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필리핀 정부가 원전 건설 재개를 위해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협력에 힘쓰고 있다. IAEA의 심사를 받아 원전 인프라 구축 노력에 대한 호평을 이끌어냈고, 추가 과제를 확인했다. 한국수력원자력이 노리는 바탄 원전 사업의 불씨가 되살아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1일 IAEA에 따르면 IAEA 직원 2명과 파키스탄·튀르키예 출신 전문가 2명으로 꾸려진 심사팀은 지난 2일(현지시간)부터 6일까지 필리핀에서 통합원자력 인프라점검(INIR) 검토를 마쳤다. INIR은 원전 도입 희망국의 의뢰에 따라 IAEA 회원국과 국제 전문가가 수행하는 활동이다. 마일스톤 접근법을 기반으로 해당 국가가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원전 건설을 위한 인프라를 갖췄는지 평가한다. INIR 심사팀은 마일스톤 접근법 1단계 기준을 적용해 필리핀의 원전 인프라 개발 현황을 검토했다. 1단계는 원전에 대한 충분한 지식에 기반해 원전 프로그램을 착수할 준비가 됐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원전 개발의 3단계(도입 평가, 준비, 건설) 절차에 대해 세부 지침을 제공한다. 심사팀은 인력 양성과 규제, 핵폐기물 관리, 비상 대응 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원전 프로그램에 대한
[더구루=김은비 기자] 일본 웨어러블 로봇 기업 사이버다인(Cyberdyne)이 말레이시아 사회보장기구(PERKESO)에 웨어러블 로봇을 공급한다. 재활 의료 시장에서 웨어러블 기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사이버다인은 글로벌 시장에서 각광받으며 잇딴 ’러브콜‘을 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7일 사이버다인에 따르면 이 회사는 PERKESO에 웨어러블 로봇 ‘HAL(Hybrid Assistive Limb)’ 65대를 렌탈 방식으로 납품한다. 이는 5년 계약으로 맺어졌으며 계약 금액은 약 7억엔(약 66억원)이다. HAL은 뇌가 신체를 움직일 때 발생하는 미세한 생체 전위 신호를 감지해 동작을 보조하는 웨어러블 로봇이다. 피부에 부착한 센서가 생체 신호를 감지하면 내장된 컴퓨팅 시스템이 이를 분석해 환자가 움직이는 것을 도와준다. HAL의 무게는 약 3kg으로, 하반신 및 팔과 다리 관절, 허리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뉘어 제공된다. 2010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의료기기 승인을 받은 HAL 시리즈는 일본 후생노동성이 의료보험 지원 대상에 포함된 바 있다. 이번 계약은 말레이시아 정부 주요 관계자가 지난 5월 이바라키현 츠쿠바시에 위치한 사
[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본 키옥시아가 유니버셜플래시메모리(UFS) 4.0 규격을 지원하는 차량용 차세대 고성능 임베디드 플래시 메모리에 대한 국제 품질 인증을 확보했다. 글로벌 완성차 제조사들의 높은 눈높이에 맞는 자동차 반도체를 선보이며 수주 확대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5일 키옥시아에 따르면 차량용 UFS 4.0 메모리가 오토모티브 스파이스(ASPICE) 레벨2(CL2) 인증을 받았다. 차량용 UFS 4.0 메모리에 대한 ASPICE 레벨2 인증을 확보한 것은 키옥시아가 업계 최초다. 키옥시아의 차량용 UFS 4.0 메모리는 소형 패키지 크기로 빠른 임베디드 스토리지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차량 인포테인먼트, 통합 조종석 시스템,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자율주행 등의 시스템 성능 개선을 돕는다. 5G 연결을 활용해 시스템 시작 시간을 단축하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한다. 키옥시아는 이번 ASPICE 레벨2 인증으로 차량용 임베디드 메모리 시장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자동차 제조사와 티어1 부품 공급 업체가 요구하는 일관된 소프트웨어 개발·품질 표준을 충족할 수 있는 역량을 입증했다는 설명이다. ASPICE는
[더구루=김은비 기자] 일본이 차세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상용화에 나섰다. 오는 2040년까지 누적 발전 용량 20기가와트(GW)를 달성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요미우리 등 현지 외신에 따르면 일본 경제산업성은 지난 26일(현지시간)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보급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2040년까지 누적 발전 용량 20GW를 달성한다는 목표다. 20GW 용량은 1GW 상당의 원자력발전소 20기, 일본 가정 약 10%인 600만 세대의 전력 수요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일명 '접히는 태양전지'로, 차세대 신재생에너지의 핵심 기술로 꼽힌다. 빌딩이나 전기차의 유리창에 붙여 햇빛을 전기로 만들어 쓰는 형태다. 태양광 에너지는 일본 정부가 밀고 있는 주력 에너지 중 하나로 꼽힌다. 일본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원자력 발전에 대한 대안으로 태양광 발전을 급속히 확대해 왔다. 일본 에너지 정책 연구소(ISEP)에 따르면 지난 2023년 일본의 태양광 발전 비중은 연간 전력 생산량의 약 11.2%를 기록했다. 특히 일본은 전 세계 요오드 산출량의 2위를 차지하고 있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생산에 유리한 입지
