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나윤 기자] 공급 차질과 미·중 무역 협상 기대감이 맞물리며 구리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실질적인 수요 회복이 뒤따르지 않으면 랠리가 오래가지 못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31일 관련 업게에 따르면 구리 가격은 광산 공급 차질 우려와 미·중 무역 협정 기대감에 힘입어 지난 29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다. 그러나 애널리스트들은 “수요가 뚜렷하게 회복되지 않는 한 이번 상승세가 얼마나 더 이어질지 의문”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마이닝닷컴에 따르면 올해 들어 구리 가격은 27% 이상 급등했다. 달러 약세와 금리 인하 기대감이 원자재 가격을 끌어올린 가운데 구리는 글로벌 경기의 선행지표로 평가받으며 상승세를 주도했다. 네덜란드 금융사 ING의 에바 만테이 애널리스트는 “미·중 무역 협상 재개 기대가 구리 랠리에 새로운 촉매로 작용했다”며 “올해와 내년 모두 구리 시장의 공급 부족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공급 불안도 상승세를 부추겼다. 스위스 광산업체 글렌코어는 “올해 1~9월 구리 생산량이 감소했다”며 연간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했다. 앞서 앵글로아메리칸도 같은 이유로 목표치를 낮추며 시장의 공급 압박이 가중되고 있다.
[더구루=진유진 기자] CJ ENM이 대만 통신·방송 파트너들과 손잡고 중국 표준어 북경어(만다린) 콘텐츠 공동 제작·투자에 나선다. 3000만 달러(약 430억원) 규모 전용 펀드를 조성해 아시아 스토리 기반 지식재산권(IP) 상업화를 본격 추진한다. 이번 전략적 언어권 확대를 통해 글로벌 시장 확장 속도를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전 세계 만다린 사용자 수는 11억명으로 영어 사용자(5억명)보다 훨씬 많다. 4일 CJ ENM에 따르면 CJ ENM 홍콩은 이날 대만 통신사 파이이스트 텔레콤(Far EasTone Telecom·FET)과 방송사 TVBS 미디어, 대만창의콘텐츠진흥원(TAICCA)과 함께 3000만 달러 규모 '한-대만 엔터테인먼트·문화 콘텐츠 펀드'를 조성했다. 펀드 만기는 5년으로, 한국과 대만 로컬 스토리를 기반으로 한 영화·드라마 등 모든 포맷을 지원한다. 인재 육성과 완성작 글로벌 유통도 포함된다. CJ ENM은 '사랑의 불시착', '기생충' 등 K-콘텐츠를 글로벌 히트시킨 노하우와 기획력을 투입하고, 대만 파트너들은 현지 시장에 대한 깊은 이해도와 풍부한 제작 인프라를 제공해 시너지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이날 '대만 크리에이티브 콘텐츠
[더구루=김예지 기자] BMW가 전기차(EV) 전환에 발맞춰 핵심 원자재 공급망 안정화와 순환경제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BMW 그룹 호주 법인이 현지 배터리 재활용 선도기업 에코뱃(EcoBatt)과 손잡고 EV 폐배터리 재활용 프로그램을 공식 출범했다. 특히 에코뱃의 시설은 배터리가 기기에 내장된 상태 그대로 파쇄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첨단 기술이 적용돼 주목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일 호주 매체 Zecar에 따르면 이번 협력의 핵심 거점은 빅토리아주 캠벨필드에 위치한 에코뱃의 리튬 배터리 및 기기 내 배터리 파쇄(BIDS·Battery-in-Device Shredding) 플랜트다. 이 시설은 배터리가 기기에 내장된 상태 그대로 파쇄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상용화 설비로, 연간 최대 5000톤의 배터리를 처리할 수 있는 대규모 인프라를 갖췄다. BMW와 MINI 차량에서 회수된 고전압 리튬이온 배터리는 이곳에서 엄격한 프로세스를 거친다. 먼저 안전 방전 과정을 통해 잔류 에너지를 제거하며, 이때 회수된 전력 일부를 시설 운영에 재활용해 공정의 탄소 배출을 최소화한다. 이후 첨단 기계적 파쇄 기술로 배터리가 분해되고, 케이싱·플라스틱·금속류가
