕는다. 페루 조선업 생태계와 상생하며 수주 확대를 꾀한다. 28일 페루 생산부에 따르면 HD현대중공업과 페루 조선업 밸류체인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체결식에는 세르히오 곤살레스 생산부 장관과 하비에르 브라보 데 루에다 페루 해군 총사령관, 김동일 HD현대중공업 동방성장실장(전무), 최종욱 주페루대사가 참석했다. 이번 MOU에 따라 HD현대중공업은 페루 중소기업 육성에 나선다. 현지 생산부와 협력해 △공급망 개발 △혁신 촉진 △기술 연구와 디지털화 △생산 역량 강화 △제품 품질 향상 △규제체계 보강을 지원한다. 또한 글로벌 조선산업 동향을 공유하며 투자 유치와 전문 인력 양성에도 협업한다. 중소기업들의 전문성을 높여 글로벌 공급망에 진입하도록 지원한다는 포부다. 이를 통해 페루 조선산업의 발전이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연관 산업의 활성화로 이어지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곤살레스 장관은 "중소기업이 필요한 품질 수준을 갖추고 조선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국가 산업 경쟁력을 높이고자 노력하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캐나다에서 노후 주택 거주 전기차(EV) 이용자의 충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지 에너지 기술 기업과 손잡았다. 인공지능(AI) 기반 적응형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을 활용해 충전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기아는 캐나다 시장에서 노후 주택을 비롯한 가정에서의 충전 인프라 불안을 해소해 전기차 보급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28일 기아에 따르면 캐나다법인은 전기차 에너지 관리 전문기업 ‘베어리어블그리드 어댑티브 파워(Variablegrid Adaptive Power)’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양사는 전력 용량이 충분하지 않은 노후 주택에서도 전기차를 원활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번 파트너십을 맺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쓰는 표준 충전 방식인 레벨2(240V) 충전기를 설치하려면 전기 패널을 증설하는 고가의 공사가 필요하다. 베어리어블그리드의 AI 기반 적응형 EMS는 실시간 전력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가정 내 여유 전력에 맞춰 EV 충전 속도를 자동으로 최적화한다. 이를 통해 이용자는 별도의 대규모 전기 공사 없이도 안정적으로 가정 내 충전을 할 수 있다. 댄 래퍼티 베어리어블그리
[더구루=정예린 기자] HD현대인프라코어가 미국 전력장치 회사 '파워솔루션인터내셔널(PSI)'과의 협력을 확대하며 디젤 엔진 공급 범위를 넓힌다. 북미 건설 경기 둔화로 현지 매출 성장세가 주춤한 가운데 PSI의 엔지니어링 솔루션 역량을 활용해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 불황 극복의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PSI는 27일(현지시간) HD현대인프라코어와 새로운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PSI는 북미 시장에서 HD현대인프라코어의 산업용 점화식 엔진뿐만 아니라 친환경 디젤 엔진까지 개발·설치·통합 서비스를 포함한 턴키 솔루션 형태로 제공할 수 있게 됐다. DX05 등 HD현대인프라코어가 공급하는 엔진은 미국 환경청(EPA) 티어4와 유럽연합(EU)의 스테이지 파이브(V) 배기가스 규제 기준을 충족한다. 이번 계약에는 일부 디젤 엔진을 연료 변경이 가능한 공통 플랫폼(공통 블록) 형태로 개발하는 내용도 포함돼, 고객은 액화천연가스(LPG), 디젤, 가솔린, 천연가스 등 다양한 연료 옵션을 하나의 엔진 뼈대로 활용할 수 있다. HD현대인프라코어는 PSI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기존 협력 채널을 바탕으로 디젤 엔진까지 취급 제품군을 늘렸다. 특히 PSI가
