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차세대 4차원(4D) 이미징 레이더 칩셋 솔루션 기업 아브로보틱스(Arbe Robotics)가 인공지능(AI) 기반 이미징 레이더 기술을 공개했다. [유료기사코드] 아브로보틱스는 독일 자동차 제조업체 BMW가 추최하는 국제 무선 산업 컨소시엄(International WIreless Industry Consortium·IWPC) 자동차 센서 아키텍처 컨퍼런스에 참여했다고 2일 밝혔다. 아브로보틱스는 이번 컨퍼런스에서 AI 기술을 활용한 이미징 레이더 기술을 소개했다. 아브로보틱스가 개발한 최신 AI 알고리즘은 레이더와 카메라 데이터를 실시간 융합을 통해 고속·장거리 환경에서 물체 감지와 추적 기능을 제공한다. 벤 라트하우스 아브로보틱스 부사장은 "우리는 도로에서 안전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동차 센서 기술의 한계를 지속해서 확장하고 있다"면서 "AI 알고리즘과 이미징 레이더 기술의 시너지를 통해 자율주행 인식 기능을 발전을 보여줄 것"이라고 전했다. 아브로보틱스는 지난 2015년 설립된 차세대 4D 이미지 레이더 칩셋 솔루션 제공업체다. 이스라엘에 본사를 두고 있다. 자율주행차량 및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의 고해상도 감지를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들을 앞세워 인도 시장에서 고속질주하고 있다. 현지 SUV 시장 공략과 더불어 신차 출시와 전기차 시장 공략을 병행, 판매량 확대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만큼 인도 시장에서 입지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2일 현대차 인도법인(HMIL)에 따르면 현대차는 5월 인도 시장에서 총 5만9601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대비 16.26% 증가한 수치다. 내수 판매는 전월(4만2293대) 대비 14.91% 증가한 4만8601대, 수출은 전년(8970대) 대비 22.63% 급증한 1만1000대를 기록했다. 현지 전략형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크레타와 베뉴가 실적을 견인했다는 설명이다. 타룬 가르그(Tarun Garg) HMIL 최고운영책임자(COO)는 "크레타와 베뉴 덕에 지난달 두 자릿수 성장을 일굴 수 있었다"며 "가장 최근 출시한 세단 모델 올 뉴 베르나 세단 역시 좋은 반응을 얻으며 실적을 뒷받침했다"고 부연했다. 현대차는 신규 소형 SUV 모델 엑스터 출시를 토대로 판매 모멘텀을 이어갈 계획이다. 엑스터는 코드명 'Ai3'로 알려진 현지 전략형 모델이다. 그랜드 i10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대응을 위해 새롭게 마련한 현지 리스 가격 정책이 시행 첫 달부터 눈에 띄는 성과를 냈다. 로컬 브랜드 경쟁 모델과 비교해 월간 이용료와 보증금을 파격적인 가격으로 선보이며 판매량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2일 기아 미국판매법인(KA)에 따르면 지난달 미국 시장에서 총 7만1497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5만7941대) 대비 23% 두 자릿수 증가한 수치다. 이는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월간 판매량이다. 특히 브랜드 전용 전기차 모델 'EV6' 판매가 눈에 띠게 증가했다. 전년 대비 7%, 전월 대비 80% 성장했다. 현지 맞춤형 마케팅 활동을 강화한 덕도 있지만 무엇보다 IRA 대응을 위해 새롭게 마련한 저금리 리스 전략이 통했다는 분석이다. IRA는 지난해 8월부터 시행된 법안이다. 북미에서 최종 조립한 전기차에 한해 대당 최대 7500달러(약 1000만원)가 세액공제되는 형태로 보조금 혜택을 제공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기아의 경우 전기차를 모두 한국에서 생산해 수출한다는 점에서 보조금 대상에서 제외된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기아는 전기차 판매 감소세에 대응하기 위해 EV6 현지 리스 가격…
[더구루=윤진웅 기자] 금호타이어가 유럽 고객 만족도 제고를 위해 기술지원 분야 전문가를 영입했다. 자동차 시장 바로미터인 독일을 중심으로 유럽 타이어 시장 공략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쳐나가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금호타이어 독일판매법인은 최근 마르쿠스 힐데브란트(Markus Hildebrand) 전 한국타이어 고객기술지원 담당을 유럽품질서비스파트장으로 영입했다. 그는 일반 타이어와 TBR(트럭·버스용) 타이어 등 전체 타이어 제품 결함에 대한 손상 분석 및 테스트와 사후관리를 맡는다. 금호타이어 입사 전 수행하던 업무와의 연속성 보장 차원에서다. 기술 승인과 타이어 공기압 권장 사항 책정, 고객 기술 지원도 담당하도록 했다. 아울러 이번 인재 영입과 함께 현지 전문 타이어 매장과 도매 업체에 타이어 제품 및 기술 교육 과정을 개설했다. 힐데브란트는 이 과정에서 현장 테스트와 시장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유럽기술연구소(KETC)에 전달한다. KETC는 해당 데이터를 타이어 제품 개선에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KETC는 독일 니더작센주 파펜부르크에 위치한 금호타이어 연구개발(R&D) 거점이다. 유럽 완성차 업체와 OE 계약 포트
