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이재현 CJ그룹 회장의 사위이자 이경후 CJ ENM 브랜드전략실장(경영리더)의 남편인 정종환 CJ ENM 콘텐츠·글로벌사업 총괄이 'K컬처' 영토 확장에 발 벗고 나섰다. 정 총괄이 CJ ENM 인기 드라마 리메이크판 작품을 내세워 해외 시장 확대를 추진함에 따라 글로벌 콘텐츠 사업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 총괄은 그룹의 K콘텐츠 확산 사업에서의 역할과 책임이 더욱 커질 걸로 보인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CJ ENM은 튀르키예 제작사 O3 메드야(O3 MEDYA)·다스 야핌(DASS Yapim) 등과 눈물의 여왕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CJ ENM이 해외 기업과 눈물의 여왕 라이선스 계약을 성사시킨 것을 이번이 처음이다. CJ ENM은 해당 라이선스 계약을 토대로 O3 메드야·다스 야핌과 협력해 눈물의 여왕 튀르키예판을 제작해 현지 시장에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튀르키예 방영 이후 다른 국가에서도 리메이크판 눈물의 여왕을 방송하며 글로벌 시장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CJ ENM이 유럽 시장 확대를 본격화함에 따라 유럽에서 K콘텐츠 확산이 탄력받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번 튀르키예 진출은 정 총괄이 사업 초기부터 직접
[더구루=홍성일 기자] 네이버의 엔터테인먼트 자회사 웹툰엔터테인먼트가 3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미국 주주들의 집단 소송이 본격화되는 등 내우외환에 시달리고 웹툰엔터테인먼트가 3분기 실적 발표로 반등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웹툰엔터테인먼트는 7일(현지시간) 3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웹툰 엔터테인먼트는 실적 발표 후 경영진이 참여하는 컨퍼런스 콜을 개최, 실적을 리뷰할 예정이다. 웹툰엔터테인먼트는 8월 진행된 2분기 실적발표를 통해 3분기 매출이 고정환율 기준 전년대비 12.5%~14.5%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웹툰엔터테인먼트는 기업공개(IPO), 주식 기반 보상 비용으로 7660만 달러 순손실을 기록했던 2분기보다 손실이 줄어들 것으로 봤다. 웹툰엔터테인먼트는 3분기 조정 EBITDA(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가 최대 1000만 달러 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었다. EBITDA는 이자, 세금, 감가상각 등을 빼기 전 순이익을 말하며, 기업 영업 성과를 명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지표다. 웹툰엔터테인먼트는 이번 실적 발표를 기점으로 반전의
[더구루=김형수 기자] 이재현 CJ그룹 회장의 사위이자 이경후 CJ ENM 브랜드전략실장(경영리더)의 남편인 정종환 CJ ENM 콘텐츠·글로벌사업 총괄이 글로벌 경영 보폭을 넓히고 있다. 정 총괄은 이 회장이 그리는 'K컬쳐 세계화' 진두지휘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최근 재계에선 '사위는 백년손님'이라 여기는 분위기가 사그라진 편. 똑 부러지는 사위들이 아들의 부족한 부분을 메워주거나 가문의 파워를 극대화시키는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29일 브라질 최대 규모 미디어 기업 글로보(Globo)에 따르면 CJ ENM과 패키지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은 양사의 협력을 통해 브라질에 다양한 K드라마를 선보이기 위해 추진됐다. CJ ENM의 K콘텐츠 세계화에 이끌고 정 총괄이 이번 계약을 주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글로벌 무대에서 경쟁력을 인정받은 K드라마를 내세워 아시아·유럽에 이어 중남미 시장으로 영토를 확장하고 있는 모습이다. 글로보는 지난 1925년 설립됐으며 TV·라디오·신문·인터넷 포털·케이블TV 등 다양한 미디어 관련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지난 2018년 기준 약 923만명의 지상파 TV 시청자를 보유하고 있는 1위 방송 사업자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레이프로젝트서울과 아트투르비용이 공동 기획한 김연홍, 김보림, 진수영 작가의 '초대[招待]- INVITATION'가 26일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서울시 종로구 효자로 7길 6-1, 효자로7길 10-3 서촌 한옥에서 내달 1일까지 열린다. '꿈을 지을 공간 프로젝트'의 행사 중 하나로 기획된 이번 전시에는 형태의 경계를 무너트리고 다양한 선들을 모아 화려한 색채로 작품활동을 하는 개성 넘치는 신진작가 3명이 참여했다. 