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 반등에 성공했다. 과거 ‘철수설’까지 돌던 위기 속에서도 7개월 연속 월 2만대 이상을 판매하며 안정적인 판매고를 이어가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 중국 합작법인 위에다기아는 지난달 중국 시장에서 2만2388대를 판매했다. 지난 3월 이후 7개월 연속 월간 2만대를 판매하고 있다. 올 들어 9월말 현재 누적 판매량은 18만7424대로, 전년 동기 대비 6.4% 증가했다. 같은 기간 생산은 18만6870대로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했다. 엔진 수출도 9만2781대로 10% 증가했다. 기아는 지난 2016년 중국 내 판매 65만대 판매를 정점으로, 지난 2022년 9만4000대로 급락, 시장점유율 0.5% 미만으로 추락한 바 있다. 이후 최근 3년간 점차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수출 부문이 높은 성장세를 보여 옌청 공장은 중국 내수와 글로벌 수출 핵심 기지로 자리잡았다는 평가다. 실제로 호주·멕시코·사우디 등 89개국으로 공급망을 확대하며 위에다기아의 안정적인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기아는 E-GMP 전기차 전용 플랫폼 등 새로운 최신 기술을 탑재한 신차를 출시, 중국 내 입지를 끌어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올해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 리더십을 이어가고 있다. 현대차는 현지 판매 순위 4위를, 기아는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21일 글로벌 자동차 조사기업 켈리블루북(Kelley Blue Book)에 따르면 현대차는 올 들어 9월까지 미국 시장에서 5만7167대를 판매, 브랜드별 판매 4위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4만3615대) 대비 31.1% 두 자릿 수 급증한 수치다. 특히 미국 전체 전기차 수요가 11.7% 증가한 것을 감안할때 3배 가량 웃도는 성과다. 점유율은 5.5%를 기록했다. 아이오닉 5(4만1091대)와 아이오닉 6(9132대)가 전체 전기차 판매를 견인했다. 기아는 전년 동기 대비 33.4% 감소한 2만8816대(점유율 2.8%)를 판매, 브랜드 순위 10위를 기록했다. 모델별로 EV6가 1만1077대, EV9의 경우 1만2448대가 판매됐다. 다만 EV6 재고 조정과 인센티브 축소 영향으로 전년 대비 감소했다. 테슬라가 1위를 차지했다. 판매량은 45만1160대이며, 점유율은 43.2%에 달했다. 2·3위는 쉐보레와 포드이며, 각각 8만7137대(8.3%)와 6만9600대(6.7%)를 판매했다. 현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다음달 미국 로스앤젤레스오토쇼(LA Auto Show)에 나란히 참가해 북미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현대차는 고성능 브랜드 ‘N 라인’을 전면에 내세워 전동화와 퍼포먼스 차량을 강조하는 한편, 기아는 차세대 플래그십 SUV ‘텔루라이드 풀체인지(2027년형)’를 세계 최초로 공개, 브랜드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20일 LA오토쇼와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오는 11월 21~30일(현지시간) ‘2025 LA오토쇼’에 참가한다. 현대차는 디지털·인터랙티브 요소를 결합한 ‘현대인터랙티브 존(Hyundai Interactive Zone)’을 운영, 전기차 라인업과 인공지능(AI)·자율주행 등 미래 모빌리티 기술을 선보인다. 특히 올해는 ‘N’ 라인을 전면에 배치, 친환경성과 더불어 역동성과 주행 성능 중심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부각한다는 구상이다. 기아는 차세대 SUV ‘텔루라이드 풀체인지(2027년형)’를 세계 최초 공개한다. 북미 전용 모델로 개발된 신형 텔루라이드는 전장과 휠베이스가 각각 65㎜, 70㎜ 늘어나며, 세로형 헤드램프와 ‘스타맵 시그니처 라이팅’을 적용한 새로운 전면 디자인이 특징이다. 특히 3.5L
[더구루=김은비 기자] 스텔란티스(Stellantis)가 중국 자율주행 기술기업 포니닷에이아이(Pony.ai)와 손잡고 유럽 시장에서 레벨4(완전 자율주행) 전기밴 상용화에 나선다. 양사는 내년부터 유럽 주요 도시에서 실증 주행을 시작, 밴 모델을 중심으로 공동 개발에 착수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전기차 브랜드 리비안이 대형 전기 픽업트럭(R1T)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서두르고 있다. 우핸들 모델이 아닌 좌핸들 모델로 도로 주행하며 차량 품질과 성능을 점검했다. 독일과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등 대부분의 유럽 국가가 좌핸들을 사용하고 있어 좌핸들 모델을 출시해 유럽 시장 진출을 가속화한다.
