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이꽃들 기자] CJ대한통운 미국 통합법인 CJ로지스틱스 아메리카(CJ Logistics America)가 글로벌 운송업계 여성 친화 기업으로 인정받았다. 이재현 CJ그룹 회장이 강조해온 '인재 제일' 경영 철학이 글로벌 현장에서 확인되고 있다는 평가다. 31일 미국 여성 트럭 운송 협회(WIT, Women in Trucking Association)에 따르면 CJ로지스틱스 아메리카가 '2025년 여성이 일하기 좋은 운송분야 최고 기업(Top Company for Women to Work in Transportation)'으로 선정됐다. WIT는 매년 운송·물류 분야 기업을 대상으로 여성 인재 고용과 승진 기회, 유연 근무제, 안전, 복지, 경력 개발 지원 등 조직 문화를 평가해 '여성 친화 기업'을 선정한다. 후보 기업은 최소 자격 요건 심사 후 업계 전문가 투표를 거쳐 결정된다. 경영진, 운영 및 안전 부문, 인사, 인재관리 임원, 전문 운전기사 등 2만1000명 이상의 운송 전문가가 투표에 참여했다. 올해 리스트에는 모터 캐리어, 3자물류(3PL), 장비제조사 등 다양한 업종에 걸쳐 약 200여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중 투표를 가장 많이 받
[더구루=길소연 기자] 프랑스 르노그룹이 차세대 전기차에 적용할 코발트 무함유 첨단 양극활물질(cathode active material, CAM)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환경 영향과 공급망 복잡성을 줄이면서도 성능 향상된 배터리 솔루션을 도입함으로써 전기차(EV) 기술 분야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한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르노그룹의 전기차 전문 자회사 암페어(Ampere)'는 CAM 개발 및 상용화에 주력하는 스트라투스 머티리얼즈(Stratus Materials Inc, 이하 스트라투스)와 코발트 프리(cobalt-free) LXMO™ 배터리 기술을 공동 개발하기 위한 합작투자협약(JDA)을 체결했다. LXMO™은 스트라투스가 개발한 차세대 리튬 이온 배터리용 양극활물질이다. 이번 협약은 스트라투스의 고에너지 코발트 무함유 LXMO™를 르노의 전기차 차량에 도입하는 것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첫 단계이다. LXMO™ 기술을 암페어가 프랑스 라르디에 개소한 기술센터 배터리 셀 혁신 랩(Battery Cell Innovation Lab)에서 테스트해 EV용 배터리 셀에서 소재의 고성능을 입증한다. LXMO™은 기존 니켈·망간·코발트(NMC) 배터리와
[더구루=진유진 기자] 롯데쇼핑이 일본 미쓰이스미토모은행(SMBC)으로부터 대규모 자금을 확보했다. 이번 자금 조달은 김상현 롯데그룹 유통군 총괄대표 겸 롯데쇼핑 대표이사 부회장이 추진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다각화 전략과 궤를 같이한다. 롯데의 북미 사업 확대를 위한 선제적 투자로 풀이된다. 롯데쇼핑은 지난 4일 서울에서 계약 체결식을 열고, 캐나다 정부 산하 캐나다수출개발공사(EDC)의 보증을 통해 미쓰이스미토모은행과 대규모 자금 조달 계약을 체결했다. 앞서 롯데쇼핑은 지난 9월 캐나다수출개발공사와 전략적 금융 파트너십을 맺고 최대 5억 달러(약 7200억원) 규모 협력 금융 라인을 확보한 바 있다. 이번 미쓰이스미토모은행과의 계약은 이 금융 라인의 첫 실행이라는 의미가 있다. 이번 계약의 구체적 조달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최대 5억 달러 범위 내에서 진행된 것으로 전해졌다. 그간 김 부회장은 그룹 성장을 위해 해외 네트워크 활용과 금융 조달 다각화를 꾸준히 강조해왔다. 이번 거래에서는 이러한 기조 아래 일본 대형 은행인 미쓰이스미토모은행을 주요 금융 파트너로 끌어들여 안정적인 자금 확보를 이끌어낸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쇼핑은 이번 조달 자금을 바탕으로