김연홍 작가는 가상의 계절을 상상해, 계절의 가시적 또는 비가시적 요소의 흔적을 캔버스에 표현한다. 물감이 스며들고 퍼지는 기법을 사용해 형태의 경계가 무너지고 물감의 우연성에 의해 발생하는 모습을 자연스럽게 나타낸다. 강렬한 에너지를 뿜어내는 선명한 컬러가 특징인 김보림 작가의 작품은 날것의 느낌을 고스란히 전달해 우리의 잠잠했던 감각을 일깨운다. 이번 전시에서는 자연물인 컬러풀한 꽃과 과일 작품을 선보인다. 진수영 작가는 2007년부터 차(Tea)를 우려낸 찻물로 티드로잉(Teadrawing)작업을 하고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고 깊은 색감을 내는 티드로잉 작품은 티가 흘러내리고 마르는 과정에서 생기는 흔적
[더구루=홍성일 기자] 카카오픽코마가 일본 웹툰 플랫폼 이용률 조사서 라인망가를 제치고 1위에 등극했다. 카카오픽코마는 2년만에 이용률을 끌어올리며 라인망가를 2위로 밀어내는데 성공했다. 재미있는 점은 연령별로 선호하는 플랫폼이 달랐다는 점이다. 10대부터 30대까지는 라인망가를, 40대부터 60대까지는 카카오픽코마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일본 모바일 시장 조사기관 MMD 연구소의 '2024년 웹툰 이용자에 관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웹툰을 읽은 코믹 애플리케이션이 무엇이었냐고 묻는 질문에 35.0%가 카카오픽코마라고 답변(중복선택 가능)했다. 2위는 32.4%를 기록한 라인망가, 3위는 14.5%의 메차코믹이었다. 2년 전 조사에서는 라인망가가 33.0% 이용률을 기록하며 1위, 카카오픽코마는 29.8%로 2위, 메차코믹은 11.7%로 3위였다. 카카오픽코마는 2년만에 이용률을 5.2% 포인트 끌어올렸으며 라인망가는 0.6% 포인트 하락했다. 메차코믹도 2.8% 포인트 증가했다. 이번 조사는 MMD연구소가 15세부터 69세까지 남녀 1만4476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MMD연구소는 조사 대상자 중 코믹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를 이용해본 사람은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에서 강력한 지식재산권(IP)를 활용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이 유행하고 있다. 콘텐츠 기업들의 IP 확보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20일 로스앤젤레스무역관이 작성한 '미국, IP로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확장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미국에서는 하나의 IP로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제작하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이 확산되고 있다. 이 전략을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기업은 넷플릭스다. 그리고 넷플릭스가 가장 전면에 내세운 것이 오징어게임이다. 오징어게임은 넷플릭스에서 제작한 콘텐츠 중에서도 전세계적인 신드롬을 일으킨 대표작이다. 오징어게임은 넷플릭스 역사상 가장 많이 시청된 시리즈로 94개국에서 1위를 차지했다. 시청 가구수는 1억4200만 가구에 달한다. 오징어게임은 단순히 드라마 이상의 가치를 가진다는 평가다. 실제로 오징어게임은 전세계적인 문화현상으로 패러디, 상품화, 행사 등이 전세계적으로 이어졌다. 넷플릭스는 하나의 문화현상이 됐던 오징어게임 IP를 활용해 추가 수익 확보에 나섰다. 이에 지난해 '오징어게임: 더 챌린지'라는 리얼리티쇼를 선보였다. 또한 같은해 8월에는 '오징어게임:언리쉬드
[더구루=홍성일 기자] 네이버로부터 투자를 유치한 바 있는 일본의 웹툰 스튜디오 소라지마(ソラジマ)가 인도네시아 웹툰 스튜디오에 투자했다. 웹툰 산업이 한국과 일본을 넘어 동남아시장 시장에서도 생태계를 갖춰가고 있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끼사이엔터테인먼트(이하 끼사이)는 소라지마, 인도네시아 크리에이티브 기업 안자리 자야 라야(PT Anjary Jaya Raya)에서 100만 달러(약 13억6500만원)를 조달했다. 이번 투자는 인도네시아 웹툰 산업 '역대 최대' 규모다. 이번에 끼사이에 투자한 소라지마는 2019년 설립됐다. 소라지마는 설립 초기에는 유튜브를 제작하는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로 운영됐으며 2021년 8월부터 웹툰 제작을 시작했다. 소라지마는 현재 80여 개 작품을 라인업으로 갖췄으며 라인망가, 피코마 등 24개 웹툰 플랫폼에 콘텐츠를 공급하고 있다. 소라지마는 지난 2023년 3월 네이버와 소프트뱅크의 합작사인 Z홀딩스(현 라인야후) 산하 벤처캐피털(VC) Z벤처캐피탈이 주도한 시리즈B 투자 라운드를 통해 10억엔(약 91억원)을 조달했다. 펀딩에는 닛세이 캐피탈, DBJ 캐피탈, KDDI 오픈 이노베이션 펀드3, 미
