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롯데그룹의 기업 주도형 벤처캐피털(CVC)인 롯데벤처스가 베트남 유망 스타트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한다. 6일 베트남 호찌민시 등에 따르면 롯데벤처스 베트남과 호찌민시는 지난달 말 현지 유망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업무협약을 맺었다. 양측은 △스타트업 행사 및 혁신 프로그램 공동 개최 △베트남 스타트업의 한국 진출 △민관 파트너십 구축 등에 협력할 예정이다. 롯데벤처스 베트남은 "이번 파트너십은 한국과 베트남 스타트업 생태계 공동 발전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라며 "유망 스타트업에게 의미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베트남 혁신 생태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롯데벤처스는 지난 2021년 베트남 법인을 설립했다. 베트남 정부의 기업 등록 발급 승인을 받은 외국계 벤처투자법인은 롯데벤처스가 최초다. 이어 2022년부터 창업진흥원과 함께 한국 스타트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하고 롯데그룹 베트남 계열사와 오픈 이노베이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있다. 작년 10월에는 베트남에서 최초로 외국계 벤처투자기관 자격으로 현지 펀드를 조성했다. 그룹사인 롯데쇼핑, 호텔롯데, 롯데건설이 출자했다. 베트남에서 교육 사업 등 AI 기술을 활용해 비즈니스를 하는 스타트업과 롯데 계열사 비즈니스와 연관될 가능성이 높은 기업 위주로 집중 투자할 전망이다. 베트남은 동남아 지역에서 스타트업이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국가다. 2023년 기준 3800여개의 스타트업이 활동 중이다. 베트남 정부는 기술 기반 스타트업 창업을 경제 발전을 위한 핵심 전략의 하나로 선정하고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와 양천구 목동11단지 아파트가 본격적인 재건축에 들어간다. 6일 서울시에 따르면, ‘강남구 은마아파트 재건축 정비계획 결정(안)’과 ‘목동11단지아파트 재건축사업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결정·경관심의(안)’이 최근 제9차 도시계획위원회 신속통합기획 수권분과위원회에서 수정 가결됐다. 은마아파트는 지난 1979년 준공 후 46년이 된 노후 단지다. 주거 환경 개선과 안전 확보를 위해 정비사업 필요성이 계속 나왔지만 '최대 35층 높이 제한' 등으로 인해 사업 추진이 지지부진한 상황이었다. 하지만 이번에 높이 제한이 49층으로 올라가면서 사업 추진도 급물살을 타게 됐다. 은마아파트는 최고 49층 5893세대(공공주택 1090세대) 규모 단지로 탈바꿈한다. 대치동 학원가 쪽과 학여울역 변 2곳에는 공원이 조성되며, 학원가 쪽 공원 지하에는 400대 규모의 공영주차장과 개방형 도서관이 들어선다. 목동11단지는 계남근린공원, 신트리공원 등 녹지공간과 계남초, 봉영여중, 목동고 등 학교가 인접해 우수한 주거환경을 갖춘 지역으로 평가 받는다. 이번 정비 계획에 따라 용적률 300% 이하, 높이 145m(최고 41층) 이하, 공동주택 2679세대(공공주택 352세대 포함)와 부대복리시설이 들어선다. 대상지 북측 신트리공원, 서측 계남근린공원과 연계한 근린공원을 설치해 목동지구 남측 거점 공원을 조성한다. 봉영여중과 목동고교변으로 소공원도 지을 계획이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오션이 폴란드 우군 확보에 적극 나섰다. 폴란드 유체 시스템 전문 기업인 락핀(Rockfin S.A), 파워 유압 및 산업 자동화 회사 하이드로메가(HYDROMEGA sp. z o.o.)를 협력사로 추가하며 연이어 양해각서(MOU) 체결 소식을 전했다. 차세대 잠수함 사업인 '오르카' 사업을 겨냥해 폴란드 기업들과 장기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있다. 5일 락핀과 하이드로메가에 따르면 지난 2~5일(현지시간) 폴란드 키엘체에서 열린 국제 방위산업 전시회 'MSPO 2025'에서 한화오션과 MOU를 체결했다. 