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인도네시아에서 반둥공대(ITB)와 손잡고 인공지능(AI) 기반 차량 음성명령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양측은 1차 공동 연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며 올해에도 협업을 이어가기로 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인도네시아 생산법인(HMMI)은 ITB와 최근 1년간 음성명령 기술 공동연구를 공식적으로 마무리하고 향후에도 협업을 이어가기로 했다. 현대차는 지난 2023년 IBT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인도네시아 시장 특성에 최적화된 차량 음성 인식 기술 개발에 나섰다. 양측은 지난 1년간 수마트라에서 말루쿠·파푸아에 이르기까지 10개 민족에 걸친 약 1000명로 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집, 인도네시아 각지에서 수집된 다양한 방언과 억양의 음성 데이터를 분석했다고 연구 성과를 밝혔다. 양측은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 2차 연구를 진행, 협업을 이어가며 더 광범위한 언어·음성 데이터 확보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특히 인도네시아 내 다양한 민족과 방언을 정교하게 인식할 수 있는 음성명령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 목표다. HMMI는 반둥공대와의 협업을 지속하며 인도네시아형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 생태계 구축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베이징현대가 중국 최대 자동차 애프터마켓 플랫폼 ‘카이시(开思, CassTime)’에 입점한다. 정품 부품 인증 매장을 온라인으로 출범, 애프터서비스(AS) 경쟁력 강화를 통해 소비자 서비스를 강화하고 내수 판매 확대를 노린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베이징현대는 지난 20일 베이징 지역을 시작으로, 광둥·저장·화중·서남 등 중국 주요 지역에 카이시 인증 ‘정품 부품 플래그십 스토어’를 순차적으로 오픈한다. 카이시는 중국 전역 376개 도시에 걸쳐 100만 개 이상 정비업체와 연결된 기업 간 거래(B2B) 애프터마켓 플랫폼이다. 현재 플랫폼을 통해 매달 300만 대 이상의 차량에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7000개 이상의 공급업체가 입점해 있다. 특히 온라인 주문·정비 연계·정품 품질보증을 결합한 디지털 기반 유통 채널로 주목 받고 있다. 제조사 직영 또는 인증 방식의 AS서비스를 제공, 소비자 신뢰를 높이고 부품 유통의 투명성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베이징현대 입점은 단순한 온라인 유통망 확장에서 벗어나 전동화·지능화 시대에 대응하는 전략적 유통 구조 전환이라는 평가다. 베이징현대는 이번 카이시 입점을 계기로 중국 점유율을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 인도 국민차 '크레타(Creta)' 하이브리드가 출격한다. 현대차는 오는 2030년까지 총 26종의 신차를 인도 시장에 선보이면서 크레타 하이브리드를 전면에 내세운다는 방침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인도법인(HMIL)은 오는 2030년까지 총 26종 신차를 인도 시장에 선보인다. 특히 오는 2027년 목표로 크레타에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탑재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가솔린, 터보, 디젤, 전기 등 다양한 엔진 옵션으로 판매 중인 크레타는 하이브리드가 추가되며 총 5가지 파워트레인 라인업을 갖추게 된다. 신형 하이브리드 모델에는 현대차 코나 하이브리드에 적용된 1.6리터 가솔린 엔진 기반 시스템이 탑재, 최고출력은 약 141마력 수준이 될 전망이다. 크레타는 인도 베스트셀링 SUV 중 하나로, 지난 3월과 4월 연속으로 인도 전체 자동차 시장에서 월간 판매 1위를 기록했다. 이번 크레타 하이브리드 카드는 현지 전기차 수요 둔화와 더불어 현대차의 현지 판매 위축 등 부진에 따른 대응책으로 분석된다. 인도 정부는 최근 전기차 보조금을 축소하는 기조를 보이는 가운데, 현대차는 지난달 점유율이 13% 이하로 떨어지면서 최근
