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2년 연속 필리핀 '톱10' 브랜드로 꼽혔다. 지난 2023년 현지 '톱10' 목록에 처음 이름을 올린 이후로 현지 입지를 꾸준하게 유지하고 있다. 올해 현지 맞춤형 전략을 토대로 판매량 확대에 드라이브를 걸고, 연말 순위 상승을 노린다. 15일 필리핀 자동차생산자협회(CAMPI)와 트럭 제조업자협회(TMA)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지난해 필리핀 자동차 시장에서 총 2만2210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1만4163대) 대비 56.81% 성장한 수치이다. 단일 브랜드 기준 현대차는 전년 대비 69.96% 증가한 1만5518대, 기아는 전년 대비 32.96% 확대된 6692대를 판매했다. 시장 점유율은 각각 2.35%와 1.43%로 집계됐으며 브랜드별 판매 순위는 현대차가 8위, 기아가 10위로 전년과 동일했다. 1위는 토요타가 차지했다. 총 21만8019대를 판매했다. 미쯔비시는 8만9124대로 2위, 포드는 2만7997대로 3위에 올랐다. 이어 닛산과 스즈키가 각각 2만6774대와 2만371대로 4위와 5위에 랭크됐다. 6위부터 7위는 △이스즈(1만7641대) △혼다(1만5518대), 9위는 SAIC(9016대)로 집
[더구루=윤진웅 기자] 테슬라가 국제특송기업 'DHL'에 이어 미국 화물 전문 운송 업체 사이아(Saia)까지 대형 전기 트럭 세미 공급처로 확보하며 본격적인 고객 확장 '신호탄'을 쐈다. 세미 전비 효율성이 업계의 호평을 받고 있는데다 세미 대량 생산을 위해 마련하고 있는 공장도 올해 가동을 시작한다는 점에서 글로벌 전기 트럭 분야에서 테슬라의 영향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15일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는 사이아 자회사 사이아 LTL 프레이트(Saia LTL Freight)에 세미 2대를 공급했다. 사이아는 1924년 설립돼 지난해 100주년을 맞이한 미국 소량 화물(LTL) 전문 운송 회사다. 루이지애나주 후마에서 사업을 시작해 텍사스 등으로 확장, 현재는 조지아주에 본사를 두고 있다. 1만1000명 이상의 직원을 두고 있으며 트럭 5000여 대를 보유하고 있다. 터미널은 172개에 달한다. 사이아는 세미가 고객 서비스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했다. 공급 계약 체결 전 한 달간 테스트 운행을 토대로 세미의 효율성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당시 테스트 운행을 담당한 패트릭 슈가(Patrick Sugar) 사이아 운영 담당 부사장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지난해 중국 연간 판매 20만대가 무너져 역대 최악의 성적표를 받았다. 바닥을 찍었다는 평가를 받는 지난 2022년과 비교해 연간 판매량이 10만대나 줄었다. 현대차는 새롭게 정립한 '인 차이나, 포 더 월드'(in China, for the world·在中国,为全球) 전략을 토대로 올해 '50만 대' 판매를 이루겠다는 각오를 밝혔지만, 반전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15일 중국승용차시장정보연석회(CPCA)에 따르면 현대차 중국 합작사 베이징현대는 지난해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 총 15만4244대를 판매했다. 연간 판매 20만 대 선까지 무너지면서 역대 연간 최저 판매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베이징현대 연간 판매량은 25만7000여 대였다. 지난해 월별 판매량을 보면 1월 이후 월별 2만대 판매벽을 넘지 못했다. 겨우 유지하던 1만대 역시 8월 들어 무너졌다. 8월은 후난성 딜러 업체 9곳이 베이징현대에 차량 인수 일시 중단을 통보한 달이다. 쌓인 재고가 소화되지 않고 있아 추가 구매를 하지 않겠다는 내용이 골자였다. 특히 11월의 경우 전년 대비 반토막 수준인 9444대 판매에 그치며 지난해 월간 최저 판매를 기록했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스텔란티스가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을 앞두고 '100만 달러 기부 명단'에 가세했다. ‘관세맨’을 자처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백악관 복귀에 앞서 선제적인 조치에 나섰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스텔란티스는 오는 20일(현지시간) 열리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 100만 달러(약 14억7000만원)를 기부한다. 스텔란티스가 대통령 취임식에 기부금을 내놓은 건 이번이 최초다. 취임 기금(inaugural fund)을 기부한 기업에는 내각 지명자들과 함께하는 비공개 리셉션 참가 티켓 6장과 저녁 만찬 참가 티켓 6장, 기타 특별 행사 참가권 등이 주어진다. 