한화오션은 락핀과 유체 시스템 개발에 협력한다. 함정뿐만 아니라 시추 플랫폼, 부유식 원유 생산·저장 설비(FPSO) 등 다양한 분야에 쓰이는 시스템의 설계와 생산, 시험, 정비에 폭넓게 협업한다. 정승균 한화오션 특수선해외사업단장(부사장)은 "락핀은 유체 시스템 분야에서 탄탄한 입지를 굳힌 기업"이라며 "락핀의 노하우와 첨단 엔지니어링 및 제조 역량은 한화의 해양 프로젝트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한화오션은 하이드로메가와도 유압 기기 개발·통합을 추진한다. 유압 시스템 구성 요소인 액츄에이터와 파워 유닛 등을 공동 설계하고, 해양 인프라 관련 솔루션 개발에 나선다. 한화오션은 이번 전시회 기간 폴란드 기업들과 교류하며 연이어 MOU에 서명했다. 한화오션은 전자장비 업체 파모르(FAMOR)와 3000톤(t)급 잠수함 '장보고-Ⅲ(KSS-III) 배치-II'에 파모르의 솔루션을 탑재하는 내용의 MOU에 서명했다. 해양 정보통신 솔루션 전문 기업인 에나모르와도 함정용 IT와 전자 기술 통합에 협력한다. <본보 2025년 9월 4일 참고 한화오션, 폴란드 잠수함 수주전 '우군' 확보…파모르와 MOU 체결> 한화오션은 폴란드 공급망을 넓히며 오르카 사업 수주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함정 수출을 넘어 기술 이전, 인력 양성, MRO를 지원하며 폴란드의 방산 역량 강화에 이바지한다는 포부다. 오르카 사업은 3000t급 약 3조4000억원을 들여 잠수함 3~4척을 구매하는 사업이다. MRO까지 포함할 경우 최대 8조원 규모로 추정된다. 한화오션은 KSS-III 배치-II를 제안했으며, 프랑스 나발 그룹(Naval Group), 스페인 나반티아(Navantia), 스웨덴 사브(Saab) 등 유럽의 대표 방산업체와 경쟁하고 있다.
[더구루=김나윤 기자] 한화생명보험이 인수한 인도네시아 리포 손해보험(Lippo General Insurance)이 상반기 실적 개선와 함께 신임 임원 선임을 동시에 발표했다. 리포 손해보험은 지난 1일(현지시간) 열린 연례 주주총회(AGMS)에서 2025년 상반기 순이익이 1100억 루피아(약 93억6100만원)를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작년 상반기 약 300억 루피아(약 25억5300만원) 대비 약 4배나 급증했다. 실적 개선은 "보험 서비스 수익 성장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상반기 보험 서비스 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14.28% 증가한 1조6800억 루피아(약 1400억원)에 달했다. 이에 따라 주당순이익(EPS)도 10루피아(약 0.9원)에서 35루피아(약 3원)로 뛰었다. 리포 손보는 또한 로베르토 페르난데스 펠리시아노(Roberto Fernandez Feliciano)를 새 이사로 선임했다고 밝혔다. 기존 이사 알리 첸드라(Ali Chendra)는 지난 4월 사임했다. 리포 손보의 호실적은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이 주도한 해외 사업 확장의 성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김 사장은 2023년 리포 손해보험, 2024년에는 현지 노부은행(Nobu Bank) 지분을 인수하며 인니 시장을 집중 공략해 왔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해외에서 다연장로켓 천무를 '딥 스트라이크(Deep Strike)'로 브랜드화한다. 정밀한 장거리 타격 능력을 강조한 이름으로 천무의 인지도를 높인다. 또한 사거리를 늘려 천무의 성능을 한층 강화하고 독자적으로 방위 능력을 확보하려는 유럽을 공략한다. 5일 영국 방산 전문지 '아미 테크놀로지' 등 외신에 따르면 사이먼 험프리(Simon Humphrey) 한화디펜스 영국사무소 담당 임원은 지난 4일(현지시간) 미디어 브리핑에서 " '딥 스트라이크'로 브랜드화된 K239 천무로 유럽의 (장거리) 전력 공백을 메꾸려 한다"고 포부를 내비쳤다. 딥 스트라이크는 천무의 해외 수출 브랜드명이다. 깊숙한 후방까지 정밀하게 타격하는 천무의 성능을 직관적으로 드러내고자 명명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기존 '천무'에 더해 새 브랜드명인 '딥 스트라이크'를 병행해 사용하며 홍보 효과를 극대화한다는 전략이다. 