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한아름 기자] CJ ENM이 일본 안방극장 점령에 본격적으로 드라이브에 걸었다. 일본 최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플랫폼 아베마TV에 연애 리얼리티 콘텐츠 '러브캐처' 포맷을 수출했다. 앞서 K-팝 오디션 예능 프로그램 '프로듀스 101' 리메이크 판권 수출에 이어 일본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평가다. 29일 아베마TV에 따르면 다음달 16일부터 아베마 스페셜 채널에 '러브캐처 재팬' 방영을 시작한다. 러브캐처 재팬은 연애 대상을 찾는 러브캐처와 상금 500만엔(약 4400만원)을 노리는 머니캐처 사이의 심리게임을 다룬다. 일반인 남녀 10명이 나와 러브캐처와 머니캐처로 활동한다. 러브캐처 두 명이 만나면 사랑이 이뤄진다. 러브캐처가 머니캐처를 선택하면 머니캐처만 500만엔을 받게 된다. 머니캐처 두 명이 만나면 아무것도 얻을 수 없다. 러브 라인을 맞히는 재미뿐만 아니라 머니캐처를 찾는 재미 또한 있다. 러브캐처 리메이크 판권 수출은 이번이 처음이란 점에서 눈길을 끈다. CJ ENM은 러브캐처 리메이크 판권 수출에 힘입어 일본 콘텐츠 시장에서 K-콘텐츠 저변 확대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앞서 CJ ENM의 인기 아이돌 오디션 '프로듀스
[더구루=한아름 기자] CJ ENM·투니버스의 곤충 메카 배틀 애니메이션 '벅스봇 이그니션'이 스페인 시장 공략에 나선다. 스페인 현지 배급사가 벅스봇 이그니션의 작품성을 높이 평가하며 아시아를 제외한 세계 전 지역 판권을 인수했다. 유럽을 시작으로 남미 등에서 서비스를 본격 시작한다는 방침이다. 28일 스페인 배급사 디아플라네타 엔터테인먼트(DeAPlaneta Entertainment·이하 디아플라네타)에 따르면 내년 유럽에서 벅스봇 이그니션·벅스봇G(벅스봇 스핀오프)이 방영된다 디아플라네타는 "벅스봇 이그니션은 스토리텔링과 연출이 뛰어나 유럽 등 세계 각국에서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벅스봇 이그니션은 어린이들이 열광하는 곤충, 배틀, 로봇의 키워드가 한데 어우러진 곤충 메카 배틀 애니메이션으로 총 26부작으로 구성됐다. 최고 인기 애니메이션 신비아파트 제작진 칵테일 미디어가 제작에 참여한 만큼 탄탄한 스토리와 완성도 높은 비주얼로 인기를 끌었다는 설명이다. 지난 2019년 국내를 시작으로 △중국 △대만 △홍콩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에 방영됐다. 벅스봇G는 벅스봇 이그니션의 스핀오프로, 총 15부작으로 기획됐다. 디아플라네타가 벅스봇 이그니션·
[더구루=김형수 기자] 쿠팡플레이 스포츠 다큐멘터리가 '아시아 에미상'으로 널리 알려진 ‘아시안 텔레비전 어워즈 2023(Asian Television Awards 2023·이하 ATP 2023)’ 후보에 올랐다. 쿠팡플레이가 다양한 콘텐츠를 내세워 아시아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는 평가다. 23일 ATA에 따르면 쿠팡플레이가 지난해 11월 공개했던 '국대:로드 투 카타르(이하 국대)'는 ATA 2023 베스트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부문 후보로 선정됐다. 지난 1996년 시작된 ATA는 아시아에서 가장 권위있는 TV엔터테인먼트 시상식으로 꼽힌다. 각국 △방송사 △제작사 고위 임원 등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작품성, 배우 연기력 등을 평가해 수상자를 선정한다. 시상식은 내년 1월 12일부터 이틀 동안 베트남 호치민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국대'는 파울루 벤투 전 감독의 지휘 아래 지난해 11월20일 개막했던 '2022 FIFA 카타르 월드컵'을 준비하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모습을 담아낸 다큐멘터리다. 지난 2021년 9월 시작했던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부터 월드컵을 앞두고 펼쳐진 평가전까지 이어지는 벤투호 성장 스토리를 그렸다. 주요 경기 장면
