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전기차 기업 비야디(BYD)가 중국 전기차 시장을 독식하고 있다. 내연기관 모델과의 전쟁 서노 이후 가격 대폭 할인 전략을 실시한 결과 지난달 점유율이 30%에 육박했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중국자동차공업협회(CAAM) 등 업계에 따르면 BYD는 지난달 중국 전기차(EV) 시장에서 브랜드 점유율 29.3%를 기록하며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같은 달 월간베스트셀링전기차 '톱10' 목록에 무려 6개 모델이 이름을 올렸다. 송과 퀸 플러스가 각각 6만2622대와 5만394대로 1위와 2위를 차지했고 시걸과 얀 플러스, 한, 디스트로이어 05가 3위부터 7위까지 휩쓸었다. '톱20'까지 범위를 확대할 경우 BYD 모델은 8개까지 늘어난다. 돌핀과 탕이 각각 1만2672대와 1만2603대로 13위와 14위에 랭크됐다. 테슬라는 같은 달 점유율 7.1%를 기록하며 2위에 올랐다. 모델Y가 총 4만7917대 판매고를 올리며 실적을 견인했다. 이어 울링과 지리, 아이토가 각각 점유율 5.8%와 4.7%, 4.4%로 3위부터 5위에 이름을 올렸다. 올해 중국 전기차 시장 내 BYD 점유율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최근 내연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에서 전기차 판매가 확대되면서 자동차 액세서리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코트라 톈진무역관은 '중국, 자동차 액세서리 시장이 호황인 이유는?' 보고서를 통해 중국 자동차 액세서리 시장 현황과 시사점 등을 28일 소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자동차 액세서리 시장은 2023년 1조3000억 위안(약 235조원) 시장으로 성장했다. 이는 전년대비 20% 늘어난 수치다. 중국 자동차 액세서리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중국 자동차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전기차 시장이 성장하면서 고급 차량의 판매가 증가했고 이에 발맞춰 액세서리에 대한 수요도 증가했다는 분석이다. 이외에도 시장 성장의 주된 원인으로는 다양한 온오프라인 유통채널의 완비, MZ세대의 자동차 보유 증가가 꼽히고 있다. 가장 성장세가 두드러지는 제품은 여성 사용자를 타깃으로 한 차량용 디퓨저, 전기차용 필름 수요 증가로 인한 차량용 페인트 보호 필름, 교통 법규 강화로 인해 승용차용 유아 카시트 등 이다. 코트라 톈진무역관은 "디퓨저, 페인트 보호 필름, 유아 카시트 등의 제품들의 성장 속도가 빠른 편이며 한국 브랜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이 최초로 대형 크루즈 여객선 건조에는 성공했지만 크루즈선 부품 대부분은 수입에 의존해 크루즈선 부품 시장에서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는 평가가 나온다. 현재 중국은 크루즈선 부품과 내부 장비 90%는 해외에서 수입하고, 나머지 10%만 국산화로 건조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코트라와 업계에 따르면 중국은 자체 기술로 대형 크루즈선을 건조할 수 는 능력은 있으나 해외 부품 수입 의존도가 높다. 크루즈 제조에 필요한 복잡한 기술과 크루즈 주문 시 유럽과 미국 제조업체 제품들이 주로 사용되면서 중국 국산화율이 낮아졌다. 중국 크루즈선 수입 의존 품목은 △크루즈선 동력 부품 '엔진 및 추진 시스템' △내부 장식재인 '고급 장식 및 재료' △항법 장비, 통신 시스템 등 '전자 장비 및 제어 시스템' △고강도 강재 등 '특수 재료와 부품' △객실 전용 방화·방음재 '질 석판' △친환경 장비 등이다. 작년 6월 상하이 와이가오챠오 조선소(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에서 건조한 중국 최초의 크루즈 여객선 '아이다 마도우호' 선체에도 수입 부품이 장착됐다. 아이다 마도우호는 2019년 10월 본격적인 생산에 들어가 3년 간의 건조를 거쳐 완공됐다
[더구루=정예린 기자]볼리비아가 리튬 산업 육성을 위해 중국과의 밀월을 확대하고 있다. 부족한 기술력과 자본력을 충당해 염호 개발 사업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볼리비아 국영 리튬 기업 'YLB(Yacimientos de Litio Bolivianos)'와 오루로시 시정부 소속 기술자들은 지난달 15일(현지시간)부터 24일까지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리튬 세미나에 참석했다. 볼리비아에서 채굴되는 리튬 자원 개발·상용화 방안과 상업화 전략을 논의했다. 