[더구루=오소영 기자] LG화학의 대관 담당인 고윤주 최고지속가능전략책임자(CSSO·전무)가 중국화학공정그룹(CNCEC) 수장과 만났다. 석유화학과 소재, 바이오 등 주요 사업을 소개하고 LG화학의 사업 다각화와 첨단 기술 투자에 대한 호평을 이끌어냈다. 또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공동 사업을 발굴하자고 뜻을 모았다. 30일 CNCEC와 인민일보 등 외신에 따르면 고 전무는 전날 서울 강서구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모딩거(莫鼎革) 회장과 만났다. 인공지능(AI)과 로봇, 올레드, 바이오 등 LG의 최신 기술을 알리고 회사를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고 전무는 "당사는 글로벌 종합 화학 기업으로 배터리 소재와 전자 소재, 생명과학 등 첨단 산업에 집중해 화학에서 과학(科学)으로 전환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며 "CNCEC와 함께 석유화학과 AI, 탄소중립 등에서 협력을 강화하고 아태 지역에서 새 기회를 탐색하길 바란다"고 제안했다. 모 회장은 "이번 방문을 통해 기술 혁신을 위한 LG의 투자와 성과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며 "LG화학의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에 적극 동참하고 리튬 배터리 소재와 올레드 디스플레이 기술, 바이오 등 첨단 분야에서 높은 수준의 통합
[더구루=이꽃들 기자]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ABL Bio)가 뇌혈관장벽(BBB) 셔틀 플랫폼 '그랩바디-B(Grabody-B)'를 앞세워 글로벌 기술 협력 기회를 넓힌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지난해 GSK와 최대 4조1000억원 규모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이후 글로벌 접촉이 확대된 만큼, 이번 행사에서 BBB 적용 확장성과 면역항암 병용전략 기반의 임상 진전 내용을 공유하고 후속 협업을 모색할 방침이다. 에이비엘바이오는 다음 달 3일부터 5일(현지 시간)까지 오스트리아 빈에서 개최되는 '바이오 유럽'(Bio Europe 2025)에 참가한다. 이번 행사에서 다양한 기업들과 만나 뇌혈관장벽(BBB) 셔틀 플랫폼 '그랩바디-B'를 비롯해 4-1BB 이중항체 면역항암제 및 차세대 ADC(항체 약물 접합체) 기술과 관련된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바이오 유럽은 전세계 제약 바이오 기업 및 업계 전문가 등이 참석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생명공학 및 바이오 전문 박람회 중 하나다. 그랩바디-B는 약물이 BBB를 효과적으로 투과할 수 있도록 돕는 셔틀 기술이다. 앞서 지난 4월 에이비엘바이오는 GSK와 최대 4조1000억원 규모의 그랩바디-B 기술이전 계약
[더구루=정등용 기자] 삼성생명의 중국 합작사인 중은삼성인수보험(BOC-Samsung Life)이 올해 3분기 대규모 흑자를 기록했다. 새로운 국제회계기준인 IFRS17 적용이 요인이 됐다는 분석이다. 중은삼성인수보험은 30일(현지시간) 3분기 지급능력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중은삼성인수보험은 올해 3분기 6억9000만 위안(약 1400억원)의 순이익을 거뒀다. 총 자산은 1517억6000만 위안(약 30조5000억원)으로 연초 대비 18.86% 증가했다. 보험 사업 수입도 293억1600만 위안(약 5조9000억원)을 기록, 지난해 연간 실적의 98%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부터 중국에 도입된 IFRS17의 영향이란 분석이다. IFRS17 적용 이후 과거 기준과 달리 보험계약서비스마진(CSM) 등 새로운 지표가 실적 평가에 반영되고 있다. 실제 중은삼성인수보험 실적도 지난해 크게 개선됐다. 지난해 순이익은 911억원으로 전년 대비 약 515.5% 증가했다. 최근 4년간 순이익이 △2020년 112억원 △2021년 223억원 △2022년 124억원 △2023년 148억원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큰 폭의 증가세다. 다만 종합 지급능력충족률은 전년 대비 36