장거리 억제력에 대한 수요를 고려해 성능도 개선하고 있다. 현재 최대 290㎞인 천무의 사거리를 500㎞까지 늘리고자 장거리 미사일 CTM-500을 개발하고 있다. 지난해 중동 고객사의 요청으로 정부가 수출용 미사일에 대한 사정거리 제한을 기존 300㎞에서 500㎞로 완화하면서 미사일 개발의 물꼬가 텄다. 향후 L-PGW(Loitering Precision Guided Weapon·무인기 형태의 유도미사일)까지 결합하면 천무의 정밀 타격 능력이 한층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화에어로스페이는 지난 6월 제주 군사 학술대회에서 천무 3.0 개념도를 처음 공개하며 L-PGW 탑재 계획을 밝혔다. L-PGW를 탑재한 미사일은 최대 300㎞까지 날아가 움직이는 적을 격추할 수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업그레이드된 천무가 중동뿐만 아니라 유럽에서도 환영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3차 세계대전으로 확전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며 미국은 우크라이나에 장거리 미사일 사용을 제한해왔다. 작년 11월에야 우크라이나에 러시아 본토를 직접 공격할 수 있는 '에이태큼스(ATACMS)'의 사용을 허가했다. 에이태큼스는 록히드 마틴이 개발한 사거리 약 300㎞의 지대지 미사일이다. 미국의 기조 변화에 유럽도 이를 따를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유럽의 주력 미사일 중 하나인 영국 스톰 섀도는 사거리가 약 250㎞다. 러시아의 군사적 위협에 대응하기엔 역부족이다. 영국은 독일과 사거리 2000㎞를 넘는 장거리 미사일을 공동 개발하고 있다. 올해 5월 양국 국방장관을 계기로 유럽 공동 장거리 미사일 개발 프로그램을 주도하자고 뜻을 모았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영국에 주요 군수품 생산시설 건립을 추진한다. 기존 군사 시설을 활용하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는 상황으로, 현지 정부와 논의를 본격화하며 영국 방산 시장 진입을 위해 끊임없이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5일 영국 방산 전문지 '아미 테크놀로지' 등 외신에 따르면 사이먼 험프리(Simon Humphrey) 한화디펜스 영국사무소 담당 임원은 전날 미디어 브리핑에서 영국 제조 시설 건설에 대해 "영국 기업통상부와 협상 초기 단계에 있다"고 밝혔다. 이어 "기존 군사 시설을 활용할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며 탄약과 추진제 등 주요 군수품을 현지에서 생산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수주 국가에서마다 현지화 전략을 펼쳐왔다. 지난 2020년 호주 정부와 1조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한 후 빅토리아주 질롱시에 공장을 지어 생산을 시작했다. 계약 물량인 AS-9 30문(K9의 호주 수출 모델)과 AS-10 탄약운반차(K10의 호주 수출 모델) 15대 중 각각 28문, 9대를 현지 공장에서 2027년까지 양산해 공급한다. 지난해 1조4000억원 규모 계약을 체결한 루마니아와도 공장 건설을 준비하고 있다. 연내 착공해 2027년부터 K9 자주포와 K10 탄약운반차를 생산할 계획이다. 또한 K9 자주포 최대 도입 국가인 폴란드에선 현지 WB그룹과 유도탄 합작공장 건설에 나섰다. 영국도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주요 타깃 시장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영국에서 지난 2023년 지사를 열었다. K9 자주포와 보병전투차(IFV) 레드백, 다연장로켓 천무 등 주력 무기 수출을 추진하며 현지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 험프리 담당 임원은 앞서 영국 방산 전문지 캐리버 디펜스(Calibre Defence)와의 인터뷰에서도 한화의 장점을 '현지화'로 꼽으며 K9 개량형인 K9A2 자주포 공급을 협상했을 때도 유사한 투자 제안을 내놓았다고 밝혔었다. 다만 투자가 진전되려면 뚜렷한 수요가 전제돼야 한다는 게 한화 측의 입장이다. 