취임 기금 명단에는 스텔란티스를 포함해 보잉과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셰브론, 메타, 아마존, 우버 등이 있으며, 자동차 회사 중에서는 현대차와 포드, 제너럴모터스(GM), 토요타가 취임 기금을 지원했다. 스텔란티스가 이처럼 적극적으로 나선 배경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가 자리하고 있다. 미국은 스텔란티스에게 가장 큰 시장이다. 스텔란티스 전체 매출의 35~40%가 미국 시장에서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모든 수입품에 대해 10~20% 관세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북미권역본부 리더십을 대폭 강화했다. 현대차 미국법인과 제네시스 미국 최고운영책임자(COO)를 각각 승진 임명했다. 15일 현대차 미국법인(HMA)에 따르면 HMA는 미국법인 COO에 클라우디아 마르케스 제네시스 북미법인 COO를 승진 발령했다. 마르케스 신임 COO는 현대차 미국 사업 운영을 총괄하고 고객 중심 성장 전략을 진두지휘한다. 미국 내 모든 판매와 유통, 제품 라인 관리 및 애프터 세일즈 활동을 감독하고, 딜러 네트워크 개발에 대한 공동 책임을 맡아 수익성과 시장 점유율 확대하는 데 역량을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마르케스 COO는 북미 시장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인물로 지난 3년 동안 제네시스 북미법인 COO를 지내면서 브랜드 성장을 이끌었다. 특히 제네시스 현지 판매 네트워크를 60개 이상 확대하며 고객 접점을 크게 늘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는 제네시스 북미법인 COO에 앞서 현대차 멕시코법인장을 역임했으며, 현대차 입사에 앞서 닛산과 인피티티, BMW, 미니 등에서 주요 직책을 수행한 바 있다. 제네시스 북미법인 COO에는 테드로스 멩기스테가 임명됐다. 마르케스 뒤를 이어 제네시스 북미 판매와 애프터 서비
[더구루=윤진웅 기자] HL그룹 산하 글로벌 SDV 선도기업 HL만도㈜ 전장 부품이 탑재된 초소형 전기차가 세계 최대 IT 전시 행사에서 주목을 받았다. 올해 대만 시장을 시작으로 글로벌 출시가 예고된 모델인 만큼 전 세계 초소형 전기차 시장에서 활약이 기대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HL만도는 지난 7일(현지 시각) 개막한 세계 최대 IT 전시 행사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25′에 별도 부스를 마련하고 ‘린3′를 전시했다. 린3는 HL만도 파트너사인 일본-대만 합작 1인용 전기차 제조기업 '린모빌리티'(Lean Mobility)가 제작한 초소형 전기차이다. 린모빌리티는 토요타 스핀오프 회사로도 알려졌다. 특히 린3에는 HL만도 모듈 시스템 '스티어 라이트 핏'이 장착됐다. HL만도 기술력이 결집된 스티어 라이트 핏은 △린액츄에이터(Lean Actuator) △스티어 액츄에이터(Steer Actuator) △DCU(Driver Control Unit)로 구성됐다. 기존 전기 조향 시스템 EPS와 자이로 센서를 결합해 성능과 비용 균형을 보장한다. 린3는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장남인 신유열 롯데지주 부사장의 높은 관심을 받기도 했다. 신 부사장은 이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글로벌 'MZ(밀레니얼+Z세대)'들의 시선을 통한 자동차 시장 분석에 나섰다. 현지 사정을 젊은 감각으로 밀도 있게 취재하기 위해 글로벌 통신원을 모집한다. 올해에는 인도네시아를 새롭게 추가하면서 동남아 시장까지 아우른다. HMG경영연구원은 인도네시아에서 현지 통신원 ‘글로벌 트렌드 센싱 통신원’을 모집한다고 14일 밝혔다. 글로벌 트렌드 센싱 통신원은 지난 2022년부터 시작돼 매해 운영되고 있다. 기존 △미국 △독일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싱가포르 △브라질 △영국에 이어 올해 인도네시아가 새롭게 추가됐다. 올해 추가된 인도네시아에서는 현지 거주 중이면서 현지 문화 및 자동차·모빌리티 시장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가 높은 20세~39세 대학생 및 대학원생, 직장인이 모집 대상이다. 이들은 1월부터 12월까지 1년간 현지 20~30대의 소비·여가 문화와 같은 라이프스타일을 비롯해 이동 행태 등 자동차·모빌리티 문화, 관련 트렌드에 대한 원고를 총 4회 작성한다. 현대차가 인도네시아 통신원을 추가한 것은 인도네시아가 경제성장과 함께 차량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어 해당 시장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판단이 작용했다. 