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명은 기자] 길게는 열흘까지 이어지는 올해 추석 황금연휴를 앞두고 유통업계가 잇달아 선물세트 사전예약에 돌입했다. 올해는 특히 고물가와 이상기후로 식료품 가격이 오르면서 가성비 좋은 실속형 상품의 인기가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대형마트, 백화점, 편의점, 온라인 쇼핑몰 등 주요 유통업체들은 추석 특수를 선점하기 위해 사전예약 프로모션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와 롯데마트·롯데슈퍼는 지난 14일부터 추석 선물세트 사전예약에 들어갔다. 홈플러스는 고물가 상황을 고려해 전체 품목의 64%를 3만원 이하 실속형으로 구성하고, 배 등 수급이 원활한 과일 품목은 가격을 인하해 부담을 낮췄다. 롯데마트도 폭염과 이상기후로 과일 시세가 오른 것을 감안해 과일 세트의 혼합 구성을 확대했다. 초고가 위스키부터 실속형 와인까지 120여종의 주류 선물세트도 사전예약을 받고 있다. 롯데슈퍼는 곶감·견과 선물세트를 3만원 미만에, 사과·배 등 과일 선물세트를 5만원 미만에 판매한다. 이마트는 이달 18일부터 다음달 26일까지 40일간 추석 사전예약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연휴가 길어진 만큼 선물을 미리 준비하려는 수요가 클 것으로 보고 사
[더구루=오소영 기자] 체코가 오는 10월부터 독립형 배터리에너지저장치(BESS) 설치를 허가한다. 발전소와 연동하지 않고 단독으로 구축 가능해 대용량 BESS 투자가 늘 전망이다. 23일 체코 매체 iDNES 등 외신에 따르면 체코는 최근 에너지법 '렉스 OZE III(Lex OZE III)'을 개정했다. 개정안의 핵심은 오는 10월부터 국가 전력망에 독립형 BESS 연결을 허용하는 것이다. 기존에는 열병합과 태양광 등 다른 발전소와 BESS는 결합해야 했는데 개정 후 단독으로 설치가 가능해졌다. 체코 BESS 협회인 'AKU-BAT CZ'는 법안 개정으로 대용량 BESS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 체코에서 가장 큰 BESS 시설은 29MWh에 불과하다. 하지만 향후 수백 MWh 규모의 대형 프로젝트가 등장할 것이라는 게 협회의 분석이다. 실제 수천 MWh 규모에 달하는 BESS 투자 신청이 줄을 잇고 있다. 또 신규 투자자들을 끌어들여 전력망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협회는 투자자들이 전력 수급을 지원하는 전력 균형 서비스로 수익을 얻을 것으로 기대하지만 이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전력이 부족할 때 배터리에서 출력할 수 있는
[더구루=정등용 기자] KB국민카드가 인도네시아 법인 ‘KB 파이낸시아 멀티파이낸스’의 지분을 확대했다. 21일 인도네시아 금융감독청(OJK)에 따르면, 국민카드는 ‘파이낸시아 퍼시피카 라야(Finansia Pacifica Raya)’로부터 KB 파이낸시아 멀티파이낸스 주식 1131만주를 매입했다. 이에 따라 국민카드는 KB 파이낸시아 멀티파이낸스 주식 1억9231만주를 보유하게 됐다. 지분율은 기존 80%에서 85%로 올라갔다. 파이낸시아 퍼시피카 라야가 보유한 KB 파이낸시아 멀티파이낸스 주식은 3393만주로 줄었으며, 지분율은 15%다. 국민카드는 지난 2019년 여신 전문 금융사였던 ‘파이낸시아 멀티파이낸스(Finansia Multi Finance)’ 지분 80%를 950억원에 인수하며 인니 시장에 뛰어들었다. 이듬해 본격적인 영업을 시작해 현재 자동차·오토바이·내구재 할부금융 사업을 하고 있다. 지난 7월에는 경영 실적 개선을 위해 피터 할림 최고운영책임자(COO)를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KB 파이낸시아 멀티파이낸스는 올해 1분기 68억원의 손손실을 기록, 전년 동기 5억원 순이익에서 적자 전환했다.<본보 2025년 7월 7일 참고 KB카
[더구루=진유진 기자] 한세실업이 2년째 실적 악화 수렁에 빠진 가운데 하반기 전망에 빨간불이 켜졌다. 세계적인 고물가로 옷이 잘 팔리지 않자 브랜드들이 신규 주문량을 크게 줄인 데 따른 영향이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미국발(發) 관세 충격도 불확실성을 키우는 모양새다. 시장 전망도 밝지 않다. 한세실업은 의류를 세계 각지에서 생산해 미국 등에 납품하고 있어 관세율 상향의 영향으로 하반기 실적 개선 여부가 불투명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2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영업이익이 1413억원으로 전년보다 16% 감소했다. 