[더구루=윤진웅 기자] 테슬라가 유럽 전기차 시장 '바로미터'인 노르웨이에서 고속질주하고 있다. 중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모델Y'를 앞세워 현지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올 들어 시장 점유율은 25%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노르웨이 도로교통정보원(OFV)에 따르면 테슬라는 지난달 노르웨이 시장에서 총 2949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대비 22.1% 두 자릿수 급증한 수치이다. 전기차 판매로만 전체 자동차 시장에서 1위를 달성했다. 중형 전기 SUV 모델 '모델Y'가 실적을 견인했다. 같은달 전년 대비 20.2% 증가한 2691대를 판매, 월간 브랜드셀링카에 이름을 올렸다. 유럽 전기차 시장 바로미터인 노르웨이에서 테슬라의 입지가 지속해서 확대되는 모양새다. 경제 불황과 금리 인상, 소비자 물가 상승에도 꾸준한 인기를 얻으며 올 들어 노르웨이 신차 시장 4분의 1 이상을 장악했다. 모델Y의 경우 브랜드 전체 판매 비중의 90%를 장악할 정도로 높은 인기를 자랑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노르웨이 운전자들은 상대적으로 전기차 선호도가 높은 편"이라며 특히 "SUV 모델이 전체 신차 판매의 약 75%를 차지할 정도로 인기가 높아 모델Y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인도 시장에서 꾸준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연간 37만대 생산 능력을 토대로 현지 수요를 빠르게 확보하고 있다. 대규모 투자를 통해 현지 전기차 시장 공략에도 나선 만큼 브랜드 입지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2일 기아 인도판매법인(KMI)에 따르면 기아는 5월 인도 시장에서 총 2만4770대(도매 기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대비 3% 증가한 수치이다. 수출은 총 6004대를 기록했다. 인도 전략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쏘넷이 판매를 견인했다. 같은달 총 8251대를 판매, 브랜드 베스트셀링카 역할을 했다. 이어 준중형 RV 모델 카렌스와 소형 SUV 모델 셀토스가 각각 6367대와 4065대를 기록하며 실적을 뒷받침했다. 전용 전기차 모델 EV6의 경우 총 83대가 판매됐다. 특히 연간 공장 유지보수 기간이 겹쳐 차량 생산이 일부 제한됐음에도 선방했다는 평가다. 앞서 KMI는 지난달 15일부터 20일까지 5일간 안드라프라데시 공장 유지보수 작업을 실시했다. 하딥 싱 브라르(Hardeep Singh Brar) KMI 부사장은 "공장 연간 유지보수 작업으로 일부 차량이 생산 제한됐지만 현지 수요를 커버하기에는 충분
[더구루=윤진웅 기자] 쉐보레 경형 해치백 모델 '스파크'가 우즈베크스탄 시장에서 종적을 감춘다. 현지 생산 14년 만에 생산 중단을 결정했다. 깔끔한 디자인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인기를 끌었지만 최근 경차 수요 감소와 러시아 침공에 따른 수출 중단으로 수익성이 악화됐기 때문이다. 2일 우즈벡 자동차 전문 매체 오토스트라다(Autostrada)에 따르면 GM 협력사이자 완성차 제조업체인 우즈오토 모터스(UzAuto Motors, 이하 우즈오토)는 지난 3월 말을 끝으로 스파크 현지 생산을 중단했다. 경차 수요 감소와 더불어 지난해 3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러시아 수출 전면 중단으로 수익성이 크게 악화된 데 따른 결정이다. 앞서 우즈오토는 지난 2010년부터 스파크 생산을 이어왔다. 우즈벡은 물론 러시아와 카자흐스탄에 수출했다. 올해 단종 전까지 누적 생산량은 29만3840대로 집계됐다. 쉐보레 생산 중단에 따라 우즈벡에서 현지 생산되는 쉐보레 모델은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트랙커'와 해외 전략형 세단 모델 '오닉스' 2종이 전부다. 우즈오토는 향후 현지 시장 수요 등을 고려해 신규 모델을 추가 생산할 계획이다. 일각에서는 스파크 현