호주와 루마니아, 폴란드의 사례에서도 수주 후 투자가 진행됐었다. 험프리 담당 임원은 "영국 국방부가 공급사나 잠재 공급사에 수요에 대한 명확한 정보를 제공할 때까지 사업 타당성을 확보하기 매우 어렵다"며 "이것이 당사와 다른 기업들의 발목을 잡고 있는 요인 중 하나다"라고 강조했다. 영국 정부는 국방비 증액에 긍정적이다.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는 지난 6월 유럽의 재무장 추세에 맞춰 2035년까지 국방비를 국내총생산(GDP)의 5% 수준으로 올리겠다고 공언했다. 지난해 2.3%에서 두 배 이상 오르는 셈이다. 하지만 증액이나 복지 삭감 없이 예산 확보가 쉽지 않아 현지에서는 GDP 대비 5%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 있다. 스타머 총리는 중기 정부 지출 계획을 통해 GDP 대비 국방비 비중을 2027년까지 2.6% 수준으로 설정했으나 그 이후 세부 계획을 내놓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과 국토안보수사국(HSI)이 현대자동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공동으로 건설 중인 조지아 배터리 공장에 대한 대규모 압수수색에 나섰다. 수사 주체가 ICE라는 점에서 불법체류 외국인 근로자 단속의 일환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5일 SNS와 업계에 따르면 ICE와 HSI는 5일(현지시간) 조지아주 브라이언 카운티에 위치한 현대차·LG엔솔 합작법인 HL-GA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했다. 양측은 수색 과정에서 헬리콥터와 조지아주 순찰대(GSP) 차량을 투입, 외부인 출입을 봉쇄한 뒤 현장을 통제했다. HSI는 성명을 통해 “불법 고용 관행 및 기타 중대한 연방법 위반 혐의에 대한 진행 중인 형사 수사 일환으로 수색영장을 집행했다”고 밝혔다. 다만 체포자 발생 여부나 구금된 인원이 있는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이번 압수수색으로 HL-GA 배터리 공장에 대한 건설 작업은 중단됐다. HL-GA 배터리 합작법인은 “당국의 조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있다”며 “조사를 위해 공장 건설 공사를 일시 중단한 상태”라고 밝혔다. 다만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생산 라인은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다. 이번 사태는 ICE가 직접 작전을 주도한 만큼 불법체류 외국인 고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단속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동시에 미국 내 대규모 외국인 투자 프로젝트에 대해 의례적으로 진행되는 점검 성격일 수 있다는 해석도 있다. 업계는 이번 압수수색이 HL-GA 배터리 공장에 미칠 파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HL-GA 배터리 공장은 총 75억9000만 달러(약 10조 원)가 투입된 핵심 프로젝트로, 오는 2028년까지 연간 30만대(30GWh) 전기차 배터리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미 준공이 1년 지연된 상황에서 또 다른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 업계 관계자는 “HL-GA 배터리 공장은 현대차그룹이 북미를 전동화 핵심 시장으로 삼는 데 있어 전략적 요충지"라며 "이번 압수 수색이 일정에 차질을 줄 경우 현대차그룹 미국 전기차 공급망 전략과 현지 투자 일정 전반에 변수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교보생명과 KB인베스트먼트가 미국 배터리 소재 스타트업 '액트아이온 배터리 테크놀로지스(ACT-ion Battery Technologies)'에 투자했다. 단결정 양극활물질(CAM) 개발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액트아이온은 5일 사전 시리즈A 라운드 일환으로 400만 달러(약 60억원)의 투자 유치를 완료했다. 