[더구루=진유진 기자] LX하우시스가 중국 인조대리석 시장에서 브랜드 경쟁력 '톱3'에 올랐다. 중국 고가·프리미엄 인공석 부문에서 브랜드 인지도 3위로 평가되며, 기존 북미·유럽 중심 성장 축이 중국으로 영토 확장하는 모습니다. 3일 중국 브랜드망(中国品牌网)에 따르면 LX하우시스 우시 생산·판매법인은 '2025년 최고의 인조석 브랜드 톱10'에서 3위에 올랐다. 업계 평판·브랜드 인지도·경쟁력 등을 종합 평가한 결과로, 현지 프리미엄 수요층이 인정하는 주요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는 평가다. 인조대리석은 식탁·세면대 등 가정용 인테리어뿐 아니라 호텔·병원·공항 등 상업시설 벽면과 바닥 소재로 폭넓게 사용되는 고부가 건자재다. 예술작품 등 디자인 영역까지 확장되는 추세다. LX하우시스는 글로벌 아크릴계 인조대리석 시장에서 점유율 20%대로, 듀폰에 이어 세계 2위다. 인테리어 자재 산업이 전통적으로 내수 비중이 높은 분야임을 고려하면 한국 기업의 톱2 진입 자체가 이례적 성과다. 배경에는 30년 가까이 축적해온 현지화 기반 연구개발(R&D)부터 디자인·생산·영업까지 하나의 체인으로 묶는 풀체인 전략이 있다. 북미·중국·유럽 주요 전시회 참가를 통해 브랜
[더구루=홍성환 기자] 하나은행이 인도네시아에서 뮤추얼펀드 상품 판매를 확대한다. 빠른 성장이 예상되는 현지 자산관리 부문 서비스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하나은행 인니는 30일 "프린시플자산운용과 협력해 오프라인 창구와 모바일 뱅킹 앱에서 뮤추얼펀드 3종을 판매한가"고 밝혔다. 데비 아구스티노 하리안토 하나은행 인니 부문장은 "프린시플과 협력을 통해 투자 상품군을 확대하고 고객이 투자 포트폴리오를 최적화하길 기대한다"며 "앞으로 자산관리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강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케말 파즈리 모신 프린시플 인니 법인장은 "이번 협력으로 뮤추얼펀드 투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것"이라며 "하나은행의 투자 전문성과 탄탄한 금융기관 역량을 결합해 인니 투자자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니 자산관리 시장은 고액 자산가 증가와 디지털 확대, 정부 지원 등으로 빠른 성장이 기대된다.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인니 자산관리 시장 규모는 2025년 1750억 달러(약 250조원)로 예상되며, 오는 2030년까지 연평균 2.77% 성장해 2000억 달러(약 290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한편, 하나은행은 지난 2007년 인니 빈탕 마눙갈 은행을
[더구루=정등용 기자] 러시아가 북극지역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 예산도 적극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1일 러시아 정부에 따르면 미하일 미슈스틴 러시아 총리는 최근 북극지역에 대한 포괄적 사회·경제 개발 계획을 승인했다. 이에 따라 러시아 정부는 오는 2035년까지 북극지역 15곳에 △공항 △고속도로 △주택 △병원 및 진료소 △호텔 △문화 및 스포츠 시설 등을 건설한다. 15개 지역은 △틱시-나이바 △살레하르트-라비트난기 △페베크-빌리비노 △노릴스크-두딘카 △딕손 △나리안-마르 △노야브르스크 △노비우렌고이 △보르쿠타 △에그베키노트 △아르한겔스크 △켐-벨로모르스카야 △무르만스크 △키로프-아파티티 △묀체고르스크다. 미슈스틴 총리는 “연방 예산 편성 시 관련 국가 프로그램 총 예산의 최소 5%를 북극지역 개발 계획에 배정할 것”이라며 “연방 구성 주체들도 자체 재정 계획 수립 시 이러한 지출을 고려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러시아 정부는 지난 2023년 11월 북극지역 중 개발 대상 지역을 선정했다. 이후 올해 5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내각에 대상 지역의 장기적 사회·경제 개발을 위한 종합 계획 수립을 지시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일본 통신업계가 NTN(Non-Terrestrial Network) 기술 개발 경쟁을 치열하게 벌이고 있다. NTN은 지상 네트워크가 미비한 지역을 우주에서 커버할 수 있도록 해 향후 활용 가능성이 높은 기술로 평가 받는다. 2일 일본 통신업계에 따르면 일본 주요 통신사들은 NTN 기술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NTN은 비지상 네트워크로 통신위성과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고고도플랫폼무선국(HAPS) 등 공중·우주 인프라를 활용하는 기술이다. 