[더구루=한아름 기자] CJ CGV가 미국 스크린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CGV 자회사 CJ포디플렉스(CJ 4DPlex)가 미국내 5위 극장사업자인 'B&B 시어터'(B&B Theatres)와 파트너십을 확대한다. CGV가 미국 사업에 공을 들이고 있는 만큼 향후 다른 극장사업자와 파트너십을 확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2일 B&B시어터에 따르면 내년부터 포디플렉스 기술을 도입해 스크린X관 2개, 4DX관 1개를 새로 설치한다. 앞서 B&B시어터는 지난 2018년부터 CGV와 파트너십을 맺고 스크린X관을 지속적으로 도입해 왔다. 신규 스크린X관을 포함하면 스크린X관 개수는 총 13개로 늘어난다. B&B시어터가 미국 현지에 4DX관을 개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신규 스크린X관·4DX관 모두 텍사스주에 도입된다. 내년 B&B시어터 텍사스주 포틀랜드 노스쇼어 8(B&B Theatres Portland Northshore 8 in Portland, Texas)를 시작으로, 이듬해에는 B&B시어터 조플린 럭셔리 8 스크린(B&B's luxury eight-screen cine
[더구루=한아름 기자] CJ ENM의 '작은 아씨들', '아일랜드'가 '제28회 아시안 텔레비전 어워즈'(Asian Television Awards 2023·ATA) 드라마 2개 부문 후보에 올랐다. ATA는 '아시아의 에미상'이란 별명을 지닌 만큼 CJ ENM이 남다른 기획력과 아이디어를 인정받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ATA는 20일 제28회 아시안 텔레비전 어워즈 베스트 드라마 시리즈(Best Drama Series) 부문에 작은 아씨들을 노미네이트해 발표했다. 수상작 발표는 내년 1월 12월부터 이틀간 베트남 호찌민에 공개된다. ATA는 지난 1996년 시작된 TV 엔터테인먼트 시상식으로, 매년 약 60명의 영화·방송 비평가 심사위원이 작품성과 출연 배우들의 연기력을 평가해 수상작을 선정한다. 작은 아씨들은 김고은, 오인경, 오인혜 주연의 가난하지만 우애 있게 자란 세 자매가 대한민국에서 제일 부유하고 유력한 가문에 각자의 방식으로 맞서는 이야기를 촘촘하게 그러냈다. 아일랜드는 세상을 멸망시키려는 악에 대항해 싸워야 하는 운명을 가진 인물들의 여정을 그린 판타지 액션 드라마로, 김남길, 이다희, 차은우, 성준 등이 열연했다. 아일랜드는 베스트 오리지널 디
[더구루=한아름 기자] CJ CGV가 적자 수렁에 빠진 인도네시아에서 반전을 노린다. 지난해 4분기 이후 4개 분기 연속 적자행진이지만 공격적인 투자에 나섰다. 인도네시아 땅그랑 카라왕(Karawang, Tangerang)·자와바랏 데뽁(Depok, Jawa Barat)에 영화관을 신규 오픈하며 위기의 파고를 넘겠다는 계획이다. 1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에 따르면 CJ CGV 인도네시아 계열사 PT 그라하 레이어 프리마(PT Graha Layar Prima Tbk)는 올해 3분기 64억9500만원 순손실을 기록했다. 지난해 4분기 16억6500만원, 올 1분기 66억3400만원, 2분기 16억6500만원 등 4분기 연속 실적은 뒷걸음질치고 있다. 외형 성장에도 당기순손실이 늘어난 것은 이자·세금 등으로 고정비 부담이 커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전 세계적으로 스태그플레이션(경제 불황 속 물가상승)이 발생하면서 부담을 느낀 현지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아버려 CJ CGV의 적자폭을 키우는 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콘텐츠로 소비자가 이동하면서 CJ CGV의 순손실을 키우는 모양새다. 인도네시아 OTT 시장 규모는 20
[더구루=김형수 기자] CJENM이 글로벌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프라임 비디오를 통해 예능 프로그램 '서진이네 스핀오프'을 공개했다. 아시아를 중심으로 선풍적 인기를 끈 '서진이네' 흥행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CJ ENM은 지난 12일 프라임 비디오를 통해 '서진이네 스핀오프' 스트리밍을 시작했다. 한국과 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 240여개국에서 서진이네 스핀오프를 시청할 수 있다. CJ ENM이 글로벌 히트작으로 등극한 '서진이네' 인기를 발판 삼아 해외 시청자 공략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서진이네는 지난 2월 CJ ENM K-콘텐츠 채널 tvN을 통해 방영됐다. 프라임 비디오를 통해 △홍콩 △대만 △싱가포르 △미국 △캐나다 △영국 등에도 공개됐다. '서진이네'는 사장 역할을 맡은 이서진을 중심으로 정유미와 박서준, 최우식, 방탄소년단 뷔 등이 멕시코 바칼라르에서 △김밥 △라면 △떡볶이 △핫도그 등 K-분식을 주력 메뉴로 하는 식당을 운영하는 과정을 그렸다. OTT 순위집계 사이트 플릭스패트롤(FlixPatro)에 따르면 서진이네는 지난 5월 프라임 비디오 TV쇼 부문에서 △인도네시아 △필리핀 △타이완 △태국 등 12개국에서 '