[더구루=김형수 기자] CJ ENM 드라마와 예능 등 8개 콘텐츠가 '2024 AACA'(2024 Asian Academy Creative Awards·이하 AACA 시상식) 그랜드 파이널 후보 명단에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해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CJ ENM이 'K콘텐츠 명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평가다. 13일 AACA 시상식을 주관하는 AACA(Asian Academy of Creative Arts)에 따르면 CJ ENM이 공개한 '눈물의 여왕'·'선재 업고 튀어'·'운수 오진 날' 등 드라마와 '아파트404'·'환승연애3'·'스트릿우먼파이터2' 등 예능은 '2024 AACA 시상식 내셔널 위너'(2024 AACA National Winner) 겸 그랜드 파이널 후보로 선정됐다. AACA는 한 해 아시아 콘텐츠 시장을 리뷰하고 시상하는 아시아 최대 콘텐츠 시상식으로 꼽힌다. 최종 수상작은 오는 12월 싱가포르에서 개최되는 시상식을 통해 발표될 예정이다. 눈물의여왕은 픽션 최고연출상(Best Direction)과 최고극본상(Best Screeplay), 선재 업고 튀어는 최고촬영기술상(Best Cinematography), 운수 오진 날은
[더구루=김형수 기자] CJ ENM이 인기 K드라마 '굿닥터' 리메이크판을 태국에 선보인다. 글로벌 시청자들을 매혹시킨 유명 콘텐츠를 내세워 태국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는 전략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CJ ENM은 합작법인 트루 CJ 크리에이션스(True CJ Creations)를 통해 태국에 오는 11일 리메이크 버전 굿닥터를 공개할 예정이다. 트루 CJ 크리에이션스는 CJ ENM이 지난 2016년 태국 사업을 본격화할 목적으로 최대 규모의 현지 종합 미디어기업 트루비전스(True Visions)와 설립한 회사다. 트루 아시안 모어(True Asian More) 채널을 통해 매주 금요일과 토요일 오후 10시 리메이크판 굿닥터를 한편씩 방영한다. 리메이크판 굿닥터는 오리지널 버전의 매력은 유지하면서도 태국 스타일을 더해 각색됐다. 닝 싸란 나라쁘랏스쿤(Neng Saran Naraprasertkul), 토니 락카엔(Tony Rakkaen) 등 현지 배우가 주연을 맡았다. 지난 2일(현지 시간) 태국 방콕 소재 대형 쇼핑몰 아이콘 시암(ICONSIAM) 내에 있는 영화관 아이콘 시네코닉(ICON CINEConic)에서 굿닥터 리메크판 공개를 앞두고 사전 이
[더구루=한아름 기자] CJ CGV 베트남 투자법인 브이픽처스(V Pictures)가 부산국제영화제 아시아콘텐츠·필름마켓(ACFM)을 뜨겁게 달궜다. ACFM에 인기 영화를 선보이고 관계자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ACFM은 BIFF 개최 기간 영화·영상·콘텐츠 관련 비즈니스 거래를 위해 운영되는 기업간거래(B2B)장이다. 브이픽처스가 지난 5일부터 4일간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 제2전시장에서 열린 ACFM에 참가했다. 이 기간 '페이스 오브 7: 하나의 소원'(Face Off 7: One Wish), '마야'(Ma Da)를 선보이고 배급 및 콘텐츠 라이선스 계약 기회를 모색했다. 특히 이번 ACFM에는 스튜디오룰루랄라(SLL), 스튜디오S, 스튜디오앤뉴, 스튜디오드래곤, 클라이맥스 스튜디오 등을 비롯한 국내 드라마 제작사와 니픽처스, 알리바바 픽처스, 쇼박스, 메가박스 플러스엠 등 다수의 제작·투자사들이 참가한 만큼 브이픽처스에 대한 관심이 몰렸다는 전언이다. 페이스 오브 7: 하나의 소원과 마야는 베트남에서 흥행몰이에 성공한 인기 영화다. 페이스 오브 7: 하나의 소원은 할머니 간병을 위해 자식과 손자·손녀가 한자리에 모이는 가족 드라마로, 현지 유명 감독 리
[더구루=한아름 기자] 버추얼(가상) 아이돌 그룹 플레이브(PLAVE)가 일본 대형 온라인몰 라쿠텐(Rakuten)의 페스티벌 무대에 오른다. 플레이브가 국내를 넘어 해외로 활동 영역을 확대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3월 데뷔한 플레이브는 데뷔 이후 가파른 성장세를 기록하며 K팝 시장에서 자신들만의 입지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4일 라쿠텐에 따르면 플레이브가 오는 19일 지바현 대형 전시장 마쿠하리 멧세(幕張メッセ)에서 개최되는 '라쿠텐 걸스 어워드 2024 A/W'에 참가한다. 라쿠텐 걸스 어워드는 지난 2010년부터 연 2회 개최되는 일본 최대 규모의 패션·음악 페스티벌이다. 본격적인 성장 궤도에 오른 플레이브는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며 K팝 시장에서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 국내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입지를 다진 플레이브는 이제 다른 K팝 아이돌들과 마찬가지로 해외 진출을 꾀하고 있다. 플레이브 데뷔 앨범 아스테룸(ASTERUM)은 발매 첫 일주일간 2만7000장을 판매됐다. 미니 1집 '아스테룸:더 쉐입 오브 띵스 투 컴'(ASTERUM : The Shape of Things to Come)은 20만장이 판매됐다. 미니 2집 '아스테룸 134-1'(ASTE