[더구루=윤진웅 기자] 제네시스가 브랜드 첫 번째 전기차 모델 'GV60' 글로벌 신규 캠페인을 진행하기 앞서 유명 사진작가와 협업을 진행해 눈길을 끌고 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제네시스는 최근 유명 사진작가 마르티나 페이히트(Martina Feicht)와 함께 준중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 모델 'GV60' 글로벌 신규 캠페인에 사용할 사진 작업을 진행했다. '디 아이스 스위머'(The Ice Swimmer)로 명명한 이번 작품은 겨울철 눈 덮인 산 속 호숫가에서 홀로 수영하는 여성과 호숫가 인근에 주차된 GV60를 중심으로 촬영됐다. 차갑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극대화해 GV60의 세련된 이미지를 강조하는 것은 물론 GV60 운전자에 대한 환상까지 자아냈다는 평가다. 제네시스는 이번 작품을 GV60 글로벌 신규 캠페인에 적용, 글로벌 프리미엄 전기차 시장에서 GV60의 입지를 더욱 키워나가겠다는 계획이다. GV60은 지난 2021년 9월 제네시스가 현대차그룹의 자체 플랫폼인 E-GMP를 이용한 브랜드 첫 전기차다. 브랜드 디자인 정체성인 '역동적인 우아함'을 바탕으로 쿠페형 크로스오버유틸리티차량(CUV)을 완성했다. 스마트키가 없어도 얼굴 인식을 통해 차량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중국 웨강아오 대만구(그레이터 베이·Grater Bay Area)내 핵심 수소 사업자로 나선다. 다년간 쌓은 수소 기술력을 토대로 광동-홍콩-마카오를 잇는 중국 남부 도시 경제 통합지역에서 사업 기회를 포착하는 것은 물론 광동성 전체 수소 산업 체인 통합 발전 촉진 방안을 마련한다. 1일 중국 광동성 정부에 따르면 장재훈 현대차 사장은 지난달 31일 왕웨이중(Wang Weizhong) 광동성 성장과 만나 그레이터 베이 내 수소사업 추진 방안을 논의했다. 수소 에너지를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망을 구축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수소를 활용한 탄소 중립 실현을 토대로 그레이터 베이가 국제 혁신·기술 허브로 자리매김하도록 조력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날 장 사장을 비롯해 △서강현 기획재경본부장(부사장) △김창범 자문역(전 대통령실 의전비서관) △오익균 북경현대기차유한공사장(부사장) △김선섭 글로벌사업관리본부장 겸 HM프로젝트TFT장(부사장) △이혁준 HMGC본부장(전무)△박국철 HMGC대외협력실장(전무) △오승찬 HTWO광저우장(상무)△최석구 현대상용기차법인장(상무) 등이 참석했다. 웨강아오 대만구는 지난 2016년 3월…
[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전기차 업체 비야디(比亞迪·BYD)가 지난 20년간 축적한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기술 특허를 오픈소스로 공개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장성자동차의 오염물질 배출 의혹 제기로 추락한 브랜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비야디는 지난달 29일 투자자들과의 간담회 자리에서 PHEV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PHEV 제어 시스템과 핵심 기술 원리, 특허 성과를 무료로 공유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PHEV 기술 발전 촉진을 위해 업계 및 업계 전문가들의 분석과 토론을 수용하자는 이유에서다. 비야디는 지난 20년간 PHEV 기술을 축적한 업체다. PHEV 관련 독자적인 연구 개발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기압 연료 탱크와 고압 연료 탱크에 대한 기술 솔루션을 갖고 있다. 이들 솔루션은 상압연료탱크와 고압연료탱크를 모두 사용하며 배출가스 규제 및 기준을 만족한다. 특히 유증기 회수 효율성을 높인 DM-i 하이브리드 기술이 유명하다. 시스템이 자동으로 엔진을 가동해 활성탄 탱크 포화 전에 탱크를 탈착할 수 있게 한다. 1.5리터 자연흡기 엔진의 경우 약 4분 만에 탈착이 가능하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인도네시아에서 전기버스를 생산하고 현지 주요 대중교통 수단인 버스 전기화의 핵심 일원으로 나설 전망이다. 서자바주 27개 도시 운행을 약속받았다. 1일 인도네시아 서자바주 주정부에 따르면 현대차는 인도네시아에서 전기버스를 생산하는 방안을 검토할 전망이다. 리드완 카밀(Ridwan Kamil) 서자바주 주지사가 전날 현대에너지 인도네시아 배터리 시스템 공장 착공식에서 직접 현대차에 요청한 사안이다. 현대차가 3년 내 대형 전기버스를 현지 생산하면 서바나주가 직접 구매하고 27개 도시에서 운행할 수 있도록 적극 밀어주겠다는 내용이 골자다. 카밀 주지사는 서자바주 전기차 전환 가속화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현지 주요 대중교통 수단인 버스를 전기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그는 "주지사로서 개인 승용차뿐 아니라 대중 교통 또한 전기화 시기를 앞당겨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이번 착공식에서 현대차에 전기 버스 생산을 제안했다"고 전했다. 특히 카밀 주지사는 현대에너지 배터리 시스템 공장과의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다. 현대차 현지 생산 공장이 위치한 서자바주 브카시 델타마스 산업단지에 지어지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향후 현대차 전기버스 현지