[더구루=김은비 기자]테슬라의 완전 자율주행(FSD) 기술이 한 단계 도약한다.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FSD 최신 버전 ‘V14.2’의 대규모 배포를 공식화하면서 자율주행 상용화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중국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 ‘지커(Zeekr)’ 차량이 카자흐스탄 알마티 도심을 달리던 중 화재가 발생했다. 배터리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화재는 순식간에 차량 전체로 번졌으며 도심 주요 간선도로가 전면 통제되는 등 큰 혼란이 빚어졌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튀르키예 정부가 한국과 헝가리 등 주요 수입국을 대상으로 타이어 반덤핑 조사에 착수했다. 관세 부과 여부에 따라 국내 기업들의 현지 판매 전략과 수익성 등에 변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18일 튀르키예 상무부 관보에 따르면 상무부는 지난 10일(현지시간) 한국, 헝가리, 체코, 세르비아, 슬로바키아, 인도 등 6개국에서 수입되는 승용차 및 경상용차용 공기압식 타이어(PCR 및 LT 타이어)에 대해 반덤핑 조사를 개시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현지 타이어 제조사 '펫라스(Petlas Lastik Sanayi A.Ş.)’가 자국 시장 내 불공정 저가 수입을 이유로 제기한 청원을 바탕으로 진행된다. 조사 대상 품목은 경상용차, 중·대형 상용차, 농업용 타이어 등이다. 조사 기간은 2022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이며, 이 기간 수입량 변화와 국내 산업 피해 여부가 핵심 검토 항목으로 제시됐다. 튀르키예 당국은 이번 조사가 수입 제품의 가격이 국내 생산자 가격을 낮추거나 억제해 현지 산업에 피해를 끼쳤는지를 중심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수입국의 제품이 국내 가격 형성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더라도, 현지 시장 내 가격
[더구루=김은비 기자] 포드가 미국 내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폐쇄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전기차 수요 둔화로 일부 생산 설비가 유휴화됐음에도 불구, 짐 팔리 포드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나서 “공장을 폐쇄하지 않고 재활용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쐐기를 박았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미국 조지아주 사바나주립대학교(Savannah State University)에 ‘현대교대’를 설립한다. 지역 내 교육 접근성을 높이는 한편 미래 인재 육성하기 위한 행보다. 17일 현대차에 따르면 현대차 미국법인은 사바나주립대 내 '현대교육대학'을 신설한다. 기존 교대(College of Education)를 '현대교육대학'(Hyundai College of Education)으로 재편하는 형태다. 현대차는 시바나주립대에 500만달러(약 70억원)를 기부, 단과대 명명권을 부여받았다. 이는 사바나주립대 설립 이래 최대 규모 기업 기부로, 장학금·교원 역량 개발·교육 기술 인프라 구축 등에 포괄적으로 쓰인다. 현대차의 이번 행보는 단순한 사회공헌을 넘어 미래 인재 양성과 지역 신뢰도 제고를 동시에 겨냥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현대차는 사바나주립대와 함께 인턴십·현장 실습·교사 연수 등 산학 협력 프로그램을 운영, '현대교대' 출신 학생들이 조지아 브라이언카운티의 전기차 공장 ‘현대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에서 근무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지역 청년의 취업 기반을 마련하고, 생산·고용·교육이 선순환하는 지역
[더구루=정예린 기자] 금호타이어의 유럽 특화 제품인 겨울용 타이어 ‘윈터크래프트(WinterCraft) WP52+’가 유럽 최고 권위의 자동차 전문지 ‘아우토빌트(Auto Bild)’가 실시한 2025년 겨울용 타이어 테스트에서 글로벌 51개 브랜드 제품 중 3위를 차지하며, ‘최우수(Exemplary)’ 등급을 획득했다. 아우토빌트는 독일 최고 권위의 자동차 전문 잡지로 자동차 및 관련 제품들에 대한 콘텐츠를 비롯해 다양한 성능 테스트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아우토빌트의 성능 테스트 결과는 자동차 업계에는 신뢰도 높은 품질 인증의 지표로 작용하며, 소비자들에게는 제품 선택에 있어 전문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기준이 되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아우토빌트는 유럽지역에서 판매중인 주요 글로벌 브랜드의 겨울용 타이어 51개 제품을 대상으로 눈길(Snow), 마른(Dry) 노면과 젖은(Wet) 노면에서의 핸들링 및 제동력 등 겨울용 타이어 주요 성능을 평가했다. 그 결과, 금호타이어의 유럽 겨울용 신제품인 윈터크래프트 WP52+가 노면을 가리지 않는 뛰어난 주행성능과 안정성 항목에서 호평을 받아 최종 3위를 차지하며 최우수 등급인 ‘Exemplary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일본 최대 모빌리티 박람회 ‘재팬 모빌리티쇼'에 첫 참가한다. 현대차는 수소전기차 ‘디 올 뉴 넥쏘(The all-new NEXO)’를 일본 시장에 처음 공개한다. 수소와 전동화, 상상력이라는 ‘3대 도전(Daring Moves)’을 내세워 미래 모빌리티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방침이다. 17일 현대차에 따르면 일본법인 현대모빌리티재팬(HMJ)은 오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리는 '재팬 모빌리티쇼 2025(Japan Mobility Show 2025)'에 참가한다. 현대차는 디 올 뉴 넥쏘와 중형 전기 시내버스 ‘일렉시티 타운(ELEC CITY TOWN)’을 전시, 수소·전기차 기술을 적극 알린다는 방침이다. 현대차는 지난 4월 ‘서울 모빌리티쇼 2025’에서 넥쏘를 세계 최초로 공개한 바 있다. 현대차는 내년부터 일본 내 실증 사업을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수소 사업 브랜드 ‘HTWO’를 내세우며 △생산 △운송 △저장 △활용의 4개 밸류체인으로 구성된 수소사회 비전을 제시한다. 이 밖에도 △‘인스터(INSTER)’ △‘코나(KONA)’ △‘아이오닉 5(IONIQ 5)’ △‘아이오닉 5 N(IONI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