교보생명과 KB인베스트먼트 등 한국계 금융사가 투자했다. 이로써 액트아이온의 누적 투자액은 1150만 달러(약 160억원)로 늘었다. 앞서 액트아이온은 올해 2월 750만 달러(약 100억원) 자금을 조달한 바 있다. 당시 LG그룹의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털(CVC) LG테크놀로지벤처스와 미래에셋캐피탈이 참여했다. 액트아이온은 신규 자금을 미국 텍사스주(州) 캐럴턴 시범 공장의 증설과 시운전을 완료하는데 투입할 예정이다. 또 전기차(EV) 및 에너지 저장 분야 업계 협력사와 상업적 검증 및 구매 계약 체결 등에도 사용할 계획이다. 진림(한국명 임진명) 액트아이온 최고경영자(CEO)는 "교보생명과 KB인베스트먼트의 지원은 우리의 계획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추가 자본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한국 배터리 생태계로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할 것"이라며 "테슬라, GM, 포드 등에 배터리를 공급하는 한국 대기업과 직접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할 것"이라고 전했다. 교보생명은 "액트아이온은 더욱 깨끗하고 효율적인 공정을 통해 화학 반응에 구애받지 않는 단결정 양극활물질을 생산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어 미국 배터리 소재 분야의 미래 리더로 자리매김할 잠재력이 있다"고 밝혔다. KB인베스트먼트는 "액트아이온의 기술은 고성능 차세대 배터리 소재를 대량 생산하는 데 있어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2019년 설립된 액트아이온은 텍사스주(州) 댈러스에 본사를 둔 리튬이온 배터리 양극활물질 전문기업이다. 미국 석유회사 헌트에너지에서 분사했다. 양극활물질은 이차전지의 용량과 전압을 결정하는 핵심 소재다. 이 회사는 단결정 양극활물질 제조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단결정은 소재의 단위 입자가 하나의 결정 형태를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대부분의 전기차 배터리에는 여러 개의 결정 모양이 하나의 입자를 이루는 다결정 양극활물질이 적용된다. 다결정 제품은 압연 공정 및 충·방전 과정에서 입자 내 균열이 발생해 배터리 내 가스를 발생시키거나 수명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반해 단결정 제품은 하나의 결정 모양이 하나의 단위 입자 구조로 결합하기 때문에 입자 내 균열 발생을 방지하고, 안정성과 수명 성능도 우수하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SK그룹이 지난달 중국에서 직전 달 대비 약 30% 많은 특허를 확보했다. 반도체부터 친환경 신소재·바이오 분야에 이르기까지 특허 포트폴리오를 지속 확장하며 기술 주도권을 공고히 하고, 향후 중국 시장에서 신사업 기회와 수익 확대를 견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4일 중국 국가지식산권국(CNIPA)에 따르면 CNIPA는 8월 SK하이닉스, SK이노베이션, SK온, SK지오센트릭, SK엔무브 등 SK그룹 7개 계열사가 출원한 총 108건의 특허를 승인했다. 승인일은 총 8일로, 하루 평균 약 13건이 등록됐다. 계열사별로는 SK하이닉스가 55건으로 가장 많았다. △SK온(39건) △SK이노베이션(14건) △SK지오센트릭(9건) △SK케미칼(1건) △SK엔무브(1건) △SK라이프사이언스랩스(1건) 등이 뒤를 이었다. SK그룹은 이번 특허 성과를 통해 기술 경쟁력 강화와 사업 확장을 동시에 꾀하고 있다. 계열사들은 각자의 핵심 분야에서 기술 개발 속도를 높이는 한편, 공동 프로젝트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이러한 성과는 단순한 특허 등록을 넘어,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의 사업 경쟁력과 신성장 분야 기술 확보라는 장기적 목표를 위한 기반으로 평가된다. SK하이닉스는 메모리 및 반도체 장치의 성능 향상과 제조 공정 안정성 확보에 집중했다. '안정적인 구조를 갖는 다중 칩 패키지 및 이의 형성 방법(특허번호 CN120565545A)'은 고집적 다중 칩 환경에서도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설계됐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검증 동작 제어 방법(특허번호 CN120564800A)'은 검증 과정에서 오류를 최소화한다. 