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인공지능(AI) 기업 블레이즈홀딩스(Blaize Holdings)가 충청북도 스마트시티 사업에 엣지AI 기술을 지원한다. [유료기사코드] 블레이즈는 "충북과학기술혁신원으로부터 충북 전역에 AI 기반 스마트시티 솔루션을 확장하는 디지털 혁신거점 개발 사업 파트너로 선정됐다"고 22일 밝혔다. 블레이즈는 AI·엣지컴퓨팅·사물인터넷(IoT)·데이터 분석 등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핵심 기술을 제공할 예정이다. 아울러 시범 운영 기간 기술 컨설팅·지원 서비스도 제공한다. 충북은 지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지역 디지털 혁신거점 조성 지원 사업'에 선정됐다. 이 사업은 비수도권 지역에 디지털 기업과 인재가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디지털 인프라 구축, 기술 개발, 기업 및 인재 네트워크 구축 등을 목표로 한다. 디나카르 무나갈라 블레이즈 최고경영자(CEO)는 "블레이즈와 충북과학기술혁신원은 엣지AI로 구동되는, 더 스마트한 세상이라는 비전을 공유한다"면서 "충북 디지털 혁신거점과의 협력은 지역 스마트시티 역량을 강화하는 동시에 AI가 전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입증할 것"이라고 전했다. 블레이즈는 엣지AI
[더구루=길소연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의 인도네시아 전기자동차(EV) 배터리 밸류체인(가치사슬) 투자 계획 철회 후 '여진'이 지속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LG에너지솔루션이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구축 투자에서는 철수했지만 LG전자를 비롯한 LG그룹 차원에서 개별 투자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나 인도네시아는 각종 인센티브를 제시하며 글로벌 기업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는 상황인지라 LG를 그냥 놓치기는 아쉬울 수 있는 상황이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인도네시아 tirto.id 등 현지 외신에 따르면 로산 로슬라니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BKPM) 청장 겸 투자부 장관은 전날 자카르타 대통령궁에서 "LG는 다른 분야에 대한 투자를 계속할 것이며, 투자 철회한 배터리에 대한 투자 가능성도 여전히 열려 있다"고 말했다. 앞서 LG에너지솔루션과 LG화학, LX인터내셔널 등으로 구성된 LG컨소시엄은 인도네시아 정부와 협의 끝에 11조원 규모의 배터리 밸류체인 구축 프로젝트를 철회하기로 결정했다. 이들이 빠진 자리는 중국 배터리 소재기업 화유코발트가 대신 전략적 투자자 역할을 맡기로 했다. 로산 장관은 "현재 인도네시아 새 국부펀드 다난타라(Danantara)를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일본 '라쿠텐 모바일(이하 라쿠텐)'이 진행한 현지 최초의 저궤도 위성(LEO) 영상 통화에서 핵심 '조력자' 역할을 했다. 위성과 직접 연결되는 기술이 상용 스마트폰에서도 가능하다는 점을 입증, 통신 사각지대 해소와 재난 대응 등 위성 통신 상용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25일 샘모바일에 따르면 라쿠텐이 최근 후쿠시마에서 진행한 미국 AST스페이스모바일의 저궤도 위성 기반 양방향 영상 통화에 현지에서 상업 판매중인 삼성전자의 갤럭시 스마트폰을 활용했다. 다만 삼성전자와 라쿠텐 간 공식적인 협업은 아니다. 이번 시험 통화는 위성 통신이 일반 스마트폰과 연결된 첫 사례다. 일반 소비자도 손쉽게 구매 가능한 갤럭시 스마트폰을 이용해 별도의 장비나 소프트웨어 수정 없이 통화를 성공했다는 점에서 위성 통신 대중화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평가가 나온다. 상용화될 경우 자연재해나 외딴 섬 지역 등 기존 통신망이 닿지 않는 곳에서도 모바일 통신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통화는 각각 후쿠시마와 도쿄에 위치한 인물이 일반 판매 중인 갤럭시 스마트폰을 활용해 진행했다. 후쿠시마에 위치한 라쿠텐 모바일의 게이트웨이 지구국에서 송신한 신호