[더구루=김은비 기자] 베트남 자동차 시장이 지난 1분기 동남아 주요 5개국 중 성장률 '넘버1'에 올랐다. 상용차와 하이브리드 차량 수요가 크게 증가한데다 내수 경기 회복에 따른 완성차 브랜드의 적극적 판촉 전략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21일 베트남자동차제조협회(VAMA) 등에 따르면 지난 1분기(1~3월) 베트남 자동차 판매량은 11만8813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4% 두 자릿 수 성장한 수치로,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필리핀 등 동남아 주요 5개국 가운데 성장률 1위다. 구체적으로 상용차와 트럭이 각각 1만5445대, 1만3400대 판매됐다. 전년 대비 각각 22%와 21% 증가했다. 하이브리드 차량 판매가 80% 급증한 것도 한 몫했다. 특히 같은 기간 동남아 전체 판매량이 1.7% 감소했다는 것을 감안했을 때 괄목한 만한 성과로 평가된다. 지난 1분기 동남아 전체 판매량은 73만2898대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동남아 최대 자동차 시장인 인도네시아의 경우 21만5160대를 기록, 4.6% 감소했다. 이어 △말레이시아 7.4%(18만8100대) △태국 7.0%(15만3193대) 감소했다. 다만 필리핀(11만7074대)의 경우 7%
[더구루=홍성일 기자] 장애를 가진 미국의 한 크리에이터가 테슬라 사이버트럭의 자율주행기능 FSD(Full Self Driving)를 극찬하는 영상을 업로드해 눈길을 끌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업계에 따르면 86핸즈(86hands)라는 영상 크리에이터는 테슬라 엑스(X, 옛 트위터)에 FSD 사용 모습을 공유하고 "손 없이 태어났지만 FSD 덕분에 인생이 바꼈다"며 "감사하다(thank you)"라고 밝혔다. 86핸즈의 영상은 테슬라가 진행하고 있는 FSD 체험 영상 모집 이벤트에 업로드 되며 공개됐다. 테슬라는 18일(현지시간)부터 테슬라 이용자에게 운전 중 FSD의 도움을 받는 모습을 담은 영상을 공유받고 있다. 업로드된 영상에는 86핸즈가 사이버트럭에 탑승해 FSD를 사용하는 모습이 담겼다. 86핸즈는 선천적으로 팔과 손에 기형을 가지고 태어난 장애인이다. 그는 장애를 이겨내고 놀라운 게임 솜씨를 선보여 172만명의 유튜브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기도 하다. 86핸즈는 영상을 통해 FSD 외에도 사이버트럭에 탑재된 스티어 바이 와이어와 후륜 조향 기능에 대해서도 고평가했다. 스티어 바이 와이어는 운전자의 조향 명령을 전기 신호로 변환해 방향을 제어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 북미법인여성 임원 2명이 ‘북미 자동차 업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 100인’에 이름을 올렸다. 이는 현대차가 역량 있는 여성 리더를 지속적으로 육성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한편 리더십의 다양성과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하는 사례로 평가된다. 20일 현대차 미국판매법인(HMA)에 따르면 클라우디아 마르케스(Claudia Márquez) 최고운영책임자(COO)와 올라비시 보일(Olabisi Boyle) 상품기획 및 모빌리티 전략 담당 부사장은 ‘2025 북미 100대 여성 자동차 리더(100 Leading Women in North American Auto Industry)’ 시상식에서 나란히 수상했다. 이들 모두 2회 연속 선정됐다. 이번 시상은 미국의 대표 산업 전문지 '오토모티브 뉴스(Automotive News)'가 주관하는 행사로, 북미 자동차 업계에서 높은 성과를 거둔 여성 임원 100인을 5년 주기로 선정하고 있다. 마르케스 COO는 현대차 미국 사업을 총괄하며 운영 효율화와 성장 전략을 주도한 공로로 선정됐다. 과거 제네시스 북미 COO로 재직하며 단독 매장 확대와 고객 중심 브랜드 경험을 강화하는 한 한국 고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글로비스가 미국 캘리포니아주 어바인에 5층 규모 사옥을 마련했다. 임대차 계약 만료 시점에 맞춰 기존 건물을 300억원에 직접 매입했다. 미국 내 안정적인 사업 운영과 성장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20일 미국 부동산 중개업체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등에 따르면 현대글로비스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어바인시 본 카먼가에 위치한 연면적 1만2000㎡ 규모 건물을 매입했다. 거래 가격은 2210만 달러 (한화 307억원)에 달한다. 현대글로비스의 기존 임대 계약은 지난 4월 만료됐다. 이번 부동산 매입은 임대 계약 종료 시점과 맞물려 신속하게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어바인에 현지 법인 본사를 두고 미국 사업을 확장해 온 현대글로비스는 이번 사옥 마련을 통해 미국 시장에서의 장기적인 성장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게 됐다. 현대글로비스가 인수한 건물은 지난 1999년에 완공됐으며, 특히 매입 가격은 1㎡ 당 250만원 수준으로 비교적 적절한 가격에 거래가 이뤘다는 분석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글로비스의 미국 사옥 매입은 단순한 부동산 매입을 벗어나 미국 시장에서의 장기적인 사업 확장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사옥 확보를 통
