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샤오미 오토가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YU7과 함께 새로운 고급 주행보조시스템을 선보였다. 샤오미는 고급 주행보조시스템을 완전 자율주행차 기술로 발전시켜나간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샤오미 오토는 YU7의 인도에 앞서 업그레이드된 하이퍼 어시스티드 드라이빙(Hyper Assisted Driving, HAD) 주행보조시스템을 공개했다. 샤오미 오토는 새로운 HAD가 기존 버전과 비교해 가감속 제어 능력이 좋아져 승차감이 57% 가량 향상됐다고 소개했다. 또한 우회 성공률이 67%가 높아져 회차 상황에서 대응력이 높아졌으며, 교차로 통과율도 23% 증가해 실제 교통 상황에서 원활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발전했다고 강조했다. 새로운 HAD가 기존 버전보다 발전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배경에는 학습 데이터의 증가가 있다. 기존 버전은 300만개 클립을 학습한 시스템이었다. 클립이란 카메라와 라이다, 밀리미터파 레이더 등 다양한 센서가 수집한 데이터로, 30초에서 1분 사이 길이의 비디오 클립 형태로 만들어졌다. 새로운 HAD는 기존 버전보다 700만개나 많은 1000만개 클립을 학습했다. 샤오미는 "10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 전기차 아이오닉 5가 북극해를 향한 장거리 주행 도전에 성공했다. 업계는 이번 프로젝트가 전기차 주행 한계를 넘어서는 사례로 입증에 성공했다는 평가다. 13일 현대차 캐나다법인에 따르면 현대차 아이오닉 5 오너 패트릭 나도(Patrick Nadeau)는 직접 2025년형 아이오닉 5로 캐나다 마컴 본사에서 출발해 북극해에 위치한 턱토야크턱까지 도달한 뒤 무사히 복귀했다. 이번 주행은 지난 4월 24일 시작돼 약 두 달간 진행됐으며, 총 주행거리는 1만9743km에 달했다. 주행 중 평균 에너지 소비량은 18.9kWh/100km였고, 총 87회의 충전이 이뤄졌다. 평균 충전 시간은 42분이었으며, 총 충전 비용은 1403 캐나다달러(약 150만 원) 수준이었다. 동일 구간을 일반 SUV(10L/100km 기준)로 주행할 경우 연료비만 약 300만 원 이상 소요될 수 있는 점을 감안하면 경제성도 입증됐다는 평가다. 특히 아이오닉 5는 이 여정 동안 별도의 개조 없이 순정 상태로 운행했다는 점에서 더욱 높이 평가받고 있다. 차량에는 촬영 장비, 캠핑용품, 식량 등 약 400파운드(약 181kg)의 장비가 실렸다. 패트릭 나도는 화
[더구루=김은비 기자] 슬레이트 오토가 야심차게 내세웠던 ‘2만 달러 미만 전기 픽업트럭’이 사실상 무산됐다. 트럼프 행정부가 통과시킨 새 예산안으로 인해 핵심이었던 연방 세금 공제 혜택이 폐지되면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슬레이트 오토는 최근 공식 홈페이지에서 ‘세금 공제 후 2만 달러 미만’이라는 가격 문구를 삭제하고, “트럭의 시작가는 이제 2만 달러 중반대가 될 것”이라고 수정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Big Beautiful Bill Act, OBBBA)’이 전기차 보조금 항목을 전면 폐지한 데 따른 조치다. 슬레이트 오토는 제프 베이조스가 투자한 전기차 스타트업으로, 전례 없는 ‘초저가 전기 픽업트럭’ 콘셉트로 시장의 관심을 끌었다. 단순한 기능만 제공하는 ‘미니멀 베이스 모델’을 앞세워 가격을 대폭 낮췄다. 기본 사양은 회색 단색 바디에 2인승, 단순한 게이지 클러스터, 플랫베드만을 갖췄고, 창문, 오디오,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컵홀더 등은 모두 유료 옵션이다. 슬레이트 오토의 이러한 파격적인 전략은 공개 후 단 2주 만에 예약 건수 10만 건을 넘기며 시장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그러나 핵심 경쟁력이던 ‘세금 공
[더구루=김은비 기자] 테슬라가 미국 캘리포니아에 완전 태양광 충전소를 전격 오픈했다. 이 충전소는 미국 전력망과 연결하지 않고도 자급이 가능한 최초의 ‘오프그리드(Off-grid)’ 방식으로,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는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트 힐스(Lost Hills)에 완전 태양광 기반 전력 충전소 '프로젝트 오아시스(Project Oasis)'를 공식 개장했다. 현재 총 168기의 전기차 충전기 중 현재 84기가 운영 중이다. 프로젝트 오아시스는 테슬라가 최초로 선보이는 전력망에 의존하지 않는 슈퍼차저 메가사이트다. 주차장 전체 캐노피에는 태양광 패널이 설치돼 있으며 인근에는 11메가와트(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가 별도로 조성돼 있다. 