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구루=정예린 기자] 독일 바스프(BASF)가 중국 배터리 양극재 합작사 증설을 단행했다. 생산능력을 연간 100Kt까지 끌어올려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시장 수요에 대응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독일 바스프(BASF)가 중국 배터리 양극재 합작사 증설을 단행했다. 생산능력을 연간 100Kt까지 끌어올려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시장 수요에 대응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때 '중국의 일론 머스크'로 불렸던 자웨팅 패러데이퓨처(Faraday Future) 설립자가 회사 최고경영자(CEO)로 다시 선임됐다. [유료기사코드] 패러데이퓨처는 자웨팅을 공동 CEO로 선임했다고 28일 밝혔다. 자웨팅 CEO는 재무·법무·공급망 업무 등을 담당한다. 자웨팅은 2014년 패러데이퓨처를 설립하며 중국의 일론 머스크로 불렸다. 하지만 무리한 사업 확장으로 자금난을 겪으며 2020년 미국에서 개인 파산을 신청했고, 경영에서도 물러났다. 그러다 지난 2022년 경영권 분쟁을 통해 회사의 지배권을 다시 되찾았고, 이듬해 3월 섹션16 임원(Section 16 Officer) 및 집행 임원(Executive Officer)으로 선임되며 경영 일선에 복귀했다. 섹션16 임원은 직간접적으로 지분 10% 이상을 보유한 사람을 의미한다. 자웨팅 CEO는 "올해 인공지능(AI) 전기차 FX 모델의 양산을 시작하고 2년 내 수만대 판매를 달성할 것"이라며 "아울러 AI 역량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수익성을 높여 흑자를 기록하고 현금 흐름을 개선할 것"이라며 "또 재무건전성 확보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패러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산 '하늘의 방패'에 중동의 러브콜이 잇따르고 있다. 사우디 아라비아가 방공망 구축 과정에서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천궁'에 이어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시스템(Long range Surface to Air Missile·L-SAM) 도입을 검토한다. 요격 고도 40~60㎞인 L-SAM을 배치해 고고도 방어망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28일 소셜미디어 '엑스(X)'에 따르면 한국 방산 소식을 다루는 유명 밀리터리팁스터 '하쿠 메이슨(ハクMason)'은 지난 24일(현지시간) "사우디 아라비아의 경우 K239 다연장로켓 천무,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천궁-II(M-SAM)' 등을 구매했다"며 "다음으로 (구매할 무기는) L-SAM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고 밝혔다. 사우디는 한국형 '통합 다층 방공 솔루션'으로 저고도에서 고고도를 아우르는 다층 방어 방공 시스템 구축해 방어망을 강화하고자 한다. 지난해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천궁-II를 도입한 사우디는 L-SAM에도 관심을 보여왔다. 중고도 이하를 천궁-II로 방어했다면 요격 고도의 상층부는 L-SAM으로 방어한다는 전략이다. '한국형 사드'라는 별명이 붙은 L-SAM은 고도 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