[더구루=진유진 기자]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애플의 목표주가를 낮췄다. 23일 외신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애플의 목표주가를 기존 259달러에서 256달러로 내렸다. 이와 함께 투자 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골드만삭스 애널리스트는 리서치 노트를 통해 "애플이 신제품 혁신과 그에 따른 채널 충원, 관세 부담에 따른 가격 인상 가능성, 미국 내 통신사 간 경쟁 심화, 견고한 서비스 부문 실적이 애플의 강력한 펀더멘탈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삼호와 삼성중공업이 대만 컨테이너선사 완하이 라인(Wan Hai Lines)으로부터 1조원 규모의 메탄올 이중연료추진 컨테이너선 4척을 수주했다. 발주사의 지난해 주문 물량의 옵션 행사로, 각각 2척씩 건조한다. 25일 노르웨이 해운전문지 '트레이드윈즈(Trade Winds)'에 따르면 완하이는 HD현대삼호와 삼성중공업에 1만6000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대분)급 메탄올 이중 연료 컨테이너선 4척을 발주했다. 선박의 건조 단가는 척당 1억8600만 달러에서 2억400만 달러(약 2663억~2921억원) 사이이다. 총 거래 금액은 240억6500만 대만 달러에서 265억3000만 대만 달러(약 1조~1조1700억원)에 달한다. 신조선은 기존 선박유와 메탄올 모두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 선박 사양으로 건조된다. 메탄올 추진선은 기존 선박 연료보다 황산화물(SOx) 99%, 질소산화물(NOx) 80%, 온실가스는 최대 25%까지 줄일 수 있어 차세대 친환경 연료로 주목받고 있다. 다만 완하이는 메탄올 연료 공급망이 불안정한 데다 액화천연가스(LNG)와 비교해 가격 경쟁력이 떨어져서 LNG 추진선으로 전환을 검
[더구루=오소영 기자] 효성TNS가 미국 현지에서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직접 조립을 꾀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로 인한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현지 서비스센터를 '조립 거점'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전체 매출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미국 시장에서의 존재감을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21일 미 텍사스주 댈러스-포트워스 지역 방송사 'KXAS-TV'에 따르면 낸시 게일 대니얼스(Nancy Gail Daniels) 효성TNS 미국법인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지난 17일(현지시간) 인터뷰에서 트럼프의 관세 대응책에 대해 "한 가지 옵션은 제조 시설을 노스 텍사스로 이전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텍사스주 어바인에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해당 시설에서 ATM 조립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필요 사항들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효성TNS는 그동안 베트남에서 생산한 ATM을 미국에 수출해왔다. 베트남 공장은 지난 2020년 베트남 북부 박닌성 옌퐁 공단에 설립됐다. 85만 ft² 규모로 2000여 명의 직원을 뒀다. 연간 8만 개 이상의 생산능력을 갖춘 것으로 알려졌다. 작년 5월에는 효성의 최고운영책임자(COO)인 이상
[더구루=정등용 기자] 현대건설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우려를 나타냈다. 현재 미국 팰리세이즈 원자력발전소에 건설 중인 SMR(소형모듈원자로) 프로젝트의 비용 상승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다. 23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안찬호 현대건설 뉴에너지 사업기획실장은 최근 인터뷰에서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팰리세이즈 SMR 프로젝트 비용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비용 상승은 프로젝트 발주처인 홀텍 인터내셔널에 전가될 것이며 이는 곧 전력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안 실장은 “프로젝트 발주처나 미국 소비자에게 추가 비용을 전가하지 않기 위해 다양한 옵션을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다”면서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가격 경쟁력과 높은 품질을 모두 제공하는 미국 제조업체를 파악하기 위해 철저한 시장 조사를 수행하는 한편, 변화하는 관세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 2022년 폐쇄된 팰리세이즈 원자력발전소는 지난해 미국 에너지부(DOE)로부터 15억2000만 달러(약 2조1700억원)의 대출 보증을 받았다. 이와 함께 홀텍 인터내셔널이 미시간 주정부로부터 3억 달러(약 4300억원)를 추가로 지원 받아 현대건설이 SMR