이 기간 매출액은 1조7978억원으로 전년 대비 5.2% 증가했다. 문제는 수익성 악화가 3년째 이어지고 있다는 것. 2022년 1769억원이던 영업이익은 2023년 1682억원으로 뒷걸음질 치고 있다. 올해는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 전망도 부정적이다. 대미 관세 정책 도입에 따른 고객사들의 보수적 수주와 단기 인하 압력 등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은 942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6% 늘었으나, 영업이익은 지난해 2분기 806억원에서 326억원으로 59.6% 감소했다. 한세실업은 세계 각지에 둔
[더구루=정등용 기자] 글로벌 투자은행 UBS가 현대건설의 목표 주가를 낮췄다. 다만 "원전 건설 분야 내 현대건설의 강력한 입지가 하방 지지대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UBS는 20일(현지시간) 보고서를 통해 현대건설의 투자 등급을 ‘매수’에서 ‘중립’으로 하향 조정했다. 목표 주가는 8만1500원에서 6만2000원으로 24% 낮춰 잡았다. 이 같은 평가에 대해 UBS는 “현대건설이 이전에 예상했던 손실 외에 문제가 있는 해외 프로젝트에서 추가적인 손실 가능성이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또한 “한국 정부의 부동산 시장 규제 강화로 인해 부동산 시장 회복 속도가 더뎌질 것이라는 점도 요인이 됐다”고 부연했다. 다만 UBS는 “글로벌 원전 건설 시장에서 현대건설의 강력한 입지가 중장기적으로 하방지지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서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한국전력이 올해 초 미국 웨스팅하우스와 굴욕적 내용의 합의를 맺었다는 논란이 일면서 웨스팅하우스 원전 파트너인 현대건설 주가가 지난 20일 4.39% 하락해 6만원이 깨지면서 5만8800원에 머물렸다. 하지만 이번 조정 국면을 현대건설과 두산에너빌리티 등 원전주 매수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분석
[더구루=김나윤 기자] 관세 영향을 받아 요동치던 구리값에 또 하나의 변수가 등장했다. 칠레 국영 구리업체 코델코(Codelco)가 엘 테니엔테(El Teniente) 광산에서 발생한 사고로 올해 생산 목표량을 낮췄다. 루벤 알바라도(Ruben Alvarado) 코델코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20일(현지시간) 의회 청문회에서 “이번 사고로 약 3만3000톤의 생산 차질이 발생했다”며 “이에 따라 올해 구리 생산량이 31만6000톤 수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알바라도 CEO는 “생산 차질은 약 3억4000만 달러(약 4770억원)의 손실을 의미한다”며 “이는 지난주 추정했던 3억 달러(약 4200억원)보다 다소 늘어난 수치”라고 설명했다. 코델코는 지난 3월 올해 전체 구리 생산량을 137만톤에서 140만톤 사이로 제시했으나 이번 사고 이후 조정이 불가피해졌다. 막시모 파체코(Máximo Pacheco) 코델코 회장은 로이터에 “내부 조사가 마무리돼야 안데시타(Andesita) 구간 재가동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며 “올해 상반기 실적 발표와 함께 수정된 연간 생산 지침을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사고에도 불구하고 코델코는 오는 2030년까
[더구루=진유진 기자] 동서식품의 플래그십 스토어 '맥심플랜트'가 여름 시즌을 맞아 청량한 블루 인테리어와 이색 커피 메뉴로 차별화에 나섰다. 여름 감성에 걸맞은 공간 연출과 시즌 한정 음료, 공감각 체험 콘텐츠를 통해 도심 속 색다른 커피 경험을 제안한다는 전략이다. 21일 동서식품에 따르면 서울 한남동에 위치한 맥심플랜트는 이번 여름 '블루 인 맥심플랜트(Blue in Maxim Plant)' 콘셉트로 공간을 전면 재구성했다. 1층 폴딩도어 앞에는 수영장을 연상케 하는 포토존을 마련해 도심 속 바캉스 감성을 연출했고, 중앙 카운터 상단에는 푸른빛 실커튼을 설치해 시각적으로 시원한 분위기를 더했다. 지난 2018년 4월 문을 연 맥심플랜트는 누적 방문객 약 142만명(2025년 6월 기준)을 기록한 커피 복합문화공간이다. 계절마다 변화하는 테마 인테리어와 체험 콘텐츠, 스페셜티 커피로 브랜드 팬층을 꾸준히 확대해왔다. 이번 시즌 한정 메뉴도 눈길을 끈다. 대표 메뉴인 '코코넛 아이스 라떼'는 썸머 블렌드 에스프레소에 코코넛 밀크를 더해 고소하면서도 달콤한 풍미를 구현했다. 여기에 볶은 코코넛 가루를 올려 바삭한 식감과 이색적인 비주얼까지 갖췄다. 이와 함께