생성된 전력은 총 10기의 대형 리튬이온 배터리인 메가 팩(Megapack)을 통해 총 39MWh 규모로 저장된다. 이는 하루 수백 회 충전도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다. 프로젝트 오아시스는 미국 내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장의 '모델 케이스'로 평가받고 있다. 공사 시작 후 단 8개월 만에 절반인 84기를 오픈한 것은 업계 기준으로도 매우 빠른 편이라는 평가다. 충전소 인허가 및 구축에는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 소형 전기 SUV ‘EV2’가 알프스에서 고지대 주행 테스트 중 포착됐다. EV2 유럽 출시에 대한 가늠자로 업계는 평가하고 있다. 12일 전기차 매체 일렉트릭(Electrek) 등에 따르면 기아 EV2로 추정되는 프로토타입 차량이 최근 알프스 산맥 일대에서 테스트 주행 중인 모습이 포착됐다. 이 차량은 위장막을 둘러 전면과 후면을 두껍게 감쌌지만 전체적인 차체 실루엣과 디테일이 일부 드러났다. 포착된 차량은 독일 번호판과 테스트카(Testfahrt) 스티커를 부착했으며, 특히 전면 범퍼부터 C필러까지 이어지는 측면 라인은 기존 EV3 및 EV5와 유사한 기아 전기 SUV 패밀리룩을 유지했다. EV2는 대형 전기 SUV EV9에서 영감을 받은 박스형 디자인과 ‘스타맵(Star Map)’ LED 시그니처를 적용한 소형 전기 SUV다. 전장 4000mm 수준의 소형차로, EV3에 적용된 400볼트 E-GMP를 기반으로 리튬인산철(LFP)과 니켈·망간·코발트(NMC) 배터리를 모두 지원한다. 파워트레인은 전륜 구동 싱글모터로 구성, 도심 주행에 초점을 맞췄다. 판매 가격은 약 2만5000만 유로(4200만 원) 수준으로 책정될 예정이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 5 N’이 영국에서 '가장 주행 재미가 넘치는 차(Best Fun Car)'로 뽑혔다. 기아 EV9도 최고의 7인승 자동차로 나란히 선정됐다. 영국 자동차 전문 매체 ‘파커스(Parkers)’은 현대차 아이오닉 5 N을 ‘2025 파커스 신차 어워드’에서 ‘베스트 펀카(Best Fun Car)’로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올해로 8회째를 맞은 파커스 신차 어워드는 전문 평가단이 운전의 즐거움을 주는 차를 엄선, 시상한다. 아이오닉 5 N은 전기차임에도 내연기관 핫해치를 뛰어넘는 주행 재미를 제공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키스 애덤스 파커스 에디터는 “아이오닉 5 N은 지금껏 본 전기차 기술 중 가장 큰 도약이며, 전통적인 운전 마니아조차 사고 싶어할 유일한 EV”라고 극찬했다. 아이오닉 5 N은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기반으로, 현대차 고성능 브랜드 ‘N’의 기술력이 더해진 모델이다. 최고 출력은 650마력(PS, N 그린 부스트 작동 시), 0~100㎞/h 가속 시 제로백은 3.4초에 불과하다. 최고 속도는 259km/h에 이른다. 특히 아이오닉 5 N은 성능 뿐만 아니라 감성 주행 요소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미국 미니밴 시장 지형을 흔들고 있다. 주력 모델인 카니발은 상반기(1~6월) 전년 대비 57% 증가한 판매고를 올리며 미니밴 '톱4'에 올랐다. 카니발은 제품·가격 경쟁력을 내세워 현지 미니밴 '빅3'를 위협하고 있다. 11일 글로벌 자동차 통계사이트 굿카베드카(GoodCarBadCar)에 따르면 기아 카니발은 상반기 미국 시장에서 총 3만3152대가 판매, 미니밴 판매 순위 4위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7.0% 수직 상승한 수치다. 점유율은 15.4%로 집계됐다. 1위는 5만7756대(26.9%)를 판매한 크라이슬러 퍼시피카·보이저가 차지했다. 다만 전년 동기 대비 18.5% 하락했다. 이어 도요타 시에나와 혼다 오디세이가 각각 5만2762대(24.6%)와 5만33대(23.4%)를 판매, '톱3'에 이름을 올렸다. 기아 카니발 호실적은 새로운 디자인과 넓은 실내 공간, 자유로운 좌석 구정, 가격 경쟁력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특히 미니밴 단점으로 꼽혔던 불편한 승차감도 대폭 개선되면서 패밀리 고객 인기를 끌고 있다. 여기에 디젤 모델 중심에서 벗어나 정숙한 가솔린과 하이브리드 모델로 라인업을 다양화한 것도 한 몫했