인도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전기차 모델 '아이오닉5'가 미국 전기차(EV) 시장에서 단일 모델 기준 '톱5'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 12월에는 누적 판매 10만 대를 돌파하며 현지 인기를 입증했다. 지난해 10월부터 2025년 신형 모델이 현지 생산되고 있다는 점에서 올해에도 꾸준한 인기를 누릴 것으로 보인다. 14일 미국 자동차 평가기관 켈리블루북(Kelley Blue Book)에 따르면 현대차 아이오닉5는 지난해 미국 EV 시장에서 총 4만4400대 판매됐다. 이는 전년(3만3918대) 대비 30.9% 증가한 수치이다. 시장 점유율은 3.4%로 단일 모델 기준 판매 순위는 4위를 기록했다. 1위는 테슬라 모델Y가 차지했다. 같은 해 총 37만2613대가 판매됐다. 테슬라 모델3는 18만9903대로 2위, 포드 머스탱 마하-E는 5만1745대로 3위에 이름을 올렸다. 테슬라 사이버트럭은 4만4400대로 5위에 랭크됐다. 현지 EV 연간 판매 톱5 모델 중에서 3개를 테슬라가 휩쓸었다. 6위부터 10위까지는 △포드 F-150 라이트닝(3만3510대) △혼다 프롤로그(3만3017대) △쉐보레 이쿼녹스(2만8874대) △캐딜락 리릭(2만8402대) △리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인도 전략형 전기차 모델 크레타EV를 내세워 현지 시장 공략에 나선다. 현지 전기차 판매량을 2배 이상 끌어올리겠다는 각오다. 크레타EV 뒤를 이을 현지 전략형 전기차 모델 3종 추가 출시를 준비하는 가운데 배터리 등 현지화를 통해 전기차 생태계 구축도 병행하고 있다. 타타모터스에 이어 전기차 부문 2위로 도약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14일 현대차 인도판매법인(HMIL)에 따르면 오는 2030년 현지 EV 시장 점유율 목표를 15%로 설정했다. 오는 17일 바라트 모빌리티 쇼(Bharat Mobility Show)에서 출시 예정인 크레타EV를 출발점으로 점유율을 본격적으로 키워나가겠다는 각오이다. 크레타EV 초기 월간 판매 목표는 2000대이며, 향후 시장 반응을 고려해 생산량을 확대하고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크레타EV는 HMIL 인도 상장 이래 처음으로 선보이는 '메이드 인 인디아' 전기차 모델이다. 4년간 연구개발 끝에 출시가 결정됐다. 디자인과 스타일 면에서 기존 크레타와 흡사하지만, 독특한 픽셀 그래픽 디자인을 적용해 차별화를 뒀다. 전면 그릴에 충전 포트가 있으며, 공기저항계수를 효과적으로 낮추기 위해 액티브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수소연료전지차(FCEV) 모델 '넥쏘'가 지난해 미국 전기차(EV) 시장에서 워스트셀링카 모델 1위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캘리포니아주에서만 한정 판매되고 있는데다 현지 수소 충전 인프라 부족 등에 따른 수요 저하까지 겹쳐 인기가 시들했다. 올해 출시 예정인 차세대 넥쏘 모델의 흥행 기대감도 떨어진 상태이다. 14일 미국 자동차 평가 기관 켈리블루북(Kelley Blue Book)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해 미국 EV 시장에서 넥쏘 94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241대) 대비 61% 줄어든 수직다. 현지 판매 단일 모델 기준으로는 가장 낮은 판매량이다. 월평균 10대도 팔리지 않았다. 특히 경쟁 모델인 토요타 미라이의 5분의 1수준이다. 미라이는 같은 해 전년(2737대) 대비 81.8% 급감한 499대가 판매됐다. 하락률로만 따지면 미라이가 훨씬 크지만, 전년 판매량이 10배 이상 차이가 났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수치는 아니다. 다만 넥쏘의 경우 캘리포니아주 한정 판매되고 있다는 점에서 현지 입지는 비슷한 수준이다. 전반적으로 수소차 판매가 저조했다. 현지 수소차 시장에서 개인용 승용차로 판매되는 모델은 사실상 현대차 넥쏘
[더구루=윤진웅 기자] 빌 포드(Bill Ford) 포드자동차 회장이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자동차 정책에 대해 기대감을 내비쳤다. 특히 포드 회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오른팔로 주목받고 있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다 줄 것으로 확신했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대표이사가 지난 7일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긍정적"이라고 밝힌 것과 비슷한 맥락였다. 디트로이트 프리 프레스는 13일(현지시간) 포드 회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포드 회장은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산업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있다"며 "특히 (미국내) 공장에 있는 사람들을 매우 소중히 여긴다"고 강조했다.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전기차 세액 공제 관련해서는 "이미 트럼프와 세액 공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며 "향후 포드가 이에 대한 발언권을 가지고 협상 테이블에 앉게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트럼프는 취임 후 7500달러 규모 전기차 세액 공제 철회 뜻을 밝힌 상태이다. 보조금 완전 폐지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전망이