[더구루=정등용 기자] 대우건설이 투르크메니스탄에서 열리는 ‘CIET 2025 국제 컨퍼런스’ 행사에 골드 스폰서로 참가한다. 30일 투르크메니스탄 정부에 따르면, 대우건설은 내달 3일과 4일 투르크메니스탄 국립 관광 지구 아와자(Awaza)에서 열리는 CIET 2025 국제 컨퍼런스에 골드 스폰서 자격으로 참가한다. 골드 스폰서는 컨퍼런스 행사에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는 스폰서십 등급 중 하나다. 전체 스폰서십 등급 중 상위권에 해당하는 위치로 단순한 자금 후원을 넘어 핵심적 혜택을 부여 받는다. CIET 국제 컨퍼런스는 에너지, 친환경, 건설, 산업 분야 개발에 중점을 둔 행사다. 올해는 ‘스마트 건설·청정 에너지·회복력 있는 미래(Smart Construction·Clean Energy·Resilient Future)’를 주제로 산업화, 경제 다각화, 디지털 전환 전략이 논의된다. 대우건설은 지난 2022년부터 투르크메니스탄에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가장 최근인 지난 15일에는 현지 최대 프로젝트인 비료공장 착공에 들어갔다. 이 프로젝트는 총 7억8400만 달러(약 1조1000억원) 규모의 사업으로, 연산 35만t의 인산 비료와 10만t의 황산암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최대 산유국 사우디아라비아(이하 사우디)가 내년에 글로벌 배터리 산업에 본격적으로 진출, 첨단 에너지 저장 분야의 주요 국가로 새로운 도약에 나선다. 국가 개혁 프로그램인 사우디 비전 2030에 따른 경제 경쟁력 강화와 에너지 지속가능성 강화 전략의 일환으로 ,사우디는 배터리 산업에 진출해 깨끗한 에너지 혁신과 지속 가능한 산업 성장의 허브로서의 입지를 강화한다. 사우디가 배터리 산업 진출로 글로벌 공급망 확대에 나서면서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 등 'K-배터리' 3총사와의 배터리 협력도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3일 사우디 현지 언론 사우디 가제트(SaudiGazette)와 아랍에미리트 매체 GCC 비즈니스 워치(GCC Business Watch) 등 외신에 따르면 사우디는 빠르게 성장하는 배터리와 에너지 저장 산업에서 주요 플레이어가 되기 위해 내년에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사우디 에너지부 장관인 압둘아지즈 빈 살만 알사우드 왕자는 리야드에서 최근 열린 제9회 미래투자이니셔티브(FII9) '에너지 부문 경제 경쟁력 강화'라는 주제의 특별 세션에서 "신흥 세계 경제가 성장과 혁신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정부의 시선이 한화오션 거제조선소에 꽂혔다. 마크 카니 총리에 이어 빅터 페델리 온타리오주 경제개발부 장관도 한화오션 방문을 시사했다. 캐나다 차세대 잠수함 사업자 선정을 앞두고 주요 인사들의 발길이 이어지며 수주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페델리 장관은 최근 소셜미디어 '링크드인' 본인 계정을 통해 "최종 후보인 한화오션을 방문하기 위해 수개월 내에 한국을 찾을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페델리 장관은 지난 2일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TKMS의 '공급자의 날' 행사에 참석했다. 캐나다에 제안한 212CD급 잠수함 모형을 살펴보고 TKMS 관계자들과도 회동했다. 이번주 오스트리아와 독일 순방의 일환으로 독일 킬에 위치한 TKMS 조선소를 둘러볼 계획이다. 이어 TKMS와 함께 후보에 오른 한화오션도 곧 방문하고 싶다는 의사를 전했다. 앞서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차 방한한 마크 카니 총리도 거제조선소를 찾았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과 동행해 시설 곳곳을 보고 장영실함(장보고-Ⅲ Batch-Ⅱ 1번함)에 직접 승함했다. 지난 9월에는 스테파니 벡 캐나다 국방차관이 거제조선소에서 어성철 한