[더구루=정등용 기자] 테슬라가 자사 전기 트럭 모델인 ‘세미 트럭’을 물류 공급망에 확대 도입하는 데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테슬라 세미트럭의 댄 프리스트리 수석 엔지니어는 9일(현지시간) 자신의 X 계정을 통해 “티센크루프 공급망 서비스(THYSENKRUPP SUPPORT CHANGES) 시연 이후 세미 트럭을 더 많은 물류 공급망에 도입하기 위한 노력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티센크루프 공급망 서비스는 최근 캘리포니아 물류센터에서 테슬라 세미 트럭의 시범 운행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시범 운행은 3주 간 진행됐으며 겨울철 운행 조건으로 약 8000km의 거리를 주행했다. 프리스트리 수석 엔지니어는 “이번 시연 이후 티센크루프 공급망 서비스가 세미 트럭을 차량군에 통합하기 시작했다”며 “이번 시연은 공급망의 더 많은 부분을 전기화 하기 위한 큰 노력의 일부”라고 평가했다. 세미 트럭은 테슬라가 지난 2017년 공개한 전기 트럭 모델이다. 당초 지난 2019년 모델 양산에 나설 계획이었지만, 수 차례 지연 끝에 지난 2022년 12월 첫 차를 인도했다. 현재 펩시코와 DHL, 사이아 등과 공급 계약을 맺은 상태다. 테슬라는 이미 세미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전기차 기업 테슬라가 올해 11월 연례 주주총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유료기사코드] 11일 미국 기술 전문지 테슬라라티에 따르면 테슬라는 "11월 6일 연례 주주총회를 개최한다"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10일(현지시간) 공시했다. 이는 지난 9일 테슬라 주주 그룹이 테슬라 이사회에, 주총 소집을 요구하는 공식 서한을 보낸 데 따른 것이다. 테슬라 법인 소재지인 텍사스주는 "주주들이 요구할 경우 마지막 주총 개최일로부터 13개월 이내에 연례 주총을 열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테슬라는 앞서 지난해 6월 13일에 주총을 개최했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이달 13일까지 주총을 열어야 했다. 테슬라 이사회는 그동안 통상 5월이나 6월에 연례 주총을 열었다. 하지만 올해는 공고를 내지 않으며 주총을 미뤄왔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난 5월 테슬라 이사회가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에게 지급하기로 했다가 법원의 제동으로 무산된 수백억달러 규모의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을 포함해 새로운 보상 지급 방안을 모색 중이며, 이 보상안을 먼저 마련하기 위해 주총을 연기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2018년 머스크와 테슬라 이사회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고성능 전기 세단 '아이오닉 6 N'을 국내에서 첫 공개했다. 현대차가 대형 리어 윙 스포일러와 최적화된 공력 설계를 갖춘 아이오닉 6 N을 통해 전동화 모델의 새로운 기준을 세웠다는 평가다. 현대차는 10일 경기 의왕시에 위치한 현대 N 아카이브에서 미디어 갤러리 행사를 열고 아이오닉 6 N(IONIQ 6 N)을 공개했다. 현대차는 같은 날 영국 최대 자동차 축제인 ‘2025 굿우드 페스티벌 오브 스피드(Goodwood Festival of Speed)’에서 아이오닉 6 N을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아이오닉 6 N은 모터스포츠에서 얻은 데이터와 현대차의 첨단 전동화 기술이 결합된 모델로, 트랙 주행과 일상 주행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고성능 전동화 차량이다. 현대차 측은 고객에게 "즐거운 주행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의지를 담아 브랜드 3대 성능 철학인 ‘코너링 악동(Corner Rascal)’, ‘레이스트랙 주행능력(Racetrack Capability)’, ‘일상의 스포츠카(Everyday Sports Car)’를 기반으로 아이오닉 6 N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아이오닉 6 N은 84.0kWh의 고출력 배터리와 고성능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인도 전기차 시장에서 지난 2분기(4~6월) 브랜드 판매 순위 4위를 차지했다. 이는 타타모터스와 MG모터, 마힌드라 현지 3사 브랜드의 압도적인 판매에도 불구하고 얻어낸 고무적인 성과다. 현대차는 인도 정부가 최근 실시한 인도 승용 전기차 제조 촉진 정책(SPMEPCI)을 기반으로 판매 확대를 위한 전략 수립에 들어갔다. 현대차는 주력 모델 판매와 더불어 현지 전략형 신모델을 출시, 입지를 더욱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10일 현대차 인도법인에 따르면 지난 2분기 현지 전기차 시장에서 1795대를 판매했다. 브랜드 순위는 4위. 점유율은 4.8%다. 1위는 타타모터스가 차지했다. 