이밖에 3D 반도체와 워드라인·비트라인 구조 최적화 등 고속·대용량 데이터 처리 환경을 지원하는 특허도 다수 포함됐다. SK온과 SK이노베이션은 배터리 소재와 전지 제조 기술에서 성과를 나타냈다. SK온은 '전지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지 제조 방법(특허번호 CN120565824A)'과 '무선 배터리 관리 장치, 이를 포함한 배터리 팩 및 장치(특허번호 CN120511380A)'를 통해 전지 조립과 관리 효율성을 높였다.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특허번호 CN120565799A)'와 '양극 리튬이차전지용 전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특허번호 CN120511295A)'는 에너지 밀도와 안전성을 동시에 강화한다. SK이노베이션은 '리튬 전구체 분리 방법 및 시스템(특허번호 CN120497509A)'과 '암모니아 합성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특허번호 CN120437900A)'을 통해 재료 정제와 친환경 화학 공정을 구현했다. SK지오센트릭과 SK이노베이션의 공동 개발 특허는 고분자 복합 소재 설계 효율을 높였다. '고분자 복합 재료의 조성 예측 방법 및 장치(특허번호 CN120511263A)'와 '에틸렌 폴리머 제조용 윤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에틸렌 폴리머 제조 방법(특허번호 CN120399784A)’은 소재 특성 예측과 생산 공정 최적화를 가능하게 해 전기차, 첨단 소재 등의 분야에서 응용이 기대된다. SK케미칼은 '폴리에스터 수지 및 제조 방법(특허번호 CN120569425A)'을 통해 친환경 고분자 소재 개발 역량을 입증했다. SK바이오팜의 미국 자회사인 SK라이프사이언스랩스는 미국 미시간대학교와 공동 개발한 '에스트로겐 수용체 분해제로서의 테트랄린 유도체(특허번호 CN120500489A)'를 확보하며 생명과학 분야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미국 전기차(EV) 시장에서 '깜짝 판매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지난달 전기차 판매가 70% 넘게 급증했다. 이달 말로 예정된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세액공제 폐지로 소비자들이 전기차 선구매에 나서면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미국법인은 지난달 전기차 9920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월(5754대) 대비 72% 수직 상승한 수치다. 현대차 실적은 아이오닉 5가 견인했다. 7773대 판매되며 전년 동월 대비 61% 급증했다. 아이오닉 6 역시 전년 대비 30% 증가한 1047대를 기록했다. 최근 신규 투입된 대형 전기 SUV 아이오닉 9은 첫 달부터 1016대가 팔렸다. 다만 업계에서는 세액공제가 오는 9월 30일 종료되면 전기차 판매가 급감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예고한 IRA 세액공제는 이달 말 폐지된다. 이에 따른 판매 절벽이 우려된다. 한편, 현대차는 지난달 좋은 판매 성적표를 받았다. 현대차는 지난달 8만8523대를 판매, 역대 동월 최대 판매고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12% 증가한 수치다. 모델별로 팰리세이드가 전년 동월보다 39% 급증한 1만5560대가 판매되며 실적 상승을 주도했으며, △싼타페(1만2840대) △투싼(1만7954대) △엘란트라(1만5282대) 등 주력 모델도 고른 성과를 보였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최대주주로 있는 쎄트렉아이(Satrec Initiative)의 지구관측 솔루션 자회사 '에스아이아이에스(SIIS)'가 유럽에서 위성 영상 임대 서비스 신규 수주를 따냈다. 