[더구루=정등용 기자] 대만 해상풍력 개발기업 SRE(Synera Renewable Energy)가 한국 시장에 진출한다. 대만을 넘어 한국과 일본 등 해외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SRE는 최근 한국 남해에서 해상 풍력 프로젝트를 개발하기 위해 문도풍력에너지(MWE)와 협력하기로 했다. 양사는 문도해상풍력에너지라는 합자회사를 설립했으며, 한국 정부로부터 해상풍력 발전 사업 라이선스(EBL)까지 획득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한반도 서남단 전라남도 여수시 거문도 주변 해역에 고정식 해상 풍력 발전 단지를 건설하는 것으로 총 용량은 840MW(메가와트)에 이른다. SRE는 서울에도 별도 사무실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SRE의 이번 행보는 해외 사업 확대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앞서 SRE는 일본 규슈 북부 지역에서 신규 사업 추진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대만 본국 사업도 활기를 띠고 있다. 대만 먀오리현 해안에서 18~2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495MW 규모의 포모사 4는 경제부 에너지국으로부터 설립 허가를 받았으며, 800MW 규모의 포모사 6 풍력발전단지에 대한 관리 계약서도 경제부 에너지국에 제출했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중국 생명공학회사 에베레스트 메디신(Everest Medicines)의 원발성 면역글로불린A 신장병증(IgA) 치료제 '네페콘'(Nefecon·성분명)이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로부터 품목 허가를 획득했다. 향후 건보 혜택을 받고 환자 접근성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식약처에 따르면 네페콘을 원발성 IgA 신장병증 성인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의약품으로 판매 승인했다. 네페콘은 지난 2022년 식약처로부터 희귀의약품 지정을 획득하고 글로벌 혁신제품 신속지원(GIFT) 대상 2호 품목으로 지정된 바 있다. 원발성 IgA 신장병증이란 면역글로불린 A(항체의 한 종류)로 인해 신장에 있는 사구체에 염증이 생기는 희귀 자가면역질환으로, 국내 성인 환자 수는 약 9000명으로 추정된다. 식약처는 에베레스트 메디신이 제출한 네페콘 임상 3상 'NeflgArd'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승인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네페콘은 NeflgArd 임상에서 치료 9개월 시점에서 요단백 대 크레아티닌 비율(UPCR)을 위약(가짜약)보다 27% 더 낮췄다. UPCR 수치가 높을수록 신장 손상이 더 심각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투석·신장이식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이 전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사이버 공격에 시달리고 있다. 대만은 사이버 공격에 맞서 정부 차원의 적극적 대응에 나서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업계에 따르면 황옌난(黃彥男) 대만 디지털발전부 장관은 지난 22일(현지시간) 타이난시에서 개최된 '사이버데이 2024 정보보안산업의 날(CYBERDAY 2024 資安產業日)' 행사에서 "대만은 현재 초당 1만5000건의 사이버 공격을 받고 있다"며 "이는 다른 국가 평균보다 4배 높은 수치"라고 밝혔다. 황 장관은 "대만은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해외 사이버 공격의 1급 전쟁터가 됐다"며 "정보 보안은 가장 기본적인 사항이며, 이를 제대로 지키지 않으면 많은 산업이 성장할 수 없고 심지어 파괴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만 대상 사이버 공격의 주체는 지정학적 적대 세력 뿐 아니라 경제적 이익을 노리는 해커 집단까지 다양하다. 올해 초에는 친러시아 해킹 그룹 '노네임057(NoName057)'이 대만 정부, 금융 기관, 타이베이 쑹산 공항 등에 대한 디도스(DDoS) 공격을 진행한 바 있다. 대만 정부는 사이버 공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022년 디지털발전부를 신설했다. 