◆ 글 싣는 순서 ①서드베리 시장 "자체 공급망 구축 온 힘...LG·SK 등 초대" ②VBM "북미 캐즘, 과속방지턱에 불과" ③프론티어 리튬 "韓 투자 필요…넥스트스타와 지속 논의" ④마그나마이닝 "투자 유치 첫걸음…EV 전환, 장기 트렌드" ⑤퍼스트 네이션 "광산 개발 적극 참여…발레·KGHM 파트너" [더구루=오소영 기자] "투자에 관심을 보이는 여러 회사와 미팅을 가졌다. 개발 속도를 높이기 위한 자금 조달과 함께 오프테이크(장기 구매 계약) 체결 가능성도 모색하고 있다." ◇ 첫 아시아 방문…실탄 확보 총력 폴 파울러(Paul Fowler) 마그나 마이닝(Magna Mining) 수석 부사장은 지난 8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이번이 첫 아시아 방문이라며 이같이 설명했다. 파울러 부사장은 "당사는 매우 큰 규모의 개발 자산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3~4년간 이 자산을 개발하기 위해 추가 자금이 필요할 수 있다"며 "그동안 (해외 자산) 인수에 집중하느라 적극적으로 외부 투자 유치를 모색하지 않았는데 이번 방문이 잠재적인 해외 파트너 확보를 위한 첫걸음"이라고 덧붙였다. 2017년 설립된 마그나 마이닝은 서드베리에서 니켈과 구리 광산 개발에
[더구루=길소연 기자] 영국 버진 애틀랜틱 항공이 한국 노선을 개설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장한다. 일본, 중화권, 베트남, 호주, 뉴질랜드 등 새로운 연결편을 마련해 동아시아 지역으로 서비스 범위를 넓힌다. 버진 애틀랜틱의 고객은 아시아 전역에 더 많은 선택권을 갖게 된다. 버진 애틀랜틱은 23일(현지시간)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 계획을 발표하며, 내년 3월 29일에 한국 인천에 신규 취항한다고 밝혔다. '런던 히드로-인천' 노선은 보잉 787-9 기종으로 매일 운항한다. 항공권은 오는 5월 14일부터 판매를 시작한다. 버진 애틀란틱의 인천행 노선은 한류 확산에 힘입어 개설됐다. 한국의 급성장하는 기술과 뷰티 분야 등 한국 문화의 인기를 활용해 레저 여행객과 비즈니스 여행객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인천 노선에서는 대한항공과의 공동운항으로 한국 전역 15개 도시로 연결되는 항공편을 제공할 예정이다. 공동운항이란 다른 항공사가 운항하는 항공기에 대한항공 편명을 부여해 판매하는 항공편을 말한다. 버진 애틀랜틱은 지난 2023년에 대한항공과 공동운항 계약을 체결했다. 당시 양사는 '인천-런던 히드로'를 시작으로 △베트남 다낭·하노이·호찌민 △호주 브리즈
[더구루=진유진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지난 17일 2분기 첫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2.75%로 동결했다. 금통위는 의결문을 통해 "1분기 경기 부진과 통상 여건 악화로 성장의 하방 위험이 확대됐다"면서도 "미국 관세 정책 변화, 정부 경기부양책 추진 등으로 전망 경로에 불확실성이 크다"고 밝혔다. 이어 "환율 변동성과 가계대출 흐름도 고려해 현 금리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덧붙였다. 동결 핵심 배경은 환율 불안이다. 최근 원/달러 환율은 한 달 사이 1410원대에서 1480원대까지 급등락을 반복하며 높은 변동성을 보였다. 이달 9일 미국의 상호관세 발효 이후엔 1484.1원까지 치솟으며 지난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후 관세 유예 소식으로 1420원대까지 떨어졌지만, 여전히 대내외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 지난 2월에 이어 연속 금리 인하 시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현 1.75%p)가 더 벌어질 수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 금리 차 확대는 외국인 자금 유출과 원화 약세를 불러올 가능성이 있어 물가와 금융시장 전반에 불안을 키울 수 있다. 부동산과 가계대출 흐름도 중요 고려 요소다. 토지
[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캔두(CANDU)형 원천 기술을 보유한 세계적인 엔지니어링 회사 경영진이 한국수력원자력 월성원자력본부를 찾았다. 캔두형 원자로가 적용된 월성 원전의 가동을 살피고 원전 건설 단계부터 해체까지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23일 앳킨스리알리스(AtkinsRéalis·옛 SNC-Lavalin)에 따르면 이안 에드워드(Ian Edwards)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한 경영진은 지난 2일 경북 경주에 위치한 한수원 월성원자력본부를 찾았다. 정원호 월성원자력본부장을 비롯해 임직원과 만나 원전 운영 현황을 점검했다. 앳킨스리알리스(AtkinsRéalis)는 1911년 설립된 세계적인 엔지니어링 회사다. 2011년 캐나다 원자력공사(AECL) 상업원전부문을 인수해 자회사로 캔두에너지를 출범했다. 캔두에너지는 가압중수로 원자로인 캔두형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캔두형 원전은 중수를 냉각재로 사용해 천연 우라늄을 연료로 활용할 수 있다. 우라늄 농축 시설을 지을 필요가 없어 비용 절감 효과가 있으며 설비 규모도 경수로에 비해 작다. 국내 유일의 가압중수로형 원전인 월성 1~4호기에도 캔두형이 적용됐다. 한수원은 월성 원전 건설 단계부터 앳킨스리
