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아마존 최고경영자 제프 베이조스가 설립한 민간 우주개발업체 블루오리진(Blue Origin)이 미항공우주국(NASA, 나사) 달 착륙선 개발사업에 재도전 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가 세운 블루오리진이 핵심 인력의 이탈로 곤경에 처했다. 미 항공우주국(NASA·나사)의 달 착륙선 수주 경쟁에서 패배한 후 후폭풍이 커지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블루오리진 직원 17여 명이 올해 여름 회사를 떠났다. 엔지니어 니틴 아로라(Nitin Arora)와 라우렌 라이언스(Lauren Lyons)는 각각 스페이스X와 파이어플라이 에어로스페이스로 이직했다. 블루오리진의 6인승 로켓 뉴셰퍼드(New Shepard)와 재사용 발사체 뉴 글렌(New Glenn), BE-7·BE-4 엔진 등의 개발·테스트 등을 맡은 엔지니어, 재무 담당자, 프로젝트 관리자가 사임했다. 특히 이번 인력 이탈은 블루오리진이 나사로부터 달 탐사 프로젝트 계약을 따내지 못한 후 급속도로 이뤄졌다. 나사는 2024년을 목표로 인류를 달에 보내는 '아르테미스 프로젝트'를 추진해왔다. 민간 달 착륙선 사업자로 블루오리진과 스페이스X, 방위업체 다이내틱스를 평가해왔다. 1년간의 검토 끝에 스페이스X를 최종 사업자로 선정했다. 블루오리진은 나사를 상대로 소송도 진행 중이다. 지난달 미국 회계감사국(GAO)에 항의했다. 기각 결정이 나자
[더구루=길소연 기자] 글로벌 유통기업 아마존 창업자가 세운 민간 우주개발기업 블루오리진과 미국 민간 우주개발업체 스페이스X가 항공기 전문업체 보잉에서 해고된 엔지니어 모시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보잉을 떠난 수백명의 직원이 미국 우주개발기업 스페이스X와 블루오리진으로 이직하고 있다. 보잉은 737맥스 여객기 문제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여객 수요 감소로 적자에 빠지자 대규모 인원 감축을 단행하고 있다. 올해는 2만3000명의 직원을 해고할 예정이다. 보잉의 인원 감축은 작년부터 이어졌다. 작년 초부터 3200명 이상의 엔지니어와 기술 직원이 보잉의 기지를 떠났다. 떠난 직원 중 1100명의 보잉 직원은 블루오리진에서 일하고 있으며, 200명은 스페이스X으로 직장을 옮겼다. 이번 해고 엔지니어들 추가로 블루오리진과 스페이스X로 갈수 있다는 얘기다. 블루오리진과 스페이스X가 보잉의 엔지니어 모시기에 나선 건 둘다 우주시대를 맞이해 우주관광을 준비하고 있어서다. 우주 로켓을 발사하기 위해서는 항공기 엔지니어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유통공룡' 아마존의 창업자이자 세계 최고 부자인 제프 베이조스가 소유한 민간 우주개발기업 블루오리진(Bl
[더구루=정예린 기자] 리비안이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의 우주 여행에 등장했다. 출시 예정인 전기차가 로켓 발사와 귀환 과정 곳곳에 쓰이면서 '로켓 택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20일(현지시간) 베이조스의 우주 탐사 기업 '블루 오리진'이 생중계한 비행 전 과정에는 리비안의 전기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 R1S와 전기 픽업트럭 R1T의 모습이 포착됐다. 베이조스를 비롯한 탑승자들은 블루 오리진의 로켓 발사대까지 R1S를 타고 이동, 약 30~60초간 R1S가 영상에 등장했다. R1S의 루프랙에 물건을 싣는 모습이 담기기도 했다. R1S 외에도 착륙장 곳곳에서는 다수의 R1T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날 생중계는 약 300만 회에 달하는 조회수를 기록했다. 수백만 명을 대상으로 공짜 홍보를 한 셈이다. 리비안의 등장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4월에도 블루 오리진이 공개한 로켓 캡슐 시험 영상에서 두 대의 R1T가 캡슐을 회수하는 장면이 공개됐다. 당시 베이조스가 R1T를 직접 운전하기도 했다. 리비안은 아마존과 설립 초기부터 긴밀한 협력 관계를 이어오고 있다. 아마존은 지난 2019년 7억 달러 규모의 펀딩 라운드를 주도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차 인도법인의 성공적 증시 데뷔 이후 글로벌 완성차 업계에 ‘인도 IPO 바람’이 불고 있다. 이번에는 세계 최대 자동차 메이커 토요타가 인도 자회사 기업공개를 추진, 최대 8억 달러 자금 확보에 나설 전망이다. 현대차에 이어 토요타까지 가세하면서 인도가 새로운 글로벌 완성차 'IPO 격전지'로 부상하고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너지부(DOE)가 오클로와 엑스에너지, 테레스트리얼 에너지 등 소형모듈원전(SMR) 기업을 첨단 핵연료 시범 사업자로 선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