[더구루=김예지 기자] 그리스 정부가 대한항공과의 협력을 통해 인천~아테네 간 직항 노선 개설을 추진한다. 직항편 신설을 중심으로 그리스는 한국을 전략적 관광시장으로 설정하고, 전방위적인 홍보 및 유치 활동에 시동을 건다는 계획이다. 28일 그리스 관광 전문 매체 Greek Travel Pages에 따르면 방한한 올라 카팔로지아니(Olga Kefalogianni) 그리스 관광부 장관은 고광호 여객사업본부장(전무), 이승혁 국제업무실 부실장(상무) 등 대한항공 관계자를 비롯해 한진관광, 롯데관광 등 국내 주요 여행사들과 연이어 간담회를 진행하고 직항 노선 도입을 포함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동은 올해 초부터 이어져 온 양국 간 관광 협력 논의의 연장선이다. 그리스 측은 한국 기업들과 관광협력 양해각서(MOU) 체결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스는 인천~아테네 직항이 한국인 관광객 유입 확대뿐 아니라, 양국 간 문화·경제 교류 전반에 걸쳐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한국과 그리스 간 직항 노선은 없는 상황이다. 유럽 내 허브공항을 경유해야 하는 구조적 불편이 수요 확대에 걸림돌로 작용해왔다. 직항 노선이 현실화될 경우, 이동
[더구루=김나윤 기자] 미국 신생 광산기업 코볼드메탈스(KoBold Metals)가 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민주콩고)에서 리튬 등 전략 광물 탐사권을 대거 확보했다. 미국 억만장자 빌 게이츠(Bill Gates)와 제프 베이조스(Jeff Bezos) 등 글로벌 빅테크 창업자들이 투자한 회사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코볼드메탈스는 27일(현지시간) "민주콩고로부터 리튬과 기타 광물 탐사를 위한 7건의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지난 7월 체결된 예비 광물탐사 협정에 따른 후속 조치로, 회사는 곧 본격적인 탐사 프로젝트에 착수할 계획이다. 이번 계약을 통해 코볼드메탈스는 전기차 배터리 핵심 광물로 꼽히는 리튬의 세계 최대 매장지 중 하나인 마노노(Manono) 광산 지대에 접근할 수 있게 됐다. 마노노에는 약 6억6900만톤 규모의 리튬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중 로슈두레(Roche Dure) 광구에는 4억톤의 리튬이 포함돼 있고 일부 지역의 리튬 산화물 함량은 1.65%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다. 코볼드메탈스는 AI와 머신러닝(기계학습)을 활용해 전 세계에서 니켈, 리튬, 코발트, 구리 등 핵심 광물을 탐사하는 기술 기반 광산 기업이다. 2023년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형 조선업체인 케이조선(옛 STX조선)이 그리스 신생 선사로부터 석유화학제품선(PC선) 2척을 추가 수주했다. 생산 안정화와 납기 준수 역량 강화로 옵션 물량도 확보했다. 케이조선은 탱커와 컨테이너선의 신규 수주를 늘리며 영업 정상화와 수익성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28일 싱가포르 해운전문지 스플래시247(Splash 247)에 따르면 그리스 베너지 마리타임(Venergy Maritime)이 케이조선에 5만DWT급 친환경 PC선 2척을 발주했다. 지난 7월 계약에 포함된 추가 발주 옵션을 행사한 것이다. <본보 2025년 7월 2일 참고 케이조선, 그리스서 '1360억원' 규모 유조선 2척 수주> 선가는 척당 4800만 달러(약 670억원)로 총 9600만 달러(약 1340억원)이다. 신조선은 국제해사기구(IMO)의 강화된 환경 규제 기준을 반영해 에너지 효율 설계 지수(EEDI) 3단계를 만족하는 친환경 선박으로 건조될 전망이다. 오는 2027년 1분기에서 2분기 사이에 인도된다. 4척의 선박은 각각 △에리에타(Erietta) △필리포스(Filippos) △파리스(Paris) △마리아나(Marianna)로 명명될 예정
[더구루=김명은 기자] 대만 맥도날드가 롯데리아의 대표 메뉴인 '오징어버거'를 벤치마킹해 눈길을 끌고 있다. 한국 맥도날드의 '불고기버거' 등 레시피가 해외에 수출된 적은 있지만 경쟁사의 인기 메뉴가 출시되는 것은 매우 드문 사례다. 대만 내 K-푸드 열풍을 짐작할 수 있는 가늠자로 평가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대만 맥도날드는 지난 27일부터 10월 7일까지 대만 전역에서 '해산물 오징어 축제' 프로모션을 통해 총 3종의 신메뉴를 순차적으로 출시한다. 우선 한식 스타일의 '더블비프 오징어버거'와 '오징어버거'를 론칭하고 내달 '일식 돈까스 오징어버거'를 추가로 선보인다. 이들 신메뉴는 모두 오징어 패티를 기반으로 해 다채로운 맛을 선사한다. 특히 더블비프 오징어버거는 오징어 패티의 쫄깃함과 100% 순쇠고기 패티 2장이 만나 풍성한 식감을 자랑한다. 한국식 바비큐 소스와 김치 소스를 더해 깊은 한식의 맛을 느낄 수 있다. 한식 오징어버거는 오징어 패티 본연의 맛에 집중해 신선한 해산물 풍미를 극대화했다. 맥도날드가 경쟁사인 롯데리아의 인기 제품을 변형하고 응용한 전략을 택했다는 점에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맥도날드의 시도를 단순한 제품 모방이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에서 생산된 폴란드 수출 버전인 K2 전차 'K2GF(일명 Gap Filler·갭필러)'와 폴란드향 K9 자주포 'K9A1'가 순차적으로 인도되고 있다. 