[더구루=정예린 기자] 기아가 중국에서 전기차 충전도어 개폐 기술에 대한 특허를 확보하며 충전 편의성과 안전성 향상에 나섰다. 기술 역량 강화를 통해 현지 시장에서 기아 브랜드의 실용성과 제품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9일 중국 국가지적재산권국(CNIPA)에 따르면 CNIPA는 장쑤위에다기아(KCN)의 '전기차 충전도어의 개폐장치(특허번호 CN119975024A)'라는 제목의 특허를 지난 13일(현지시간) 승인했다. 올 2월 출원한지 3개월여 만이다. 해당 특허는 충전 도어가 단순히 한 번에 열리는 기존 방식과 달리, 회전과 슬라이딩을 결합한 2단계 방식으로 개폐가 이뤄지는 구조다. 먼저 도어가 한 차례 회전한 뒤, 옆으로 미끄러지듯 열리도록 설계됐다. 도어가 열릴 때 차량 외부로 돌출되는 범위를 최소화하고, 충전 중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했다는 게 장쑤위에다기아의 설명이다. 충전도어는 전기차 충전 단자를 보호하는 덮개 역할을 하며, 주유구 뚜껑처럼 차량 측면에 부착돼 있다. 기존 방식은 도어가 한쪽으로 열리며 충전 케이블과의 간섭이 생기거나, 주차 공간이 협소한 경우 벽면에 부딪히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장쑤위에다기아는 도어가 연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지난달 베트남 자동차 판매 순위에서 토요타에 밀려 '2위'에 그쳤다. 올들어 4개월 연속이다. 다만 현대차는 등록비 100% 면제 등 파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1위를 탈환한다는 각오다. 19일 베트남자동차제조업협회(VAMA) 등에 따르면 현대차 베트남 합작사 현대탄콩은 지난달 베트남에서 총 4470대를 판매, 브랜드 판매 순위 2위에 그쳤다.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라인업이 전체 판매를 견인했다. 크레타는 1059대가 판매되며 현대차 판매 모델 중 가장 많이 팔렸다 이어 △엑센트(568대) △투싼(506대) △스타게이저(333대) △그랜드 i10(325대) △베뉴(224대) 등도 한 몫했다. 지난달 베트남 시장 판매 1위는 토요타로, 총 5566대를 판매했다. 점유율은 13.4%로 집계됐다. 현대차에 이어 3위는 포드(3997대)가 차지했다. 점유율은 9.6%를 기록했다. 이어 △마쓰다(2736대) △혼다(2142대) △기아(2055대) △미쓰비시(2038대) 순으로 이어졌다. 현대차가 향후 신모델 출시와 현지 마케팅 강화 전략을 통해 1위 탈환한다는 방침이다. 5월 한 달간 특별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운영, 이달까지 등록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지난달 호주 자동차 시장에서 5위를 기록, 연초 대비 한 계단 상승했다. 반면 기아는 4위에 머물렀다. 호주 시장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HEV)에 대한 정부 면세 혜택이 축소되면서 8개월 만에 다시 하락세였으나 현대차·기아는 상대적으로 선방했다는 평가다. 19일 호주연방자동차산업협회(FCAI)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달 호주 시장에서 총 5547대를 판매, 브랜드 순위 5위에 올랐다. 점유율은 6.1%를 기록했다. 전년 동월 대비 7% 오른 수준으로, 현대차는 호주 '톱5' 브랜드 중 유일하게 판매량이 증가했다.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코나가 판매를 견인했다. 1605대 판매되며 베스트 소형 SUV 차량으로 뽑혔다. △i30(790대) △스타리아(스타리아 로드 포함, 270대) △i20N(84대)과 등 현지 전략 모델도 한 몫했다. 기아는 같은 기간 6303대(점유율 6.9%)를 판매 4위를 유지했다. 전년 동월 대비 5.3% 감소했다. 스포티지가 1701대 판매, 베스트 셀링 차량 7위에 오르며 순위 하락을 방어했다. 1만9380대를 판매한 토요타가 1위를 차지했다. 점유율은 21.2%를 기록했다. 포드가 73
[더구루=김은비 기자] 지난달 중국과 유럽 순수전기차(BEV) 시장은 성장세를 이어간 반면 북미는 관세 정책에 발목이 잡혀 판매 감소세로 전환됐다. 17일 로 모션(Rho Motion)에 따르면 지난 4월 글로벌 순수전기차(B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PHEV) 판매량은 150만 대에 달했다. 특히 중국 시장은 정부의 적극적인 소비 촉진 정책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32% 급증한 90만 대를 판매, 글로벌 성장을 견인했다. 찰스 레스터 로 모션 애널리스트는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들은 해외 시장에서 PHEV 수요 증가에 적극 대응하는 한편, 중국 내 BEV 모델 판매를 꾸준히 늘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유럽 역시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친환경차 전환 노력과 EU의 CO2 감축 목표에 따라 신차 등록 대수가 35% 증가한 30만대를 기록했다. 특히 폭스바겐 등 현지 완성차 브랜드가 친환경 모델 전환에 속도를 내면서 테슬라 판매량을 크게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레스터 애널리스트는 "테슬라가 인기 모델 Y의 업그레이드를 준비하는 동안 시장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잃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북미 시장은 5.6% 감소한 10만대에 그치며 지난
