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예지 기자] 현대자동차가 지난달 인도 시장에서 타타모터스와 마힌드라에 밀려 4위에 그쳤다. 다만 수출은 도 전년 대비 11% 증가, 인도공장이 글로벌 수출 허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기아 지난달 인도 판매는 전년 대비 30% 수직 상승,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3일 인도자동차판매협회(FADA) 등에 따르면 현대차 인도법인(HMIL)은 지난달 총 6만9894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대비 0.2% 소폭 감소한 수치다. 내수 판매는 3.2% 감소한 5만3792대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9% 증가한 1만6102대로 집계됐다. 크레타, 베뉴 등 SUV 모델 비중은 70%를 웃돌고 있다. 특히 크레타는 3만119대 기록,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오는 4일 공식 출시되는 신형 베뉴에 힘입어 SUV 모델 비중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는 지난 1998년 진출 이후 줄곧 2위를 지켜왔으나 상반기 타타모터스와 마힌드라에 밀려 내수 시장에서 3·4위를 기록했으나 지난 8월 '2위'를 깜짝 탈환했으나 9월에 이어 지난달 2개월 타타모터스와 마힌드라에 밀려 4위에 그치고 있다. 현대차는 오는 4일 신형 베뉴 출시와 적극적인
[더구루=김나윤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미국 자회사 글로벌X가 액화천연가스(LNG) 수출 확대에 발맞춰 미국 천연가스 상장지수펀드(ETF)를 선보였다. 세계 최대 LNG 수출국으로 부상한 미국의 에너지 가치사슬 전반에 투자 기회를 제공한다는 전략이다. 지난 29일(현지시간) 미국 금융 전문 매체 스트리트인사이더닷컴에 따르면 글로벌X는 '글로벌 X U.S. 천연가스 ETF'를 출시했다. 해당 ETF는 "국제 시장에서 급증하는 천연가스 수요와 LNG 수출 확대 모멘텀을 포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글로벌X 관계자는 "미국 석유·가스 산업 내 핵심 분야인 천연가스 가치사슬에 대한 노출을 제공함으로써 시장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기회를 봤다"며 "탐사·생산(업스트림)부터 운송·저장·가공(미드스트릠), 액화·수출(다운스트림)에 이르는 천연가스 산업 전 단계를 포괄하도록 설계됐다"고 강조했다. 미국은 현재 세계 최대 LNG 수출국으로 전 세계 가스 생산량과 발전량의 약 4분의 1을 공급하고 있다. 스콧 헬프스틴 글로벌X 투자전략 책임자는 "무역 변화가 미국 에너지에 대한 세계 의존도를 더욱 높이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며 "천연가스는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가 내달 중국에서 완전자율주행 로보택시 모델인 '사이버캡'을 공개한다. 테슬라는 사이버캡 공개를 시작으로 중국 로보택시 시장 진출을 준비할 것으로 관측된다. [유료기사코드] 테슬라 중국법인은 30일(현지시간) 웨이보를 통해 내달 개최되는 제8회 중국 국제수입박람회(CIIE)에 참가한다고 발표했다. 제8회 CIIE는 내달 5일부터 10일까지 상하이 국립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이번 CIIE에는 155개 국가·지역 및 국제기구가 참여하며, 4108개 기업이 전시에 나선다. 테슬라는 2018년 1회 행사부터 2023년까지 6년 연속 참가했었으며, 지난해에는 불참했었다. 테슬라는 이번 CIIE를 통해 사이버캡을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처음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참가 발표와 함께 공개된 포스터에서도 사이버캡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사이버캡은 지난해 10월 테슬라가 공개한 2인승 로보택시 제품이다. 사이버캡은 완전자율주행을 지원해 운전대와 페달이 제거됐다. 이외에도 사이버캡에는 나비 날개 형태로 위로 열리는 '버터플라이 도어'가 장착됐으며, 무선 충전을 지원하는 것으로도 알려졌다. 테슬라는 내년 2분기 중으로 사이버캡 양산을 시작할 계