양국은 세미나를 통해 볼리비아와 중국 리튬 전문가들 간의 경험과 지식 교류를 촉진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리튬 카보네이트 생산 기술 △라틴아메리카-중국 간의 협력 증진 △티베트·신유 지방의 리튬 생산 시설 방문 △중국 역사 교류 등 다각적으로 양국 간의 협력 관계를 다진다는 방침이다. 볼리비아는 칠레, 아르헨티나와 함께 '리튬 삼각지대'로 불린다. 3국은 세계 리튬 매장량의 70%를 차지하는 핵심 리튬 매장지다. 미국지질조사국(USGC)에 따르면 볼리비아에는 리튬 2100만t이 매장돼 있다. 전 세계 매장량의 약 24%에 해당한다. 우유니와 코이파사 염호가 대표적이다. 우유니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이 전장의 영역이 육·해·공에서 우주까지 확장되자 우주전쟁과 사이버전쟁을 대비해 군사항공우주부대(軍事航天部隊), 사이버공간부대(網絡空間部隊) 등 새로운 병종을 창설한다. 또 현재 군사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기존 제5군종 전략지원부대를 폐지하고, 정보지원부대(信息支援部隊)를 신설한다. 오는 2027년 중국의 대만 침공 시나리오가 제기되면서 중국군의 비대칭 전력을 강화 차원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인민해방군은 19일(현지시간) 베이징에서 정보지원군 창설대회를 열고 정보지원부대 신설을 공표했다. 창설된 정보지원부대는 중앙군사위원회가 직접 지휘하며, 기존 전략지원부대에 속해 있던 주요부대는 정보지원부대, 군항공우주부대, 사이버공간부대로 분할 종합군으로 구성한다. 이에 따라 중국 군은 육·해·공·로켓군의 4대 군과 정보지원군, 군항공우주군, 사이버우주군, 합동군수지원군 등 4대 군 복무 구조를 갖게 된다. 정보지원부대 창설대회에 참석한 시진핑(习近平) 중국공산당 총서기 겸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은 "정보지원부대 창설은 중앙군사위원회가 강군 사업이라는 전체 국면을 고려해 내린 중대한 결정이자, 신형 군병종을 구축하
[더구루=정예린 기자] 소비자들에 '가짜' 삼성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주의보가 내려졌다. 중국산 SSD가 교묘하게 삼성전자 신제품인 것처럼 둔갑돼 판매되면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미국 IT 전문 매체 '톰스하드웨어' 등에 따르면 중국 쇼핑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에 '1080 프로(PRO) SSD'라는 4TB급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삼성전자의 고성능 SSD '프로 시리즈'와 같은 모델명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디자인도 같다. 해당 SSD를 제조한 중국 업체는 SSD 구매 경험이 적은 소비자들이 유사한 모델명과 디자인만 보고 삼성전자 제품으로 착각하도록 만들었다. 제품이나 마케팅 자료 등에 삼성전자를 언급하지 않아 법망도 교묘하게 피해갔다. 가격도 삼성전자의 제품 대비 약 10배 낮게 책정했다. 과장·허위 광고도 일삼았다. 1080 프로 SSD는 PCle 4.0 인터페이스의 소비자용 SSD로, 연속 읽기와 연속 쓰기 성능이 각각 최대 15.8GB/s, 14.5GB/s라는 게 판매자의 설명이다. 하지만 PCle 4.0 인터페이스 하에 이같은 성능을 낼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벤치마크를 실시한 결과 삼성전자의 980 프로 SSD 대비 읽
[더구루=한아름 기자] 중국 바이오기업 바이진이 항체-약물접합체(ADC) 생산시설을 완공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섰다.차세대 유망 기술로 꼽히는 ADC 위탁개발생산(CDMO) 수요에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바이진이 중국 광저우에 ADC 생산시설 건설을 완료했다. ADC 생산시설은 약 5만8000㎡(1만7545평) 규모로, 축구장 8개 규모다. 오는 6월부터 본격 가동된다. 2026년 248억달러(약 32조원)로 커질 글로벌 ADC 치료제 시장을 선점한다는 목표다. 바이진은 중국 바이오기업 듀얼리티바이오와 ADC 치료제 생산과 공동 개발에 맞손을 잡는다. 앞서 지난해 7월 현지 ADC 대표주자로 꼽히는 듀얼리티바이오와 위탁개발(CDO)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듀얼리티바이오는 ADC 고형암 치료제를 개발 중이다. 바이진은 “차세대 바이오 기술로 떠오르고 있는 ADC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투자 활동을 적극적으로 이어나갈 것"이라며 "듀얼리티바이오와 같은 유망 바이오테크와의 협업을 강화해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전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전자과학기술대학교(UESTC), 칭화대학교, 중국 과학원 산하 상하이 마이크로시스템·정보기술연구소 연구진이 공동으로 양자칩 설계를 위한 새로운 광원 기술을 만들어냈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공동 연구진은 질화갈륨 플랫폼을 활용한 양자칩 기술을 개발했다. 