미국 스페이스X가 개발한 스타링크가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일본 통신사 중에선 KDDI가 지난 4월 위성과 스마트폰의 직접통신 서비스(D2C)인 ‘au 스타링크 다이렉트(au Starlink Direct)’를 개발했다. au 스타링크 다이렉트는 외부 안테나 없이 위성과 바로 통신할 수 있으며, 현재 약 800만 대에서 이용 가능하다. 라쿠텐 모바일은 내년 4분기 라쿠텐 최강 위성 서비스를 시작한다. 라쿠텐 모바일은 사상 최대급 대형 안테나를 탑재한 위성을 활용해 광대역 D2C를 지향하고 있다. 지난 4월에는 일본 최초로 D2C 실증 실험에서 영상통화에 성공하기도 했다. 소프트뱅크는 지난 6월 미
[더구루=홍성환 기자] 신한은행이 베트남에서 공격적인 출점 전략을 이어가고 있다. 현지화 전략을 통해 로컬은행으로 자리매김하는 모습이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신한베트남은행은 지난달 하노이시 동다 지점을 개설했다. 동다는 하노이 중심부에 위치한 구도심 지역으로, 하노이시의 도시 개발 계획에 따라 인프라 투자가 확대되고 있다. 신한베트남은행은 앞서 지난 9월 호찌민 11군 지점과 하노이 로얄시티 지점을 나란히 오픈한 바 있다. 로열시티 지점은 하노이 최대 규모 복합단지 중 하나인 로열시티 주거·상업 단지 내에 자리잡고 있다. 또 지난 7월과 8월에는 호찌민 칼메트 지점과 북부 주요 항구도시인 하이퐁시 중앙지점을 각각 열었다. 신한베트남은행은 대면 접점 확대를 통해 현지화 전략에 더욱 속도를 높이고 있다. 외국계 은행에 머물지 않고 로컬은행으로 존재감을 키우기 위해서다. 실제로 베트남의 경우 전체 임직원 중 90% 이상이 현지 직원이다. 신한은행은 1993년 베트남 사무소를 설립하며 처음 진출했다. 2009년 현지법인으로 전환 후 현지 은행을 인수하며 사업을 꾸준히 확대했다. 신한은행은 베트남 내 외국계 은행 중 가장 많은 오프라인 네트워크를 운영 중이며 총
[더구루=진유진 기자] 롯데가 파트너사와의 상생을 실질적인 지원으로 이어가며 '함께 성장하는 동반자'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자금 지원부터 판로 확대, 문화 교류까지 전방위적 협력을 꾸준히 이어갈 계획이다. 31일 롯데에 따르면 회사는 매년 명절을 앞두고 중소 파트너사의 자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납품 대금을 조기 지급한다. 올 추석에 1만1000여 개 파트너사에 총 8957억원을 당초 지급일보다 평균 9일 앞당겨 지급했다. 고물가·고금리 속 경영난을 겪는 중소기업의 유동성 확보를 지원하기 위한 조치다. 롯데건설과 롯데백화점, 롯데마트·슈퍼, 롯데글로벌로지스, 롯데케미칼, 롯데웰푸드 등 23개사가 참여했다. 나아가 약 1조원 규모 동반성장펀드를 조성해 협력사의 자금 흐름을 돕고, 대기업 최초로 전 그룹사 상생결제시스템을 도입해 거래대금을 현금성으로 지급하고 있다. 롯데는 파트너사와의 관계를 경제적 지원을 넘어 정서적 유대까지 확장하고 있다. 지난 3월 서울 잠실 롯데콘서트홀에서 파트너사 임직원 1300여 명을 초청해 '2025 롯데 행복나눔 동행콘서트'를 열었다. '함께 빛나는 순간(Together We Shine)'을 주제로 한 이번 공연은 젊은 연주자들로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해군의 핵추진 잠수함 증강 전략이 한층 빨라진다. 미 해군과 핵추진 잠수함을 건조할 헌팅턴 잉걸스(HII)가 올 연말까지 잠수함 건조 협상을 마무리하고 계약 절차를 밟을 전망이라 다년간 이어진 협상이 완료된다. 계약이 체결되면 정기선 회장 체제 하의 HD현대중공업의 한미 조선 협력이 본격화된다. HD현대중공업은 HII와 '함정동맹'을 맺고 조선 기술을 협력하기로 했다. [유료기사코드] 4일 미 해군연구소(USNI) 산하 매체 미해군연구소 뉴스(USNI News)에 따르면 HII 핵잠수함 건조 자회사 뉴포트 뉴스 조선소는 해군과 핵잠수함 건조·유지보수 업체 제너럴 다이내믹스 일렉트릭 보트와 함께 10척의 블록 VI 버지니아급 공격형 잠수함과 5척의 컬럼비아급 핵탄도미사일 잠수함 건조 협상을 진행 중이다. 