유럽에서 국내 상용 위성 기술의 기술적·상업적 경쟁력을 입증, 현지 시장 공략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4일 에스아이아이에스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25cm 초고해상도 광학 위성 '스페이스아이-티(SpaceEye-T)'를 기반으로 유럽 주요 기관과 수천만 유로 규모의 위성 영상 임대 계약을 체결했다. 구체적인 계약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수천만 유로 수준인 것으로 전해진다. 스페이스아이-T는 모기업 쎄트렉아이가 독자 자본과 기술력으로 개발한 대한민국 최초의 민간 광학 위성이다. 지난 3월 스페이스X 트렌스포터-13(SpaceX Transporter-13) 라이드셰어를 통해 궤도에 진입했으며, SIIS가 위성 운영과 데이터 배포를 담당하고 있다. 이번 계약에는 위성을 직접 소유하지 않고도 영상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위성 임대 서비스(Satellite-as-a-Service, Sat-aaS) 모델이 적용됐다. 이를 통해 고객은 특정 지역에 대한 독점 촬영 권한을 확보하고, 촬영된 영상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으며, 종단간 암호화와 자동 데이터 삭제 기능으로 보안도 강화된다. Sat-aaS 모델은 위성 소유 없이 맞춤형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내 상용 위성의 수출 확대와 해외 시장 진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된다. 에스아이아이에스는 Sat-aaS 사업이 확대되면서 안정적인 매출 기반을 확보하고, 글로벌 고객층 확대와 추가 프로젝트 참여 기회를 모색할 전망이다. 에스아이아이에스는 쎄트렉아이가 개발한 인공위성의 영상 데이터를 판매·배포하는 자회사다. 2014년 설립 이후 국내 다목적 실용위성 3·3A·5호 영상을 제공해왔으며, 현재는 스페이스아이-T를 기반으로 위성 임대 서비스 모델을 운영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오는 2027년과 2028년에 추가 위성을 발사해 '스페이스아이' 위성 군집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방, 정보 수집, 정밀 농업, 도시 계획, 재난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문규 에스아이아이에스 대표는 “위성 임대 서비스는 데이터의 접근성 및 보안성 측면에서도 경쟁력을 갖추고 있어 최근 글로벌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이번 계약은 한국의 상용 위성인 스페이스아이-T가 국제 시장에서 신뢰를 확보하고, 글로벌 우주산업의 새로운 흐름에 본격적으로 합류한 의미 있는 사례라 할 수 있다"고 밝혔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대우건설이 미국 알래스카주 앵커리지를 찾아 LNG 프로젝트 등 신규 사업 가능성을 모색했다. 알래스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LNG 사업을 추진 중인 지역으로, 우리나라에 대해 강하게 개발 참여를 요구하고 있다. 4일 주앵커리지 공관에 따르면, 대우건설 대표단은 지난 2일 박중석 주앵커리지 출장소장을 만나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등 현지 에너지 개발 현황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대우건설은 LNG 플랜트 분야에서 우수한 시공 기술력과 풍부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어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개발 참여 가능성이 가장 높은 건설사다. 실제 대우건설은 지난 2020년 5월 2조원 규모의 나이지리아 ‘LNG Train7’ 프로젝트를 수주한 이력이 있다. 같은해 12월에는 5000억원 규모의 모잠비크 ‘LNG Area 1’ 공사 계약을 따내며 LNG 플랜트 개발 시장 내 존재감을 키워왔다. 