[더구루=윤진웅 기자]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이하 한국타이어) 중국 강소·충칭 공장이 가흥 공장에 이어 포드 납품 인증 ‘Q1 어워드’를 획득했다. 기술력을 갖춘 세계적 메이커에 주어지는 인증인 만큼 글로벌 타이어 시장 입지 확대로 이어질 전망이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타이어 중국 강소·충칭 공장은 지난 29일 포드 Q1 어워드를 받았다. ‘Q1 어워드’는 부품공급 규정이 까다로운 포드에 납품할 수 있는 인증이다. 포드 자체 품질 평가 인증 제도를 통해 기술 혁신과 제품 품질, 서비스 역량 등을 인정받아야 주어진다. Q1은 'Quality is No.1'의 앞글자를 딴 약어로 최고 품질 역량을 갖췄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이들 공장은 지난 2006년부터 18년간 포드에 타이어 약 17만 개를 공급하며 제품 신뢰도를 쌓았다. 강소 공장은 포드 북미 공장을 담당하고 있다. 지난 2019년부터는 TBR(트럭·버스용) 타이어를 일괄 공급해 지금까지 총 12만5000여 개의 제품을 납품한 것으로 알려졌다. 충칭 공장은 2018년 포드 대만 공장에 타이어 일괄 공급을 시작해 지금까지 총 4만7549개의 제품을 납품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강소·충칭 공장 Q1 어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 최대 증권사인 중신증권이 올해 중국 경제 성장세가 하반기 둔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3일 코트라 및 관련 업계에 따르면 중신증권은 올해 중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5.9%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분기별로 2분기 8.0%를 기록한 이후 3분기 5.2%, 4분기 5.8%로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은 올해 1분기 4.5%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중신증권은 "하반기 해외 경제 모멘텀이 더욱 약화할 것"이라며 "디스인플레이션(인플레이션 완화)은 계속되겠지만 그 속도는 늦어질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미국 경제 확장기는 막바지에 접어들었으며 점차 약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상반기 미국 내 소비자 수요 탄력성이 1년 내내 지속하기 어려우며 3분기 말이나 4분기 초 약한 경기 침체에 들어설 수 있다"고 전망했다. 또 "유럽 지역은 에너지 위기 압력이 완화되고 금리 인상 영향이 점차 뚜렷해지고 있다"면서 "유럽의 경제 구조는 미국보다 금리에 더욱 민감하고 경제 전망도 불확실하다"고 했다. 중신증권은 "전 세계 정세가 분할 특성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면서 "복잡한 글로벌 정세 속에서 중국은 일관된 전략적 초점을 유지하고 경제 개방
[더구루=홍성환 기자] 차세대 4차원(4D) 이미징 레이더 칩셋 솔루션 기업 아브로보틱스(Arbe Robotics)가 인공지능(AI) 기반 이미징 레이더 기술을 공개했다. [유료기사코드] 아브로보틱스는 독일 자동차 제조업체 BMW가 추최하는 국제 무선 산업 컨소시엄(International WIreless Industry Consortium·IWPC) 자동차 센서 아키텍처 컨퍼런스에 참여했다고 2일 밝혔다. 아브로보틱스는 이번 컨퍼런스에서 AI 기술을 활용한 이미징 레이더 기술을 소개했다. 아브로보틱스가 개발한 최신 AI 알고리즘은 레이더와 카메라 데이터를 실시간 융합을 통해 고속·장거리 환경에서 물체 감지와 추적 기능을 제공한다. 벤 라트하우스 아브로보틱스 부사장은 "우리는 도로에서 안전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동차 센서 기술의 한계를 지속해서 확장하고 있다"면서 "AI 알고리즘과 이미징 레이더 기술의 시너지를 통해 자율주행 인식 기능을 발전을 보여줄 것"이라고 전했다. 아브로보틱스는 지난 2015년 설립된 차세대 4D 이미지 레이더 칩셋 솔루션 제공업체다. 이스라엘에 본사를 두고 있다. 자율주행차량 및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의 고해상도 감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