[더구루=홍성일 기자] 캐나다 인공지능(AI) 유니콘 기업 코히어(Cohere)가 시니어급 한국 개발 인력을 모집한다. 앞서 LG CNS와 협력해 'AX 플랫폼 구축' 역량을 강화키로 한 코히어는 이번 한국 개발 인력 충원을 통해 기술 경쟁력을 빠르게 확보할 방침이다. 23일 코히어 링크드인에 따르면 서울에서 근무할 △컨트리 매니저 △시니어 엔지니어링 프로그램 매니저 △시니어 테크니컬 스태프 등을 모집하고 있다. 3개 직종 모두 고용형태는 정규직이며, 근무지는 서울 오피스다. 컨트리 매니저는 이사급 대우를 받으며 코히어의 한국 사업을 주도한다. 코히어는 IT기업·컨설팅 업체 등에서 15년 이상 근무한 인력을 찾고 있다. 시니어 엔지니어링 프로그램 매니저는 5년 이상의 엔지니어링 관리자 경험과 함께 1년 이상 AI모델 최적화 업무 경험이 필요하다. 코히어는 파트너사의 요청에 따라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한다고 설명했다. 시니어 테크니컬 스태프는 머신러닝(ML) 분야 팀을 이끈 경험이 필요하며, 각종 ML 개발 툴을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시니어 엔지니어링 프로그램 매니저와 시니어 테크니컬 스태프는 과장·부장급 대우를 받는다. 코히어는 한국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반도체 기업 인텔과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대만 TSMC, 두 기업 수장이 전격 회동했다. 합작사 설립 논의가 속도를 낼 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25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립부탄 인텔 CEO와 웨이저자 TSMC 회장은 이번주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TSMC 연례 기술 컨퍼런스에서 만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립부탄 CEO는 24일 실적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TSMC는 우리의 아주 좋은 파트너로 설립자인 모리스 창과 웨이저자 CEO는 나의 오랜 친구"라며 "최근 만남에서 협력할 수 있는 분야를 모색했고 서로에게 도움일 될 수 있는 상황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고 밝혔다. 앞서 이달 초 양사 간 합작사를 설립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와 주목받았다. IT 전문 매체 디인포메이션은 두 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인텔과 TSMC 임원이 최근 합작 투자사 설립을 위한 예비 계약을 체결했다"고 보도했다. 인텔과 미국 반도체 기업이 합작사에 대한 대부분 지분을 보유하고, TSMC는 20%만 갖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웨이저자 회장은 지난 17일 실적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합작회사, 기술 라이선스, 기술 이전·공유
[더구루=길소연 기자] 파나소닉 에너지가 미국 전기 상용차 스타트업 '하빈저 모터스(Harbinger Motors, 이하 하빈저)'에 배터리를 공급한다. 테슬라 전기차에 배터리를 공급해온 파나소닉은 하빈저의 트럭과 밴에도 공급해 성능과 효율을 극대화한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업계에 따르면 파나소닉 계열사인 파나소닉 에너지는 하빈저의 중형 전기차용 공식 배터리 셀 공급업체로 선정됐다. 파나소닉 에너지는 하빈저의 모든 모델에 최신 2170 원통형 배터리를 공급한다. 지름 21㎜, 높이 70㎜인 원통형 2170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배터리 생산 능력을 현재 10% 가량 향상시킨다. 이로써 생산비용이 감소되고, 배터리 가격이 낮아진다. 테슬라의 전기차 모델3와 모델 Y에도 파나소닉의 2170 배터리가 탑재되고 있다. 파나소닉 에너지가 공급할 2170 배터리 셀은 업계 최고 수준인 800Wh/L(리터당 와트시) 이상의 에너지 밀도를 자랑하며, 트럭의 에너지 솔루션을 보장한다. 파나소닉 에너지가 일본에서 생산된 배터리 셀을 하빈저에 공급하면 하빈저의 독점 배터리 시스템에 통합돼 미국산 중형 전기차에 동력을 공급하게 된다. 파나소닉 에너지의 배터리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