디지털발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최대 전자기기 제조업체 폭스콘(Hon Hai Technology Group)이 엔비디아 시스템이 장착된 슈퍼컴퓨터를 활용, 의료 분야 인공지능(AI) 연구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업계에 따르면 폭스콘은 타이중 재향 군인 종합병원, 카디널 티엔 병원 등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축해 대만 경제부 주도 'BIG A+ 프로그램' 에 참가했다. 폭스콘 컨소시엄은 프로그램 대상 기업으로 선정돼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AI 연구에 나설 수 있게 됐다. 폭스콘 컨소시엄이 활용한 슈퍼컴퓨터는 타이페이-1(Taipei-1)이다. 타이페이-1은 전세계에서 38번째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는 AI 슈퍼컴퓨터다. 타이페이-1은 엔비디아 DGX H100 네크워크에 연결된 64대의 엔비디아 퀀텀-2 인피니밴드와 OVX 시스템, 256개의 엔비디아 IA L40 그래픽처리장치(GPU)가 장착됐다. 폭스콘은 타이페이-1을 활용해 헬스케어 로봇 시뮬레이션, 디지털 트윈 의료 보조 진단 분석을 위한 딥러닝 모델 훈련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코닥터 AI 생태계, AI 진단 지원 시스템, 비임상 업무 자동화 간호 로봇 개발에도 나설 예정이다. 폭스콘 관계자는
[더구루=한아름 기자] 스타벅스(Starbucks)가 중국 사업 지분 매각을 추진한다. 현지 커피 시장 사업 철수 의미는 아니다. 현지 기업과의 제휴를 맺고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전략이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업계에 따르면 스타벅스가 중국 사업 지분을 매각하기 위해 자문사 선정에 착수했다. 스타벅스는 중국 사업의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중 일부 지분을 매각할 예정이다. 스타벅스는 이와 관련해 현지 사모펀드와 마스터프랜차이즈 기업 등을 포함한 잠재적 투자자들의 의향도 비공식적으로 타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스타벅스가 중국 사업 지분을 매각하는 배경은 현지 시장에서 장기적인 성장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현지 커피 시장 경험이 풍부하고 전문성을 갖춘 현지 기업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으면 △운영 효율성 제고 △시장 대응력 강화 △재정적 위험 분담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로컬 커피 브랜드와의 경쟁에서도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스타벅스는 2023년 회계연도(2022년 10월 3일~2023년 10월 1일)에 중국 내 매장 수를 12% 늘리며 약 30억달러(약 4조1932억원)의 매출을 올렸으나 올해 루이싱커피(瑞幸咖啡, Luckin
[더구루=김은비 기자] 삼성전자가 필리핀의 IT 유통업체 버사텍 인터내셔널(Versatech International, 이하 버사텍)을 새로운 파트너로 낙점했다. 중국이 장악하고 있는 필리핀 모바일 시장에서 소비자와 기업을 대상으로 첨단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협력한다는 각오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필리핀 법인(SEPCO)은 버사텍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버사텍은 정보기술(IT) 및 솔루션 전문 유통업체다. 파트너십을 통해 삼성 모바일 기기의 공식 유통업체로 활약한다. 버사텍은 현지 시장에서 기업 및 소비자 시장 모두에서 다양한 디지털 솔루션과 시스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필리핀 모바일 시장에서 혁신을 가속화하고, 소비자와 기업들이 차별화된 모바일 경험을 누릴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필리핀 시장은 저가형 모델을 앞세운 중국 기업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에 따르면 올해 3분기 필리핀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점유율 11%로 5위에 머물렀다. 1위는 점유율 33%를 차지한 트랜션으로, 오포(16%), 리얼미(16%), 샤오미(12%)가 그 뒤를 이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대만 TSMC가 첨단 패키징 기술 중심 산업 클러스터 개발을 추진한다. 파트너사들과 협력해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첨단 패키징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21일 대만 디지타임스에 따르면 TSMC는 최근 난커 지역에 30헥타르(ha) 규모 토지를 매입했다. 이 곳에는 첨단 패키징을 위한 '선진 공급망 구역'이 조성될 전망이다. 축구장 30개가 들러설 정도의 부지를 갖춘 선진 공급망 구역에는 TSMC의 패키징 생산 공장이 아닌 패키징 사업 협력사들이 입주하게 된다. 연구개발부터 설계, 장비 조달, 생산까지 아우르는 산업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인근에 위치한 첨단 패키징 생산시설 TSMC의 자이 7공장(AP7)과 타이난 8공장(AP8)의 양산을 지원사격한다. TSMC는 입주사 모집을 위해 이날 주요 협력사 대상 설명회도 개최했다. 선진 공급망 구역 설립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다. △준하오정밀(均豪精密) △준화정공(均華精密工業) △치성공업(志聖工業) △신윤엔터프라이즈(辛耘企業) 등 패키징 장비 공급사와 △잉웨이테