올해 4차분 인도로 성능 문제와 납품 지연으로 골머리를 앓는 주요 경쟁업체와 대조적으로 적기 납품돼 폴란드군의 빠른 전력화를 돕고 있다. 현대로템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잔여 물량도 적기에 공급해 폴란드의 납기 준수 요구조건을 충족시킨다는 방침이다. 파베우 베이다(Paweł BEJDA) 폴란드 국방차관은 27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엑스(X)에 "한국에서 K2 전차 9대와 K9 자주포 15문을 인도받았다"며 "K9 자주포 3대는 폴란드 국영 방산 기업 PGZ의 계열사인 후타 스탈로바 볼라(Huta Stalowa Wola, HSW)로 보내져 새로운 위장 무늬로 도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폴란드 군비청에 따르면 재도색된 K9 자주포는 가을에 군사공학기술연구소(Wojskowym Instytucie Techniki Inżynieryjnej, WITI)에서 검사 및 시험을 거친 후 실전에 투입될 예정이다. 현대로템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폴란드와의 무기 공급 계약을 충실히 수행중이다. 이번
[더구루=김은비 기자] 포르쉐가 최고경영자(CEO) 교체 절차에 착수했다. 현직 CEO이자 폭스바겐그룹 수장을 겸임하고 있는 올리버 블루메가 포르쉐 경영 일선에서 한발 물러나 모회사인 폭스바겐 성장에 집중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업계에 따르면 포르쉐·피에히 가문과 폭스바겐 감독이사회, 노조 측은 블루메 후임 인선을 두고 막바지 논의를 진행 중이다. 후보군은 내부 경영진과 외부 전문경영인을 동시에 검토하고 있으며 올해 가을 최종 확정 뒤 내년 초 공식 교체가 이뤄질 것으로 전해졌다. 블루메 퇴진 배경에는 ‘겸임 체제’가 자리한다. 그는 지난 2022년 9월 포르쉐 기업공개(IPO) 직후부터 그룹과 브랜드 CEO를 동시에 맡아왔지만, 이중 리더십이 두 회사 모두의 전략 실행력을 저하시켰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됐다. 실제 포르쉐 주가는 상장 직후 폭스바겐 시가총액을 넘어섰으나, 블루메가 취임한 2022년 이후 45% 가까이 떨어졌다. 여기에 중국 내 수요 둔화, 전동화 전략 지연, 미국의 수입차 관세 변수 등 복합 위기까지 겹쳤다. 이로 인해 포르쉐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91.2% 급감하며 상장 후 최악의 성적표를 기록했다. 포르쉐의 모
[더구루=김명은 기자] LG생활건강의 한방 뷰티 브랜드 '더후(The History of Whoo)'가 베트남에서 롯데호텔과 손 잡고 하이앤드 마케팅을 펼쳐 눈길을 끌고 있다. 프리미엄 체험형 마케팅을 통해 K-럭셔리 뷰티 브랜드의 이미지를 각인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더후는 지난 25일(현지시간) 베트남 롯데호텔 하노이 38층 '더 라운지 스카이(The Lounge Sky)'에서 '시대를 초월한 문화의 정수'를 주제로 VIP 고객 대상 행사를 열었다. 이번 행사는 더후의 신제품 '환유 임페리얼 유스(Hwanyu Imperial Youth)' 5세대 라인을 처음 공개하는 자리였다. 또한 롯데호텔의 중추절 한정판 선물세트 '티엔 바오(Thiên Bảo)'와의 특별한 공동 브랜딩을 선보이며 문화적 스토리를 강조했다. 티엔 바오는 한국 전통 보자기 포장과 궁중 문양, 금박 디테일로 고급스러움을 더했다. 단 50세트만 한정 판매해 희소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이번 행사는 고대 왕실의 예술성과 현대적 감각이 어우러진 공간에서 진행돼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깊이 있는 문화 경험을 선사했다. 하노이 시내의 아름다운 전망을 배경으로 프라이빗하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인도에서 차세대 이동형 CT 제품을 대거 선보인다. 인공지능(AI) 등 기술력과 제품 경쟁력을 앞세워 현지 의료기기 사업 확대를 본격화하며 인구 14억 명의 인도 시장을 정조준한다. 28일 삼성전자 인도법인에 따르면 미국 의료기기 자회사 '뉴로로지카(NeuroLogica)'는 인도 내 병원과 전문센터를 대상으로 △세리톰 엘리트(CereTom Elite) △옴니톰 엘리트(OmniTom Elite) △옴니톰 엘리트 PCD(OmniTom Elite PCD) △바디톰(BodyTom) 32·64 등 이동형 CT 제품을 출시한다. 각 제품군은 병원과 전문센터의 다양한 임상적 요구를 충족하도록 설계됐다. 뉴로로지카가 인도에 선보이는 이동형 CT 신제품들은 AI 기반 이미지 처리와 환자 중심 설계를 적용해 병상 이동 없이 수술실, 중환자실, 응급실, 소아 진료실 등에서 바로 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의료진은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으며, 병원 운영 효율도 높아진다. 예를 들어, 옴니톰 엘리트는 초고해상도(UHR) 모드에서 0.125mm×80슬라이스 재구성을 지원하며, 심부뇌자극(DBS) 등 복잡한 신경외과 수술을 기존