이들은 5주째 이어지고 있는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업무중단) 기간 동안에도 조선 자금 조달 및 계약 협상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크리스 카스트너 HII 사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3분기 실적발표에서 "연말 전에 협상을 마무리하기 위해 매우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며 "해군은 정부 셧다운과 '연장 결의안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루이지애나주 주정부가 현대제철의 전기로 제철소 건설 프로젝트를 위해 트럼프 행정부에 관세 면제와 세금 혜택을 적극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미 관세 협상 타결과 주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현대제철은 설비 업체 선정과 인허가 절차를 신속히 진행, 투자 속도와 안정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3일 미국 온라인 매체 '더 센터 스퀘어(The Center Square)'에 따르면 루이지애나 경제개발청과 주정부 관계자들은 현대제철 프로젝트와 함께 진행 중인 화학·제조 산업 투자를 보호하기 위해 트럼프 행정부에 관세 면제 및 완화를 공식 요청했다. 주정부는 프로젝트 지연이나 취소를 막기 위해 직접 협상에 나선 것으로 전해진다. 의회 인사인 마이크 존슨(Mike Johnson) 하원의장과 스티브 스칼리세(Steve Scalise) 다수당 원내대표에게도 직접 협조를 요청했다. 두 의원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측근으로 꼽히힌다. 루이지애나 경제개발청은 이들의 지원을 기반으로 프로젝트 추진 안정성과 관세 완화 협상을 동시에 확보하려 했다. 현대제철의 투자 계획은 지역사회에서도 강력히 지지받고 있다. 후아니타 펄리 도널드슨빌 지역 상공회의소 전
[더구루=길소연 기자] 장금상선이 중국과 러시아 간 서비스를 확대해 극동지역에서 효율적인 공급망과 유연한 지역 서비스를 제공한다. 장금상선의 항로 확장으로 한국과 중국, 러시아를 오가는 화주들의 물류 네트워크 연결성이 향상돼 물류비 절감과 운영 효율성 증대 효과를 가져온다. 4일 해운항만 전문매체 컨테이너뉴스(Container-News)에 따르면 장금상선은 계열사인 흥아해운과 함께 '상하이-러시아 서비스'(SRS)에 울산 기항을 추가했다. 기존엔 부산항만 기항했는데 이번에 울산항을 기항지에 추가한 것이다. 울산 기항 추가로 SRS는 울산-부산-닝보-상하이-블라디보스토크-부산으로 이어지는 항로로 서비스 한다. 장금상선은 지난 2023년 9월부터 시스타라인(CStar Line)과 선복 임차협정을 맺고 중국과 러시아 항로 서비스를 시작했다. 보스토치니에서 옌티엔, 난샤, 샤먼, 상하이 보스토치니 간을 주간 정요일 형태로 서비스했다. 이 항로에 장금상선은 2200~2900TEU급 컨테이너선 3척을 투입했다. 하지만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지난해 4월부터 러시아 보스토치니 기항을 중단하면서 블라디보스토크항에서 선박을 접안해 컨테이너를 선적하고 있다. 이번 항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1위 배터리 기업인 중국 CATL(寧德時代·닝더스다이)가 중국 리튬 배터리 소재 공급업체 캔맥스 테크놀로지스(Canmax Technologies, 이하 캔맥스)의 지분에 투자하며 리튬 배터리 소재 확보를 늘린다. 원재료·소재·셀·팩·재활용까지 수직 계열화된 밸류체인(생산부터 유통까지 산업 전반의 구성) 구조에 집중하고 있는 CATL은 배터리 소재 확보로 공급망 구축과 원가 경쟁력을 강화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수소연료전지 기업 블룸에너지(Bloom Energy)가 약 3조6000억원 규모의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강화된 자본을 기반으로 연료전지 발전용량 확대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