해당 내용은 지난달 피지컬 리뷰 레터스(Physical Review Letters)에 보고됐다. 연구진은 사파이어 레이어에 질화갈륨 박막을 성장시켰다. 그후 해당 필름에 120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링을 식각(에칭)해 레이저 빔의 빛 입자가 링 주위를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적외선 레이저 광선을 질화갈륨 필름에 공급하자 일부 빛 입자가 에칭된 링에 갇혀 쌍으로 공명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리고 일부 공진 쌍은 자발적 4광파 혼합(spontaneous four-wave mixing)효과로 인해 새로운 한 쌍의 빛 입자를 생성했다. 연구진은 질화갈륨 링이 생성하는 얽힘의 정도는 다른 양자 광원에서 측정된 수준과 비슷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출력 파장 범위가 이전에 질화 규소, 인화 인듐과 같은 재료를 기반했을 때 25.6나노미터(nm)였던 것에 비해
[더구루=길소연 기자] 아프리카 2개 주요 우주 연구소가 중국이 추진하는 '국제 달 연구기지(ILRS)' 프로젝트에 공식 참여한다. 미국과 중국 간 달 기지 건설 경쟁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중국 ILRS의 참여국이 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업계에 따르면 에티오피아 우주과학기술연구소(SSGI)와 케냐 첨단 과학기술연구소(KAIST)는 최근 중국 ILRS에 아프리카 파트너로 가입했다. 압디사 일마(Abdissa Yilma) 에티오피아 우주과학기술연구소장은 지난 5일(현지시간) 에티오피아 수도 아디스아바바에서 후자오빈 중국 심우주탐사연구소 부국장과 ILRS 관련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SSGI는 2016년에 설립된 에티오피아 우주과학기술연구소로,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해 국가의 우주 과학 및 기술 활동을 촉진한다. 이날 일마 소장은 "SSGI가 ILRS 건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홍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후 부국장은 "ILRS 프로젝트가 에티오피아의 항공우주 분야와 우주 탐사 기술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답했다. 후 부국장은 이어 8일 케냐 나이로비 남부 콘자테크노시티를 방문해 제니퍼 W. 카마시(Jennifer W.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 시장 규모가 2년 뒤에는 100억 위안을 돌파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21일 중국 휴머노이드산업연구보고서(人形机器人产业研究报告, 이하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발전이 황금기에 접어들었다. 보고서는 중국 휴머노이드 시장 규모가 2026년이면 104억 7100위안(약 2조원)을 기록하고, 2030년에는 1192억 4,600만 위안(약 23조원)에 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보고서는 9일(현지시간) 베이징 하이덴구에서 열린 제1회 중국 휴머노이드산업대회(首届中国人形机器人产业大会)에서 공개됐다. 보고서는 중국 휴머노이드 시장이 인공지능(AI), 재료 과학 및 기타 관련 분야의 발전에 힘입어 휴머노이드 로봇과 다양한 기술의 통합 개발이 도래했다고 전했다. 이어 딥러닝, AI 등 기술 진보에 힘입어 휴머노이드 시장이 빠르게 발전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현재 중국 휴머노이드 산업의 경우 기본적인 보행, 간단한 손동작 구현, 모방 등이 가능하다. 단계로는 인공 지능, 기계 학습, 컴퓨터 비전 시스템 등 첨단 기술을 갖춘 지능의 고급 단계에 진입했다. 다만 핵심부품, 운영체제, 소프트웨어 개발·혁
[더구루=길소연 기자]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산 철강 제품의 수출량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중국 철강 산업의 경쟁력이 향상되고 있다. 특히 중국의 철강 주요 수출국인 한국이 저가 대체로 중국산 철강을 찾으면서 중국의 한국향 철강 수출이 증가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 840만 톤(t)의 철강을 한국으로 수출했다. [유료기사코드] 20일 화촹증권(華創證券)에 따르면 작년 중국 철강 수출량은 총 9120만1800t으로 전년 대비 35.2% 증가했다. 지난해 중국은 철강 수출 상위 10개국을 대상으로 총 4730만t의 철강을 수출했다. 이는 중국의 연간 전체 철강 수출량의 51.87%를 차지한다. 중국 철강 수출의 주요 대상국의 구성은 비교적 안정적이다. 베트남이 한국을 대체해 중국의 최대 수출 시장이 됐으며, 중동 지역의 경우 중국 철강 수출 상위 10개국 중 5개국이 중동 국가로 중국의 주요 수출 시장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 840만t의 철강을 한국에 수출하면서 대(對)한국 수출량은 전년 대비 31.4% 증가했다. 중국의 한국향 철강 수출이 증가한 이유는 한국의 수요 증가보다는 저가 대체 공급에 있다. 철강 수출 품목 중에는 철근 수출량이 가장