[더구루=홍성환 기자] 카메룬이 전력 인프라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앞으로 5년간 신규 소형 수력 발전소 10개를 추진할 계획이다. 대우건설, 한국전력 발전 자회사 등 국내 기업의 참여 기대감이 나온다. 3일 에너지 전문지 에너지뉴스에 따르면 카메룬 정부는 2030년까지 총 25㎿(메가와트) 규모 소형 수력 발전소 10기 개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내년 구체적인 사업 계획을 공개하고, 2027년부터 사업자 선정 및 타당성 조사를 위한 입찰을 시작할 예정이다. 2028~2030년 착공이 목표다. 카메룬 정부는 전력 인프라 사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2014년 기준 카메룬의 발전 설비 규모는 총 2327㎿로, 이 가운데 수력발전이 60%를 차지한다. 국내 기업 중에서는 대우건설과 한국중부발전 등이 카메룬 수력 발전 사업에 관심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대우건설과 중부발전은 지난 2021년 5월 열린 제10차 한국-카메룬 경제·에너지협력포럼에 참석한 바 있다. <본보 2021년 5월 13일자 참고 : 대우건설·중부발전, 카메룬 전력인프라 사업 참여 검토>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최대 종합 에너지·화학 기업 시노펙(SINOPEC)의 허우치쥔(侯启军) 회장이 국내 석유화학 기업 수장들과 연이어 미팅을 가졌다. 최태원 SK그룹 회장, 신학철 LG화학 부회장과 만나 협력 확대 의지를 내비쳤다. 정유·석유화학을 기반으로 친환경 에너지·소재까지 전방위에서 협력 외연을 확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4일 시노펙에 따르면 허 회장은 지난달 31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열리는 경주에서 최 회장, 추형욱 SK이노베이션 사장과 만났다. 이보다 앞서 29일에는 서울 종로구 SK서린사옥을 찾아 장용호 SK이노베이션 총괄사장과 회동했다. SK와 상호 호혜 관계를 지속 발전시키길 희망한다고 전하며 정유와 신재생에너지 등에서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허 회장은 지난달 30일 서울 영등포구 LG트윈타워에서 신 부회장과도 면담했다. 석유화학 연구·개발(R&D) 협업을 심화시키자고 제안했다. 이어 LG그룹의 R&D 허브인 'LG사이언스파크'를 둘러보며 로봇과 인공지능(AI), 디스플레이 등 첨단 기술을 살폈다. LG화학은 이날 시노펙과 소듐이온전지(Sodium-ion Battery, SIB) 핵심 소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 3위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기업 글로벌파운드리(GlobalFoundries, GF)가 독일 공장 증산을 공식화했다. 글로벌파운드리는 증산을 통해 유럽 자동차 반도체 공급 문제를 해결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GF는 독일 드레스덴 공장 증설 프로그램인 '스프린트 프로젝트(SPRINT project)'에 11억 유로(약 1조8210억원)를 투자하기로 했다. GF는 이번 증산을 통해 2028년까지 연간 생산량을 웨이퍼 100만 장 이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6만㎡ 규모의 클린룸을 갖춘 드레스덴 공장은 22나노미터(nm) FD-SOI(완전공핍형 실리콘 온 인슐레이터) 기반의 저전력 반도체와 28·40·55나노 공정의 차량용 마이크로컨트롤러, IoT 칩을 생산하고 있다. 현재 해당 공장은 연간 웨이퍼 75만장 규모 반도체를 생산하고 있다. 글로벌파운드리가 드레스덴 공장 증설에 나설 것이라는 소식은 지난 6월 전해졌다. 당시 독일 경제지 한델스블라트(Handelsblatt)는 글로벌파운드리가 11억 유로를 투입해 연간 생산량을 150만 장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보도했었다. GF는 새롭게 확보할 생산역량을 바탕으