[더구루=한아름 기자] CJ ENM이 자회사 밀리언볼트와 함께 제작한 애니메이션 '히어로 인사이드'가 남미에 이어 북미, 유럽, 동남아, 중동, 아프리카 등 글로벌 공략을 본격화한다. 워너브라더스 디스커버리 등 글로벌 대형 배급사가 히어로 인사이드 방영을 맡았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CJ ENM 산하 애니메이션 기획·제작사 밀리언볼트가 디아플라네타 엔터테인먼트(DeAPlaneta Entertainment)·위너브라더스 디스커버리등 글로벌 배급사와 손잡고 전 세계에 히어로 인사이드를 소개한다. 히어로 인사이드는 코믹북 작가 '스캇'이 히어로 100명을 주인공으로 그린 책 100권이 출판되지 않고 사라지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곳곳에서 이상한 일이 벌어지고, 열세 살 소년 '마이크'는 우연히 만화책 속 크라잉맨을 갖는다. 시즌1은 총 11부작이다. 디아플라네타는 히어로 인사이드의 남미·일부 유럽 배급을 맡았다. 히어로 인사이드가 스토리텔링과 연출이 뛰어나다며 남미·유럽에서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에서다. 이달 남미 전역에 히어로 인사이드 시즌1 방영을 시작했다. 현재 히어로 인사이드는 멕시코, 아르헨티나 등 19개국에서 2위를 차지하며 인
[더구루=김형수 기자] CJ ENM의 예능 프로그램 2편이 유럽방송연맹(EBU)이 주관하는 TV·오디오 프로그램 어워드 최종 후보에 올랐다. K-콘텐츠로는 유일하다. 14일 유럽방송연맹에 따르면 CJ ENM '너의 목소리가 보여10(이하 너목보10)'와 '2억9천:결혼전쟁(이하 결혼전쟁)'이 '로즈도르어워드 2023'(Rose d’Or Awards 2023)에서 각각 스튜디오 엔터테인먼트 부문과 경쟁 리얼리티 부문 후보에 올랐다. 62년 역사를 자랑하는 로즈도르어워드는 유럽방송연맹이 주관하고 △우수성 △독창성 △창의성 등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수상작을 선정한다. 올해의 경우 전세계 30개국에서 700개 이상 작품이 출품됐다. 오는 27일 영국 런던에서 개최될 시상식에서 최종 수상작이 발표될 예정이다. 너목보10은 △직업 △나이 △노래 실력 등을 숨긴 미스터리 싱어들 사이에서 얼굴을 비롯한 몇몇 단서를 바탕으로 실력자와 음치를 가리는 음악 추리쇼다. 지난 2015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방송됐으며, 영국을 비롯해 △프랑스 △독일 등 약 30개국에 판매 및 리메이크됐다. 음악이라는 보편적 소재를 활용한 심플한 포맷이 언어와 문화장벽을 뛰어넘어 전 세계적 흥행을 거
[더구루=홍성일 기자]국제논스크립트콘텐츠협회(International Non-Scripted Content Association, 이하 INSCA)는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논스크립트 콘텐츠(Non-scripted Content)에 대해 논의하는 '국제 논스크립트 콘텐츠 포럼'을 10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서울시 동작구 흑석동에 위치한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중앙아트홀에서 개최되는 논스크립트 콘텐츠 포럼은 논스크립트 콘텐츠 분야의 연구와 발전을 촉진하며 K-콘텐츠 산업 활성화를 위한 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포럼은 박양우 INSCA 회장의 기조 연설로 시작해 국내외 콘텐츠 전문가들이 모여 총 3개의 섹션으로 진행된다. 첫 번째 섹션은 'K-포맷의 세계화를 향하여'라는 주제로 진행되며 정덕현 문화 평론가가 모더레이터를 맡았다. 주요 연사로는 △President and founder of Mount Royal Films LLC의 Adam Steinman 대표 △Breakthrough Now Media의 Rosemond Perdue 대표 △요시모토 뮤직엔터테인먼트 코리아의 김진중 대표 △'복면가왕' 작가인 박원우 디턴 대표가 참석한다. 두 번째 섹션은 '
[더구루=한아름 기자] CJ CGV가 아제르바이잔 스크린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CJ CGV의 자회사인 CJ포디플렉스(CJ 4DPlex)가 아제르바이잔 '시네마 플러스'와 손잡고 스크린X 상영관을 첫 개장한다. CJ CGV는 2025년까지 글로벌에서 4DX를 868개로, 스크린X를 618개로 늘릴 계획이다. 시네마 플러스는 9일 아제르바이잔 수도인 바쿠의 28몰에 스크린X 상영관을 오픈한다. CJ포디플렉스 스크린X 상영관이 아제르바이잔에 개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8일 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열린 메타 시네마 포럼(META Cinema Forum)에서 공식 발표했다. 시네마 플러스는 CJ포디플렉스의 시장성이 높다고 판단, 파트너십을 체결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행사에는 김종렬 CJ포디플렉스 대표와 자우르 다랍자데(Zaur Darabzadeh) 시네마 플러스 이사회 의장, 무라트 캄치(Murat Camci) 시네마 플러스 대표 등이 참석했다. 세나마 플럭스 스크린X 상영관에서는 워너브라더스의 기대작 '아쿠아맨:로스트 킹덤'(Aquaman:The Lost Kingdom)이 개봉될 예정이다. 스크린X 기술은 관람객의 몰입도를 극대화