[더구루=오소영 기자] LIG넥스원이 미국에 생산부터 유지보수까지 아우르는 거점을 구축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단순 무기 수출을 넘어 한미 방산 동맹의 가교 역할을 하겠다는 것이다. 폭넓은 포트폴리오와 유연한 플랫폼 적용 등 경쟁력을 바탕으로 미국의 최적화된 파트너가 될 수 있다고 자신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김용섭 LIG넥스원 미국사무소장은 지난 2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일간지 더 워싱턴 타임스(The Washington Times) 기고문에서 "미국과의 관계에서 보다 폭넓은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며 "단순 수출을 넘어 산업 협력, 공동 표준 수립, 지속적인 투자에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소장은 현지 생산·조립·시험·정비를 포괄하는 미국 내 장기 거점 구축 구상을 언급했다. 무기체계에 대한 공동 생산을 추진하고 실제 운용자와 밀접히 협력한다는 전략이다. 현지화를 통해 △설계 초기부터 미국 표준을 반영하고 △인증 절차를 조기에 조율하며 △무기체계 수명주기 전반에서 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고 봤다. 김 소장은 "현지화된 공급망은 위기 상황에서도 미군과 동맹군의 작전 지속 능력을 높인다"며 "제조와 품질관리, 정비 분야에서 숙련 일자
[더구루=김은비 기자] 자동차 가격 급등으로 인해 ‘초장기 대출’이 자동차 금융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 차량 평균 가격이 5만 달러에 육박하면서, 소비자들이 월 납입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장기 대출을 택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미국 신규 자동차 대출 가운데 21.6%가 84개월로 집계됐다. 이는 60개월 대출(36.1%)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이다. 일부 금융사에서는 8년(96개월)짜리 초장기 상품까지 부활시키기도 했다. 이처럼 장기 대출이 등장한 이유는 고가의 자동차 가격 때문이다. 콕스 오토모티브(Cox Automotive)에 따르면 미국 내 자동차 평균 거래가격은 5년 전과 비교해 급등했다. 지난 6월 기준 신차는 5만 달러, 전기차는 5만6910달러까지 치솟았다. 높아진 자동차 가격에 장기 대출일 수록 이자와 상환액은 더 늘어나지만 소비자들은 월 납입금 인하에 더 높은 가치를 두고 있는 모습이다. 이처럼 가격이 높아진 데에는 트럼프 행정부의 글로벌 상호 관세가 자리잡았다. 미국은 지난 4월 수입 자동차·부품에 25% 관세를 부과했으며 한국과는 최근 미국산 에너지 구매 등을 조건으로
[더구루=진유진 기자] 중국이 니코틴 파우치 제품의 자국 내 출시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국내 기업들이 관심을 보여온 차세대 담배 시장이 국가 주도로 열리는 셈으로, 중국 내 새로운 성장 기회를 노린 전략이라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담배독점관리국(STMA)이 관련 기관에 니코틴 파우치 제품 개발과 국내 시장 출시 준비를 지시했다. 니코틴 파우치는 가열식 담배보다 기술적·지적 재산권 위험이 낮아 승인 과정이 비교적 용이하다는 내부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제품 출시 시점도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중국 국영 기업들은 이미 해외 시장에서 가열식 담배를 판매하고 있으나, 주요 특허가 국제 담배 기업에 집중돼 있어 국내 판매 승인은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니코틴 파우치는 국가 체계 내에서 공식 개발되는 첫 차세대 담배 제품이 될 전망이다. STMA 산하 일부 계열사는 니코틴 파우치에 대한 소비자 관심과 유통 준비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담배 소매업체를 대상으로 시장 조사에 착수했다. 이 데이터는 향후 출시 전략과 가격 정책 등 세부 계획을 수립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