[더구루=진유진 기자] 글로벌 CDMO(위탁개발생산) 기업 롯데바이오로직스와 SK팜테코가 '동맹'을 맺고 차세대 항암제 '항체-약물접합체(ADC)' 분야에서 전략적 협력을 본격화한다. 양사는 생물의약품부터 화학 기반 약물 물질에 이르는 제조 역량을 통합해 성장세가 가파른 ADC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한국 대표 CDMO 기업 간 연합이 미국·유럽 중심으로 재편되는 공급망 환경 속에서 새로운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29일(현지시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세계 최대 규모 제약·바이오 산업 전시회 'CPhI 월드와이드(CPhI Worldwide)'에서 SK팜테코와 ADC 분야 CDMO 역량 강화 위한 전략적 협력 의향서(LOI)를 체결했다. 롯데 측에서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장남인 신유열 글로벌전략실장(부사장)을 비롯해 △장준영 사업개발부문장(CBO) △전지원 전략기획부문장(CGO) △장건희 최고기술책임자(CTO) △제임스 박 대표이사가 참석했으며, SK 측에선 △요르그 알그림 최고경영자(CEO) △앤디 페니 사업총괄책임자(CCO) △올리비아 보이스 글로벌 제안 책임자 △이시욱 SK팜테코 최고전략책임자(CSO)
[더구루=홍성일 기자] 아이에스동서(IS동서)가 투자한 캐나다 배터리 재활용 기업 리시온(Lithion)이 닛산(Nissan)과 손잡았다. 닛산은 리시온의 기술을 도입해 캐나다 내에 배터리 재활용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닛산 캐나다와 리시온은 최근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파트너십에 따라 닛산 캐나다는 리시온의 습식 폐배터리 파쇄공법을 도입, 폐배터리에서 핵심 소재를 회수해 재활용한다. 리시온의 재료 회수 기술은 폐배터리를 파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폐수를 발생시키지 않아 환경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회수율도 높다는 장점이 있다. 리시온은 자사의 습식 파쇄기술을 이용하면 배터리 핵심소재 95%, 주요 광물 98%를 회수할 수 있다고 설명한 바 있다. 닛산 캐나다는 퀘벡주 생브루노에 위치한 리시온 공장을 이용해 배터리 재활용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닛산은 배터리 재활용을 통해 환경을 보호하고, 소재 공급망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닛산 캐나다 관계자는 "리시온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지속 가능한 전기차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를 취할 수
[더구루=김나윤 기자] 인도네시아가 경기활성화 차원에서 국영은행 5곳에 약 200조 루피아(약 17조 2200억원) 규모의 자금을 투입하면서 현지 은행권에 자금조달 비용 하락과 순이자마진(NIM) 개선에 대한 기대가 확대되고 있다. 지난 29일(현지시간) 인니 경제 매체 콘탄에 따르면 이 자금은 지난 9월부터 국영은행들에 배치되기 시작했다. 이번 조치는 인니 정부가 국영은행들에 유동성을 공급해 여신 확대·경제활동 촉진을 도모하려는 의도로, 투입된 자금은 만다리 은행, 인니 인민 은행, 인니 국립 은행, 국가 저축 은행, 인니 샤리아 은행 등 5개 은행에 배정됐다. 은행권에서는 이를 계기로 다른 은행들의 자금조달비용이 떨어지면서 여신 확대 여건이 개선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국내 금융사인 KB국민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은 이번 정부 자금 배치에 대해 "자금조달을 가속화하고 국가 경제 성장을 장려하기 위한 정부의 전략적 정책"이라고 평가했다. 아디 프리바디 KB국민은행 인니 법인 부사장은 "다만 아직까지 순이자마진 개선 효과는 제한적"이라면서 "양질의 신용수익률과 자금비용 통제 간 균형을 유지하며 연말까지 긍정적 추세를 지속할 수 있다"고 밝혔다. 올해 3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와 우버가 투자한 자율주행 트럭 기술 스타트업 와비(Waabi)가 볼보와 함께 개발한 클래스8(대형) 자율주행 트럭을 선보였다. 와비는 볼보와 협력을 통해 자율주행트럭을 상용화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와비는 볼보와 공동을 개발한 '볼보 VNL 오토노머스'를 공개했다. 볼보 VNL 오토노머스는 볼보가 개발하고 있는 자율주행트럭 플랫폼이다. 와비와 볼보의 협력관계는 지난 2023년 시작됐다. 