[더구루=정등용 기자] 현대자동차가 호주에서 신차 보증 기간을 늘렸다. 현지 자동차 판매 순위 톱3로 도약하기 위한 승부수로 평가된다. 18일 현대차 호주판매법인(HMCA)에 따르면 신차 보증 기간이 기존 5년에서 7년으로 연장된다. 올해 1월 1일 이후에 차량을 구매한 고객까지 소급 적용된다. 이번 조치는 닛산과 미쓰비시가 제공하는 업계 최고 수준의 10년 보증 기간에는 다소 미치지 못한다. 다만 일본 업체들의 경우 공식 딜러를 통해서만 제공되며 20만~30만km의 거리 제한도 있다. 호주 기아의 경우 이미 지난 2014년 7월부터 7년 신차 보증 기간을 제공하고 있다. 현대차는 이번 조치로 기아와의 판매량 격차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판매량을 보면 현대차는 전년 동기 대비 3.5% 증가한 2만3833대를 기록했다. 기아, 포드, 마쓰다, 토요타에 이어 전체 5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기아는 같은 기간 2만6037대의 판매량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한 수치다. 현대차보다 약 2000여대 더 팔았따. 현대차는 지난 3월 호주법인장을 돈 로마노 전 캐나다법인장으로 교체하며 현지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
[더구루=김은비 기자] 테슬라 고성능 전기 SUV 모델 ‘모델 Y 퍼포먼스’의 신형 프로토타입이 시험 주행중인 모습이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포착됐다. ‘주니퍼(Juniper)’ 디자인이 적용된 첫 퍼포먼스 트림으로, 연내 출시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시장의 기대감을 끌어올리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일 미국 전기차 전문 매체 일렉트렉(Electrek)에 따르면 모델 Y 퍼포먼스로 추정되는 프로토타입 차량이 테스트 주행 중인 모습이 캘리포니아 팔로알토에 위치한 테슬라 엔지니어링 본사 인근 도로에서 목격됐다. 이번에 포착된 차량은 전면 위장막이 씌워져 있었으나 실루엣과 휠 사양, 브레이크 구성을 통해 모델 Y 퍼포먼스임을 식별할 수 있다. 퍼포먼스 트림 전용인 플래드(Plaid) 20인치 휠과 대형 레드 브레이크 캘리퍼가 적용돼 있다. 이번 테스트 차량이 공개되면서 해당 트림 출시가 임박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테슬라는 지난 1월 모델 Y의 페이스리프트 버전인 ‘주니퍼’를 공개했으나 퍼포먼스 트림은 초기 라인업에 포함되지 않아 주문이 중단된 상태였다. 이번 신형 모델 Y 퍼포먼스는 외관뿐만 아니라 파워트레인, 배터리 효율 측면에서도 업그레이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키옥시아가 차량용 반도체 시장을 겨냥해 유니버셜플래시메모리(UFS) 4.1 규격을 지원하는 내장형 낸드플래시 메모리 샘플링을 개시했다. 키옥시아는 미래 자동차 시장에 인공지능(AI)과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중요해지는 만큼 차량용 고성능 메모리의 필요성도 더욱 커질 것으로 보고있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키옥시아 아메리카는 8세대 3D 낸드 기술 'BiCS 플래시(BiCS FLASH)' 기반 차량용 UFS 4.1 임베디드 메모리 디바이스의 샘플링을 시작했다. 용량은 △128GB △256GB △512GB △1TB로 구성됐다. 키옥시아는 해당 제품에 대해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텔레매틱스 등 다양한 차량 내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도록 설계됐다고 설명했다. 키옥시아는 UFS 3.1에서 4.1로 업그레이드되면서 순차 읽기와 순차 쓰기 성능은 각각 2.1배, 2.5배가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임의 읽기와 임의 쓰기 성능은 각각 2.1배와 3.7배가 좋아졌다. UFS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같은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고속 내장형 저장장치 규격이다. 최신 버전인 UFS 4.1은 고속 데이터 처리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