[더구루=진유진 기자] 엔비디아가 오는 2027년부터 고대역폭메모리(HBM) 핵심 부품 '베이스 다이'의 자체 생산을 추진합니다. 대만 공상시보(CTEE)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7세대 HBM인 HBM4E부터 자체 설계한 베이스 다이를 탑재할 계획입니다. 기존 공급망 의존도가 줄어들면서 HBM 시장과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에 상당한 파장이 예상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엔비디아 HBM 베이스다이 자체 생산 추진...공급망 역할 변화 '촉각'
[더구루=김명은 기자] 롯데그룹이 베트남에서 대규모 글로벌 인재를 채용한다. 베트남을 한국과 일본 다음의 전략 시장으로 보고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현지 인력을 롯데의 인재 풀로 육성하겠다는 전략이다. 롯데그룹은 오는 22일(현지시간) 베트남 하노이 'L7 웨스트 레이크 하노이 바이 롯데(L7 West Lake Hanoi By Lotte)'에서 '2025 롯데 글로벌 채용박람회'를 연다. 베트남의 유망한 청년들과 교류하고 채용을 확대함으로써 글로벌 역량을 갖춘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다. 이번 박람회에는 롯데백화점, 롯데호텔, 롯데월드, 롯데마트 등 롯데그룹의 베트남 현지 8개 법인이 참여하며, 약 300여개의 채용 기회가 제공된다. 채용 분야는 유통, 호텔, 정보기술(IT), 부동산,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산업을 아우르며, 박람회 당일에는 모의 면접, 커리어 상담, 기업 문화 소개 등이 이뤄진다. 특히 지원자들은 각 법인의 인사 담당자와 직접 만나 채용 절차, 업무 환경, 경력 개발 기회 등을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 행사장에는 채용 부스 외에도 롯데 사무실 견학 프로그램, 현장 참여형 이벤트, 기념품 증정 등 다양한 부대 행사가 마련된다. 아울러 한국
[더구루=오소영 기자] HMM이 참여한 해운 동맹인 '프리미어 얼라이언스(Premier Alliance)'가 노선을 새로이 편성했다. '아시아-지중해'와 '태평양-중동'으로 분리하고 '아시아-중동' 노선도 추가했다. 운항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항로 효율화를 꾀한다. 26일 HMM에 따르면 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고객들에 프리미어 얼라이언스의 노선 개편을 공지했다. 아시아와 지중해, 태평양 구간이 통합됐던 기존 'MP2'는 두 가지 서비스로 쪼개진다. 아시아-지중해 구간의 'MD2'와 태평양 횡단 노선에 중동 노선이 합쳐쳐 새롭게 탄생한 'KMP'다. MD2 노선은 부산에서 출발해 중국 상하이와 닝보, 대만 가오슝, 싱가포르, 스페인 바르셀로나, 제노바 등을 거쳐 포스에서 다시 부산으로 회항하는 노선이다. '현대 넵튠(HYUNDAI NEPTUNE 040W)'호가 내달 7일 처음 투입된다. KMP는 중동과 싱가포르, 베트남 카이멥, 중국 상하이, 부산, 미국 롱비치, 중국 칭다오, 대만 가오슝, 싱가포르, 중동 등을 오가는 노선이다. 내달 9일부터 YM 원더랜드호(YM WONDERLAND 028E)가 해당 노선에서 운항을 시작한다. 또한 아시아-중동 노선(Asia
[더구루=김예지 기자] 삼성전자가 모바일 게임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를 유럽으로 확대하며 글로벌 게임 유통 플랫폼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든다. 21일 삼성전자 글로벌 뉴스룸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갤럭시 기기에서 이용 가능한 모바일 게임 허브(Mobile Gaming Hub)를 새롭게 개편하고, 클라우드 게임 플랫폼의 유럽 베타 서비스를 시작했다. 첫 대상 국가는 영국과 독일이다. 향후 순차적으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번 개편을 통해 삼성전자는 모바일 게임 허브를 단순히 게임을 실행하는 도구를 넘어 △인공지능(AI) 기반 게임 추천 △커뮤니티 기능 △플레이 영상 시청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합한 플랫폼으로 발전시킬 방침이다. 정식 출시는 연내로 예정돼 있다. 