[더구루=진유진 기자] CJ푸드빌이 인도네시아에 이어 베트남에서도 인재 채용을 확대하며 베이커리 브랜드 '뚜레쥬르'의 동남아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지 소비 트렌드에 맞춘 디지털 마케팅·온라인 플랫폼 전략을 강화해 글로벌 프랜차이즈 브랜드로서 입지를 공고히 하겠다는 구상이다. 30일 CJ푸드빌 베트남법인에 따르면 뚜레쥬르 베트남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호찌민과 하노이 등 주요 거점에서 대규모 채용을 진행 중이다. 채용 직무는 △채널 마케팅 파트 관리자 △교육 담당 보조(F&B) △매장 관리자 △홀 스페셜리스트 △홀 관리자 △주방 관리자 △제빵사 △생산 보조 △품질관리 직원 △콘텐츠 마케팅 보조 등으로, 모집은 다음 달 말까지 순차적으로 마감될 예정이다. 이번 채용은 현지 마케팅·유통 채널·교육·운영 역량 강화를 위한 핵심 인재 확보 전략으로 풀이된다. 이 중 채널 마케팅 파트 관리자는 뚜레쥬르 온·오프라인 통합 커뮤니케이션과 배달 플랫폼 관리 전반을 담당하는 핵심 직무다. 그랩푸드·쇼피푸드 등 주요 배달 앱을 물론, 은행·전자결제·e바우처·이커머스 등과의 파트너십을 총괄하며, POS 시스템 개선과 멤버십 프로그램 운영도 맡는다. 특히 페이스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민국 공군이 134대의 KF-16 전투기를 블록 72 표준(바이퍼, F-16V)으로 성능개선 중인 가운데 L3해리스 테크놀로지(L3Harris Technologies, 이하 L3해리스)의 '바이퍼 실드'(Viper Shield) 전자전 장비를 탑재할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영국 항공 전문매체인 플라이트 글로벌(FlightGlobal)에 따르면 L3해리스는 한국 공군이 운용 중인 록히드마틴의 전투기 F-16에 바이퍼 실드 'AN/ALQ-254' 전자전 장비 도입을 제안했다. L3해리스는 최근 열린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에서 바이퍼 실드 신제품을 전시하며 공군 맞춤형 홍보로 관심을 유도했다. 공군은 현재 134대의 KF-16 전투기를 기존 블록 52에서 블록 72 표준으로 전면 업그레이드하는 사업을 진행 중이다. 블록72 사양으로 성능 개량해 데이터 링크, 노스롭 그루먼의 AN/APG-83 능동전자주사 배열(AESA) 레이더, 신형 미사일 운용 등으로 4.5세대 전투기급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목표이다. 현재 업그레이드 작업에는 새로운 전자전 시스템이 포함되지 않는다. L3해리스는 공군
[더구루=김예지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10월 한 달간 미국에서 총 14만6137대를 판매, 선전했다. 현대차는 전년 동기 대비 2% 감소했으며, 기아는 0.1% 증가하면서 관세 충격 상황에서 강력한 판매 모멘텀을 유지했다. 올해 사상 최대 실적 달성이 유력하다. 현대차 북미법인(HMA)은 지난달 한 달간 총 7만118대를 판매하며 전년 동기(7만1802대) 대비 2% 감소했다고 1일(현지시간) 밝혔다. 제네시스는 지난달 7017대 판매됐다. 이는 전년 대비 1.7% 증가한 수치다. 하이브리드와 전기차 모델 판매는 각각 41%와 8% 증가했다. 모델별 판매는 △투싼 2만3036대(+16%) △싼타페 1만1800대(+22%) △팰리세이드 9549대(+6%) △베뉴 2156대(+49%)로 집계됐다. 반면 아이오닉 5 1642대(-63%)와 아이오닉 6 398대(-52%)는 세제 혜택 종료 영향으로 감소했다. 현대차 10월 말 누적 판매는 74만8467대로 전년 동기(68만2296대) 대비 10% 증가했다. 랜디 파커 HMA 대표는 “하이브리드 모델이 41% 증가하는 등 전체 성장세를 이끌었다”면서 “다만 연방 세제 혜택 종료를 앞둔 전기차 수요가 조정 국면을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1위 배터리 기업인 중국 CATL(寧德時代·닝더스다이)가 중국 리튬 배터리 소재 공급업체 캔맥스 테크놀로지스(Canmax Technologies, 이하 캔맥스)의 지분에 투자하며 리튬 배터리 소재 확보를 늘린다. 원재료·소재·셀·팩·재활용까지 수직 계열화된 밸류체인(생산부터 유통까지 산업 전반의 구성) 구조에 집중하고 있는 CATL은 배터리 소재 확보로 공급망 구축과 원가 경쟁력을 강화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수소연료전지 기업 블룸에너지(Bloom Energy)가 약 3조6000억원 규모의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강화된 자본을 기반으로 연료전지 발전용량 확대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