[더구루=길소연 기자] 국적선사 에이치엠엠(HMM)이 중국 조선소에 발주한 선박에 세계 1위 발전소·선박용 엔진 제조업체인 만에너지솔루션즈(MAN Energy Solutions, 이하 만)의 엔진이 탑재된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선박그룹(CSSC) 산하 광저우조선은 최근 HMM이 주문한 1만800CEU(자동차 운송 단위) 자동차운반선(PCTC) 4척을 위해 만의 B&W 8S60ME-GI 2행정 이중 연료 엔진 4대를 주문했다. 만은 글로벌 2행정(2-stroke) 선박엔진 시장의 약 85%를 점유하고 있다. 만의 Mk10.5형 이중연료 엔진은 중국선박중공엔진(CSE)에서 제작할 예정이다. 이 엔진에는 배기가스 재순환(EGR) 배출 감소 기술이 적용되어 질소산화물(NOx) Tier III 규정을 준수할 수 있다. 만의 B&W ME-GI 엔진은 LNG·메탄 동력 선박에 미래 지향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디자인을 개선하고 단순화했으며, 주요 구성 요소를 업그레이드하고 신뢰성을 향상시켰다. HMM은 지난해 2002년 현대상선 시절 매각한 자동차 운송사업을 21년 만에 재개하면서 PCTC 4척을 발주했다. 거래 규모는 7억 3
[더구루=홍성일 기자] 메타(Meta)와 패션 브랜드 레이벤(Ray Ban)이 새로운 디자인의 스마트 안경을 공개했다. 메타는 실시간 인공지능(AI) 번역 기능을 정식 출시하는 등 스마트 안경 시장 선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메타-레이벤은 '스카일러 샤이니 초키 그레이(Skyler Shiny Chalky Gray)'라는 스마트 안경을 출시했다. 메타-레이벤은 해당 스마트 안경이 뉴트럴 톤에 포인트 컬러를 더한 캣아이 디자인을 가지고 있어 실내외 어디에서나 착용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메타에 따르면 스카일러 샤이니 초키 그레이 스마트 안경은 '연한 회색의 안경 프레임'과 변색 기능을 갖춘 '트랜지션 사파이어 렌즈'가 결합됐다. 또한 1200만 화소 광각 카메라와 오픈이어 스피커 2개, 마이크 5개, 완충 시 최대 4시간 사용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됐다. 무게는 50그램(g)이다. 트랜지션 사파이어 렌즈는 실내에서는 투명하게, 실외에서는 검정색으로 변해 사용성을 높였다. 스카일러 샤이니 초키 그레이 스마트 안경은 미국과 캐나다, 영국, 아일랜드, 오스트리아, 벨기에,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핀란드, 노르웨이, 덴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연구팀이 생체신호로 감정을 확인할 수 있는 '패치'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해당 기술이 원격 의료 분야에서 활용도를 높여갈 것으로 전망했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연구팀은 피부 온도와 심박수, 혈중 산소 농도와 같은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해, 착용자의 감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스티커 형태의 패치를 개발했다. 해당 연구 내용은 미국화학회 동료 심사저널인 '나노레터스(Nano Letters)'를 통해 공개됐다. 패치에는 피부 온도, 심박수, 혈중 산소 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탑재됐다. 패치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데이터는 모바일 기기와 클라우드를 통해 의사에게 전달돼,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연구팀은 측정된 데이터만 전송되도록 설계돼 개인정보가 보호된다고 덧붙였다. 패치 개발은 2단계에 걸쳐 진행됐다. 1단계에서는 8명의 실험자를 모집해 △행복 △놀라움 △두려움 △슬픔 △분노 △혐오 등 6가지 감정에서 나타나는 얼굴 표정을 확인했다. 이렇게 확보된 데이터는 인공지능(AI) 모델 학습에 이용됐다. 연구팀은 AI모델이 얼굴 표정만을 보고 96.28%의 정확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