[더구루=윤진웅 기자] 스티브 클로티 아우디코리아 사장이 국내 미디어와의 첫 소통 자리를 마련했다. 지난해 주요 성과를 설명하고 올해 비전과 계획을 공유했다. 2025년을 아우디 브랜드 역사상 가장 많은 신모델 출시와 굳건한 파트너십에 기반한 도약의 해로 삼아 한국 프리미엄 수입차 시장에서 아우디의 입지를 키워나가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아우디코리아는 13일 신라호텔 서울 영빈관에서 ‘신년 미디어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했다. 아우디 신년 미디어 라운드테이블은 지난해 5월 부임한 스티브 클로티 사장이 국내 미디어와 공식적으로 만나는 자리로, 긴밀한 소통과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스티브 사장은 아우디 코리아의 2024년 주요 성과를 설명하고 2025년 계획 및 향후 비전을 공유했다. 스티브 사장에 따르면 아우디코리아에 있어 지난해는 고객 중심 맞춤형 서비스 강화 및 네트워크 최적화에 집중하는 시기였다. 아우디코리아는 도전적인 시장 환경 속에서도 고객의 변화하는 니즈와 구매행동 변화에 발맞춰 고객 중심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채널 강화에 주력했다. 지난해 주요 성과로는 지속가능한 네트워크를 위한 최적화 작업에 따른 효율화와 시티몰 콘셉트 판매 네트
[더구루=홍성일 기자] 메타가 라마 3 개발과정에서 오픈AI의 GPT-4를 이기는데 '집착'했다는 문건이 공개됐다. 치열한 인공지능(AI) 개발 경쟁 압박이 메타 임직원들의 저작권법 위반을 부추기는 원인이 됐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캘리포니아 북부지방 법원은 14일(현지시간) 아마드 알-달레(Ahmad Al-Dahle) 메타 생성형 인공지능(AI) 부문 부사장과 휴고 투브론(Hugo Touvron) 연구원 간의 대화 내용이 담긴 문건을 공개했다. 해당 문건은 리차드 캐드레이(Richard Kadrey) 및 작가 2인이 지난 2023년 11월 메타를 저작권 위반으로 고소하면서 벌어지고 있는 재판 과정에서 공개됐다. 이번에 공개된 대화는 2023년 10월 진행됐다. 대화 중 가장 큰 관심을 받고 있는 부분은 아마드 알-달레 부사장이 "솔직히 말해서 우리 목표는 GPT-4가 돼야 한다(Honestly… Our goal needs to be GPT-4)"고 말한 부분이다. 메타가 AI모델을 오픈 소스로 공개하고 있지만 내부적으로 오픈AI GPT-4, 앤트로픽 클로드를 이기는데 집중했다는 점을 알 수 있는 대목이기 때문이다. 반면 마찬가지로 AI모델을 오픈소스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가 인공지능(AI) 개인용컴퓨터(PC) 시장을 겨냥한 차세대 시스템온칩(SoC)을 개발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엔비디아가 AI PC 프로세서 시장에 진출할 것이라는 분석이 현실화되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5일 업계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블랙웰, ARM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는 AI PC 칩 'N1'을 오는 5월 대만에서 개최되는 컴퓨텍스(Computex) 2025에서 공개한다. 해당 소식은 IT팁스터 하야오(@QQ_Timmy)를 통해 알려졌다. 하야오에 따르면 엔비디아가 개발하고 있는 N1은 기본 모델인 N1과 하이엔드 모델인 N1X로 구성되며 대만 팹리스 미디어텍과 개발 중이다. 생산은 TSMC 3나노미터(nm) 공정에서 이뤄지며 레노버 요가 투인원 16 2025(Lenovo Yoga 2-in-1 16 2025) 노트북에 장착돼 출시될 예정이다. 하야오는 N1의 AI연산속도가 180~200톱스(TOPS, 초당 1조 연산)에 달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이는 퀄컴 AI PC 프로세서 '스냅드래곤 X 엘리트'의 45톱스에 약 5배 수준이다. 또한 최대 5Gbps에 달하는 블랙웰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해 강력한 컴퓨팅 성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