삼성전자는 또한 미국의 AI 광고 기술 기업 몰로코(Moloco)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단순히 광고를 많이 노출하는 것을 넘어, 게임에 실제로 관심 있는 '고가치' 유저를 효율적으로 확보하는 데 중점을 둔 전략이다. 넷마블의 자회사 스핀엑스 게임즈(SpinX Games) 같은 일부 게임사는 기존 대비 30일 광고 수익률이 두배 수준으로 높아지는 성과를 기록했다. 수익 구조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경공격기 'FA-50'이 내년부터 폴란드 영공 수호 임무에 투입된다. KAI의 신속한 인도와 훈련 지원으로 조종사 양성에 속도가 붙으면서 계약 체결 이후 약 4년 만에 전력화가 예상된다. [유료기사코드] 폴란드 국방부와 P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부아디스와프 코시니악-카미슈(Władysław Kosiniak-Kamysz) 부총리 겸 국방장관은 지난 20일(현지시간) 민스크 마조비에츠키 공군 제23 전술비행단 기지를 찾아 "내년은 FA-50이 실전 배치되는 기적적인 해가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코시니악-카미슈 장관은 이날 FA-50 시뮬레이터 교육센터를 둘러봤다. FA-50 관련 교육을 받는 조종사들도 만나 진행 상황을 보고 받았다. 코시니악-카미슈 장관은 "이미 훈련을 마친 교관들이 있고, 이들이 새로운 폴란드 조종사를 양성할 준비가 됐다는 등 좋은 소식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며 "이 기체(FA-50)는 군인과 조종사, 지상 정비 인력에 호평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FA-50은 F-16과 작동 방식이 유사해 교관과 조종사, 특히 F-16 운용 경험이 있는 조종사의 재교육 과정이 용이하다"며 "공
[더구루=정등용 기자] 캐나다 일렉트라 배터리 머티리얼즈(Electra Battery Materials·이하 일렉트라)가 코발트 황산염 정제소의 확장·재개 건설을 위한 자금을 확보했다. 일렉트라와 황산코발트 공급 계약을 체결한 LG에너지솔루션도 한숨을 돌릴 수 있게 됐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일렉트라에 따르면, 업체는 전환사채의 60%를 대출기관을 위한 지분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대출기관은 주당 0.6달러의 주식을 받게 되며, 나머지 채권은 3년 만기 대출 형태로 전환된다. 이번 거래로 일렉트라의 부채는 기존 4000만 캐나다 달러(약 400억원)에서 2700만 캐나다 달러(약 270억원)로 감소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일렉트라는 3000만 캐나다 달러(약 300억원) 규모의 주식형 자금 조달도 추진한다. 주당 가격은 0.75달러이며, 대출기관은 1000만 캐나다 달러(약 100억원) 규모의 조건부 약정을 제공한다. 여기에는 일렉트라의 운영 자금으로 200만 캐나다 달러(약 200억원) 규모의 브릿지 대출도 포함된다. 이에 대한 대가로 일렉트라는 이사회 인원을 기존 5명에서 7명으로 늘리는 동시에 1명의 지명권을 대출기관에 부여하기로 했다. 일
[더구루=김은비 기자] 중국 BYD가 세계 전기차 레이싱 기록을 새롭게 썼다. 전기 슈퍼카 ‘양왕(Yangwang) U9 트랙 에디션’이 시속 472.4km(293.5마일)을 기록, 리막(Rimac) 네베라를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빠른 전기차 자리에 올랐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BYD 전기 슈퍼카 양왕 U9 트랙 에디션은 지난 8일(현지시간) 독일 파펜부르크(Papenburg) ATP 자동차 테스트 트랙에서 시속 472.4km(293.5마일)을 기록, 세계에서 가장 빠른 전기차로 자리매김했다. 기존 최강자로 꼽히던 리막 네베라의 기록인 431.4km를 넘어선 것이다. U9 트랙 에디션은 4개의 전기모터를 탑재, 총 2960마력(hp)의 출력을 발휘한다. 이는 리막 네베라가 보유한 1989마력 성능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차량 중량 대비 출력 비율 역시 톤당 1000마력이 넘어 리막(800마력/톤)을 압도한다. BYD는 지난해 양왕 U9 일반형 모델로도 최고 시속 391.9km를 기록했으나, 당시에는 네베라의 431.4km 기록을 넘지 못했다. 하지만 이번 트랙 에디션은 공기 저항을 최소화한 세팅으로 네베라의 벽을 단숨에 돌파했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