[더구루=김은비 기자] SK실트론 파트너십을 맺고 있는 영국 반도체 소재 회사 IQE가 대만 자회사 매각을 검토 중이다. 최근 실적 부진과 시장 회복 지연으로 인한 재정적 어려움이 배경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20일 IQE에 따르면 대만 자회사 전액 매각을 포함한 모든 전략적 옵션을 검토중이다. IQE는 지난 7월 대만 자회사의 소수 지분 매각을 통해 대만 증권거래소 상장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번 결정은 반도체 업계 전반의 수요 부진이 예상보다 장기화되면서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려는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IQE는 올해 전체 매출이 전년 대비 큰 변동 없이 약 1억1500만파운드(약 1950억원)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업계 전반의 침체 영향으로 상황이 변했다. 매출 성장이 제한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IQE는 500만파운드(약 88억원) 이상의 조정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IQE가 대만 자회사를 매각하게 되면 SK실트론 공급망에도 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양사는 2022년 질화갈륨(GaN) 전력반도체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협력 계약을 체결,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실리콘카바이드(S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로봇 기업 피규어 AI(Figure AI)가 빨래하는 휴머노이드의 모습이 담긴 영상을 선보였다. 피규어AI는 자체 인공지능(AI) 모델인 '헬릭스(Helix)'를 앞세워 가정용 휴머노이드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브렛 애드콕(Brett Adcock) 피규어AI 최고경영자(CEO)는 31일(현지시간)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휴머노이드 피규어 02가 빨래 바구니에 든 옷을 세탁기에 넣는 모습을 담은 영상을 공개했다. 영상 속 피규어 02는 옷이 가득 찬 빨래 바구니를 들어 세탁기 안에 빨랫감을 하나씩 집어넣는다. 이어 중간에 아이들이 추가로 집어넣은 옷도 문제없이 세탁기에 넣는 모습을 보여준다. 브렛 애드콕 CEO는 해당 영상의 댓글을 통해 피규어 AI 회사 내에서 똑같이 작동하는 모습을 담은 영상도 게재해 눈길을 끌고 있다. 브렛 애드콕 CEO는 "공개된 영상 속 휴머노이드는 원격으로 조종한 것이 아니다"라며 "자체 AI 모델인 헬릭스를 기반으로 움직인 것"이라고 강조했다. 헬릭스는 피규어AI가 독자개발한 비전언어행동(Vision Language Action, VLA) 모델이다. VLA는 로봇이 시각적 입력
[더구루=홍성환 기자] AI 소프트웨어 기업 빅베어AI 홀딩스(BigBear.ai)와 데프콘AI(DEFCON AI)가 안정적인 군수지원과 준비태세를 지원하는 통합 솔루션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 [유료기사코드] 양사는 1일 군사 준비태세 및 합동 군수 역량 혁신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두 회사는 전 세계 방위산업 부문 전반에서 경쟁적 군수지원(적대국이 전쟁을 비롯한 충돌 상황에서 군수품의 이동을 방해하는 상황), 합동군 유지, 준비태세 평가 등을 지원하기 위한 통합 솔루션을 개발할 계획이다. 케빈 맥앨리넌 빅베어AI 최고경영자(CEO)는 "양사의 파트너십은 핵심 시장에서 임무 중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전략적 협업"이라며 "남서부 멕시코 국경의 전술적 작전부터 인도·태평양 지역의 전략적 작전에 이르기까지 방위산업체의 가장 시급한 군수 및 준비태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빅베어AI는 국방 및 국가 안보 분야에 특화된 AI 소프트웨어 기업이다. 미국 증권가에서 제2의 팔린티어로 주목받고 있다. 주력 사업은 AI 기반 의사 결정 인텔리전스 솔루션이다. AI와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해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