이번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의 경우 알래스카 북쪽 끝 노스슬로프 지역에서 나오는 천연가스를, 새로 건설할 약 1300㎞ 가스관을 거쳐 앵커리지 인근 부동항인 남쪽 니키스키까지 수송해 액화한 뒤 수요지로 공급하는 프로젝트다. 트럼프 대통령의 사업 개발 의지가 높은 프로젝트이기도 하다. 알래스카는 트럼프 대통령 지지율이 높은데다 러시아와 중국 등 주변국과의 패권 경쟁에서 군사 전략의 요충지로 평가 받고 있어서다. 이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주요 우방국이자 세계 2위·3위 LNG 구매국인 일본과 한국에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개발 참여를 강하게 요구했다. 지난달 이재명 대통령과의 한미정상 회담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를 언급하며 한국의 참여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관건은 사업성이다. 수익성이 불투명하다보니 먼저 나선 기업들은 이미 떠났다. 사업 개발 초기였던 지난 2014년 AGDC(알래스카 가스라인 개발공사) 주도로 글로벌 석유 기업 엑손모빌과 BP 등이 참여했지만, 비용 대비 수익성 문제로 현재는 AGDC만 남고 나머지 기업들은 철수했다. 한 마디로 '독이 든 성배' 같은 사업이다. 미국 에너지 컨설팅업체 ‘라피단 에너지 그룹’에 따르면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의 2단계 사업 비용은 600억 달러(약 83조원) 이상으로 추산된다. 이는 당초 예상했던 사업 비용인 330억 달러(약 45조원)보다 약 2배 가까이 높아진 수치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폴란드가 고속철도 사업 입찰을 조만간 시작한다. 대규모 예산을 편성하고 '바르샤바-우쯔(Warsaw–Łódź)' 구간의 입찰 추진을 시사했다. 신공항과 주요 도시를 연결할 철도망 구축에 본격 돌입하면서 현대로템의 참여도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17일 폴란드 신공항사(Centralny Port Komunikacyjny, 이하 CPK)에 따르면 내년부터 3년 동안 약 100건의 입찰을 추진한다. 내년에만 400억 즈워티(약 15조4100억 원) 상당 입찰에 나선다. 입찰 규모는 1분기 약 70억 즈워티(약 2조6900억 원), 2분기 약 200억 즈워티(약 7조7000억 원), 3분기 약 30억 즈워티(약 1조1500억 원), 4분기 약 100억 즈워티(약 3조8500억 원)로 전망된다. 가장 이목을 끄는 입찰은 바르샤바-우쯔 고속철도 사업이다. 이 사업은 약 480㎞ 고속철도를 깔아 폴란드 신공항과 수도인 바르샤바, 우쯔, 포즈난을 잇는 Y자형 고속철도의 구간 중 하나다. CPK는 완공 후 바르샤바와 우쯔의 이동 시간이 약 70분에서 40분으로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바르샤바에서 신공항까지 이동 시간은 20분 이내로 단축된다. C
[더구루=오소영 기자] 싱가포르 인공지능(AI) 인프라 회사 'SUPX(Super X AI Technology Limited)'가 중국 항저우중헝전기(杭州中恒电气, 이하 중헝전기)와 초고압직류송전(HVDC) 합작사를 출범한다. 중국 주요 기업들을 고객사로 둔 중헝전기의 HVDC 기술을 활용해 세계 시장에 진출한다. AI 데이터센터로 확산되는 HVDC 수요를 공략한다는 계획이지만 주요국들의 '탈(脫)중국' 기조가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선전증권거래소에 따르면 SUPX의 자회사 '슈퍼엑스 AI 솔루션(Super X AI Solution Limited)'은 에너벨파워(Enervell Power)와 합작사 '슈퍼엑스 디지털 파워(SuperX Digital Power Pte. Ltd.)'를 설립한다. 신설 합작사는 싱가포르 상업지구인 메이플트리 비즈니스 시티에 위치한다. 총투자액은 200만 싱가포르 달러(약 20억 원)로, 글로벌 데이터센터 시장을 겨냥해 HVDC 사업을 전개하는 역할을 한다. 지분은 △슈퍼엑스 AI 솔루션 40% △에너벨파워 20% △중헝전기 특수관계인 20% △싱가포르 주주(ONG CAI PING와 JOVAIL)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