[더구루=한아름 기자] CJ ENM 홍콩이 대만 방송사 등과 협력해 콘텐츠 펀드를 조성한다. 중국 표준어(만다린어)를 기반으로 한 콘텐츠를 제작해 글로벌 스트리밍 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선다는 계획이다. 전 세계에서 만다린어를 사용하는 인구 수는 11억1900만명에 달하는 만큼 수요가 크다는 분석에서다. 8일 대만크리에이티브콘텐츠페스티벌(TCCF) 운영조직위원회에 따르면 CJ ENM 홍콩이 대만콘텐츠진흥원(TAICCA), 대만통신사 FET, 대만방송국 'TVBS'과 콘텐츠 공동 제작·배급을 위한 콘텐츠 펀드 조성 관련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MOU는 지난 7일 TCCF에서 발표됐다. 이날 마이클 정 CJ ENM 홍콩 대표와 옴므 차이(Homme Tsai) TAICCA 회장, 게리 차이(Gary Tsai) FET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최고운영책임자(COO), 쉬나 리우(Sheena Liu) TVBS 대표 등이 참석했다. 만다린어 사용자를 위한 유망한 프로젝트를 발굴·제작·배급 등 함께 모색하기로 했다. 각사 미디어 네트워크와 마케팅에도 협력할 방침이다. 다만 펀드 규모나 운용 주체에 대해서는 아직 미정으로, 내년 발표될 예정이다. CJ ENM은 글로벌…
[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넥스젠에너지(NexGen Energy Ltd, 이하 넥스젠)가 연방 정부 허가를 받아 조만간 우라늄 생산에 들어간다. 생산 초기 전세계 우라늄 생산량의 23%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만반의 준비를 통해 생산을 준비한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캐나다 CBC방송에 따르면 닉 에스펜버그(Nick Espenberg) 넥스젠 광산 기술 서비스 담당은 지난 28일(현지시간) 인터뷰에서 락 원 프로젝트(Rook I Project)의 진행 상황에 대해 "캐나다 원자력안전위원회와 연방 승인 절차를 밟고 있다"며 "내년 말까지 공청회를 마무리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어 "모든 승인이 완료되면 2020년대 안에 우라늄 생산이 시작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락 원 프로젝트는 캐나다 서스캐처원주 라 루체 지역에서 북쪽으로 130㎞ 떨어진 곳에 우라늄 광산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넥스젠은 지분 100%를 보유했다. 환경영향평가를 진행해 지난 9일 서스캐처원주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우라늄 프로젝트 중에서 현지 주정부의 허가를 받은 건 약 20년 만이다. 에스펜버그 담당은 락 원 프로젝트의 친환경성을 강조했다. 그는 "지하 광미(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CATL이 연내 인도네시아 배터리 통합 공급망 구축 프로젝트에 본격 착수한다. 광산 채굴을 시작으로 업스트림부터 다운스트림까지 현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선점, 글로벌 시장 1위 입지를 공고히한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인도네시아 하원(DRP)에 따르면 토토 누그로호(Toto Nugroho) 인도네시아 국영 배터리 코퍼레이션(IBC)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27일(현지시간) 열린 하원 광물에너지 분과위원회(Komisi VII) 청문회에서 "CATL은 내달 10일 니켈 광산 국영기업 '안탐(ANTM)'과 최종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라며 "업스트림을 시작으로 CATL의 전체 배터리 프로젝트가 공식적으로 시작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CATL은 자회사 CBL을 통해 업스트림 사업을 운영한다. 안탐과의 합작사 설립 주체도 CBL이다. 이 과정에서 안탐은 자회사 '섬베르다야 아린도(Sumberdaya Arindo)'가 관리하는 니켈 채굴권 지분 49%를 CBL 홍콩 자회사에 매각한다. 앞서 올 1월 안탐은 CBL과 조건부 주식매매계약(CSPA)과 조건부주주계약(SHA)을 체결하며 프로젝트에 신호탄을 쐈었다. <본보 2023년 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