[더구루=김형수 기자] CJ CGV 자회사 CJ포디플렉스(CJ 4DPLEX)가 특별관을 내세워 북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미국 영화관 업체 애플시네마(Apple Cinema)와 손잡고 스크린X 상영관을 추가 설치하고 현지 영토를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CJ포디플렉스는 애플시네마와 스크린X 상영관 5곳 조성을 골자로 하는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구체적 계약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CJ포디플렉스는 해당 계약을 토대로 미국 로드아일랜드에 위치한 '애플시네마 워윅몰'(Apple Cinemas Warwick Mall), 뉴욕에 자리한 '애플시네마 화이트 플레인스 시티 센터'(Apple Cinemas White Plains City Center) 등에 연내 스크린X 상영관을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나머지 3곳의 스크린X 상영관은 내년 이후 순차적으로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애플시네마가 영화관을 운영하고 있는 △매세추세츠 △코네티컷 △로드아일랜드 △뉴햄프셔 △메인 △뉴욕 등의 지역이 유력 후보지로 거론된다. 지난 2013년 영화관 사업을 시작한 애플시네마는 이들 6개주에 12개 극장·136개 스크린을 보유하고 있다. 스크린X는 CJ포디플렉스가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비보(Vivo)의 프리미엄 브랜드 아이쿠(iQOO)가 소형 플래그십 태블릿 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아이쿠의 참전으로 애플과 샤오미가 주도하고 있는 소형 태블릿 시장 경쟁 구도가 변화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유명 IT 팁스터 '디지털 챗 스테이션(DCS)'은 "아이쿠가 플래그십 사양을 갖춘 8.3인치 소형 태블릿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DCS는 아이쿠가 해당 테블릿을 올해 말 출시할 계획이지만, 내부 사정으로 내년으로 연기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DCS에 따르면 아이쿠의 새로운 태블릿은 퀄컴의 최신 프로세서인 '스냅드래곤 8 엘리트'가 탑재될 것으로 보인다. 만약 출시가 2026년으로 연기될 경우 차세대 칩셋인 '스냅드래곤 8 엘리트 2'로 업그레이드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DCS는 디스플레이 크기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외의 정보는 공개하지 않았다. 업계는 아이쿠가 고성능을 앞세워 기존의 강자인 애플 아이패드 미니와 샤오미 패드 미니 등과 직접 경쟁을 펼칠 것으로 보고있다. 샤오미 패드 미니는 현재 중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레드미 K 패드의 글로벌 판매명으로 유력하게 거론되고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의 로봇 스타트업 카트켄(Cartken)이 사업의 중심축을 '라스트 마일 배송'에서 '산업 현장'으로 전환하고 있다. 카트켄은 기존 라스트 마일 배송 사업은 테스트베드로 활용하며, 기술 개발에 발차를 가할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카트켄은 최근 쿠리어(Courier) 6륜 식품 배달 로봇을 산업 현장 자재 운반용 로봇으로 투입하고 있다. 크리스처 버쉬(Christian Bersch) 카트켄 최고경영자(CEO)는 테크크런치와 인터뷰를 통해 "배송로봇을 산업 현장에 투입하는 것을 항상 염두에 두고 있었다"며 "산업 현장 수요가 매우 크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카트켄은 2019년 구글 출신 엔지니어들이 설립한 로보 스타트업으로 라스트 마일 배송 서비스 로봇을 주로 공급해왔다. 카트겐의 배송 서비스를 이용한 기업으로는 그럽허브와 스타벅스, 우버이츠 등이 있다. 이들 기업들은 쿠리어를 이용해 음식 배달 서비스를 제공했었다. 카트켄의 사업 전환은 2023년 독일의 제조 회사인 ZF 라이프텍(ZF Lifetec)과 첫 산업 고객 계약을 체결하면서 시작됐다. ZF 라이프텍은 공급받은 쿠리어를 자재 운반용으로 투입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