같은 기간 1만3495대를 판매하며 35.8%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2위와 3위는 각각 MG모터와 마힌드라가 올랐다. 각각 1만1199대(29.7%), 8640대(22.9%)를 판매했다. 이들 3사의 시장 점유율 합계는 무려 88.4%에 달한다. 현대차에 이어 △BYD(1316대, 3.5%) △BMW(514대, 1.4%) △메르세데스-벤츠(262대, 0.7%) 순으로 이어졌다. 현대차는 현재 실적을 견인하고 있는 소형 전기 스포츠실용차(SUV) 크레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인도 수소 생태계 구축을 위한 ‘수소혁신센터’ 설립을 본격화했다. 조감도를 공개하고 입지와 투자금 등 투자계획을 확정했다. 9일 인도공과대학 마드라스(IIT Madras)에 따르면 현대차는 인도공과대학 마드라스 내 수소혁신센터 설립을 위한 설계를 확정하고 조감도를 공개했다. 수소혁신센터는 IIT의 타이유르(Thaiyur) 캠퍼스인 ‘디스커버리 캠퍼스(Discovery Campus)’에 마련되며 내년 완공, 운영한다는 목표다. 이번 프로젝트는 현대차와 IIT 마드라스, 타밀나두 주정부 산하 무역투자진흥기관인 ‘가이던스 타밀나두(Guidance Tamil Nadu)’ 간 3자 협력을 기반으로 추진된다. 수소혁신센터 설립은 지난해 1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인도 현지를 방문해 약속한 '수소 밸리 혁신허브' 조성 계획의 연장성이다. 당시 현대차는 618억 루피(9900억원)에 달하는 인도 투자 계획을 밝히면서 이 가운데 18억 루피(약 286억원)를 수소 허브 조성에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인도는 떠오르는 그린수소 생산거점이자 현대차 수소차 주요 투자 지역으로 꼽힌다. 현대차가 해외에 수소기술 기반 연구개발 거점을 짓는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수소기업 '플러그파워'가 헤지펀드 운용사 '요크빌 어드바이저(Yorkville Advisors)'로부터 자금을 조달했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전환사채 상환과 수소 공급망 확장에 자금을 투입, 수익성 개선과 유동성 확보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13일 플러그파워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4월 요크빌 어드바이저 최대 5억2500만 달러 규모의 담보부 채권 발행 계약을 체결하고, 첫 번째 트렌치로 2억1000만 달러를 인출했다. 이중 약 8250만 달러는 기존 전환사채 상환에 사용돼 주식 희석 가능성을 줄였고, 나머지 자금은 운영자금과 수소 생산 인프라 확장에 투입할 계획이다. 플러그파워는 이번 자금을 통해 연내 추가 지분 발행 없이 비용 절감과 자본 지출 축소, 운전자본 효율화를 통해 재무 건전성을 유지한다는 목표다. 지난 3월부터 시행한 비용 절감 프로그램은 연간 2억 달러 이상의 고정비 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며, 공급망과 제조 공정 효율화를 중심으로 대부분의 조정이 완료된 상태라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실적도 개선 흐름을 보이고 있다. 플러그파워는 올 1분기 매출을 1억3000만~1억3400만 달러로 잠정 집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샤오미 오토가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YU7과 함께 새로운 고급 주행보조시스템을 선보였다. 샤오미는 고급 주행보조시스템을 완전 자율주행차 기술로 발전시켜나간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샤오미 오토는 YU7의 인도에 앞서 업그레이드된 하이퍼 어시스티드 드라이빙(Hyper Assisted Driving, HAD) 주행보조시스템을 공개했다. 샤오미 오토는 새로운 HAD가 기존 버전과 비교해 가감속 제어 능력이 좋아져 승차감이 57% 가량 향상됐다고 소개했다. 또한 우회 성공률이 67%가 높아져 회차 상황에서 대응력이 높아졌으며, 교차로 통과율도 23% 증가해 실제 교통 상황에서 원활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발전했다고 강조했다. 새로운 HAD가 기존 버전보다 발전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배경에는 학습 데이터의 증가가 있다. 기존 버전은 300만개 클립을 학습한 시스템이었다. 클립이란 카메라와 라이다, 밀리미터파 레이더 등 다양한 센서가 수집한 데이터로, 30초에서 1분 사이 길이의 비디오 클립 형태로 만들어졌다. 새로운 HAD는 기존 버전보다 700만개나 많은 1000만개 클립을 학습했다. 샤오미는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