볼보가 벤처캐피털 자회사를 통해 와비에 투자한 것. 볼보는 지난해 진행된 2억 달러(약 2850억원) 규모 시리즈 B 투자 라운드에도 참여했었다. 두 회사는 올해 2월 자율주행 솔루션 공동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와비에 따르면 볼보 VNL 오토노머스는 와비 드라이버(Waabi Driver)와 볼보 자율주행 플랫폼을 통합해 개발됐다. 와비 드라이버는 자율주행 소프트웨어와 센서, 컴퓨팅 리소스가 결합된 통합 자율주행 솔루션으로, 기존 트럭 제품에 손쉽게 적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이번 협력은 볼보의 자율주행 트럭 전략에 따라 이뤄졌다. 볼보는 자율주행 트럭 기술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생태계를 확장하
[더구루=김예지 기자] 독일 자동차 거인 폭스바겐그룹의 배터리 전문 자회사인 파워코(PowerCo)가 캐나다 최대 규모의 전기차(EV) 배터리 생산 기지 건설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북미 시장 공략의 핵심 교두보로 꼽히는 이 '기가팩토리'는 폭스바겐의 전동화 전략에 힘을 싣는 동시에, 한국 배터리 기업들이 주도해 온 북미 시장 경쟁 구도에 새로운 변수가 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1일 Batteries News에 따르면, 파워코 캐나다는 지난 28일 온타리오주 세인트 토마스(St. Thomas) 부지에서 주요 건물 3개 동에 대한 건설 시작을 공식적으로 알리며 기공 기념 행사를 가졌다. 총 85만 평방피트(약 2만 3800평) 규모의 이 공장은 오는 2027년 초기 생산을 목표로 캐나다 EV 배터리 생산 시설 중 최대 규모가 될 예정이다. 이번 건설의 기초 공사는 캐나다 현지 기업인 마길 컨스트럭션 캐나다(Magil Construction Canada)가 맡아 진행하고 있다. △50만 평방피트 이상의 거푸집 △3만 2000㎥ 이상의 콘크리트 △4850톤에 달하는 철근이 투입되는 '매머드급' 공사로 알려졌다. 캐나다 파트너사인 스틸콘(Steelcon)을 통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반도체산업협회(KSIA)가 베트남 경제·공업도시 하이퐁에 반도체 혁신 기술과 성공 노하우를 심는다. 지난 3월 팜 민 찐 베트남 총리가 현지 진출 한국 기업들과 만나 반도체·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 분야 투자를 늘려달라고 요청한 데 이어 하이퐁시와 하이퐁 건설협회 산하 기관들이 한국 기업을 파트너로 명시, 반도체 분야에서의 협력 구애에 호응한다. 29일 베트남 경제전문 일간지 라오동(LaoDong)에 따르면 한국반도체산업협회는 전날 하이퐁시에서 열린 컨퍼런스에 참석해 하이퐁 건설협회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파트너십으로 반도체협회는 베트남 하이퐁시의 첨단 산업 단지 투자와 반도체 기술 이전, 인력 양성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 하이퐁 건설협회가 주최한 이번 컨퍼런스에는 한국반도체산업협회와 한국AI스페이스협회, 베트남 건설업체 협회, 그리고 베트남에 반도체 공장 건설에 투자한 40여 개 이상의 다국적 첨단기술 기업, 하이퐁의 대표적인 건설 기업 약 150곳이 참석했다. 응우옌 테 만(Nguyen The Manh) 하이퐁 건설협회 회장은 "하이퐁 건설협회는 베트남의 주요 건설 기업 및 한국, 중국, 일본 등의 다국적 기업과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1위 배터리 기업인 중국 CATL(寧德時代·닝더스다이)가 중국 리튬 배터리 소재 공급업체 캔맥스 테크놀로지스(Canmax Technologies, 이하 캔맥스)의 지분에 투자하며 리튬 배터리 소재 확보를 늘린다. 원재료·소재·셀·팩·재활용까지 수직 계열화된 밸류체인(생산부터 유통까지 산업 전반의 구성) 구조에 집중하고 있는 CATL은 배터리 소재 확보로 공급망 구축과 원가 경쟁력을 강화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수소연료전지 기업 블룸에너지(Bloom Energy)가 약 3조6000억원 규모의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강화된 자본을 기반으로 연료전지 발전용량 확대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