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반도체 장비업체 '사이캐리어(SiCarrier)'가 네덜란드 ASML 장비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 중인 첨단 리소그래피 장비가 공정 복잡성과 낮은 수율 문제로 현실적인 한계에 직면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미국의 대중국 첨단 장비 제재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기술적 제약으로 인해 중국의 반도체 자립 전략에 제동이 걸릴지 관심이 쏠린다. 16일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사이캐리어 장비는 DUV(심자외선) 노광과 SAQP(Self-Aligned Quadruple Patterning, 자기 정렬 4중 패터닝)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SAQP는 한 번에 구현하기 어려운 미세 회로를 여러 단계로 나누어 겹쳐 그리는 방식으로, 공정이 복잡하고 미세한 오차가 누적되면 결함률이 높아져 생산 수율이 낮아지는 구조적 한계를 가진다. 업계에서는 SAQP 기반 DUV 방식이 이론적으로는 선폭을 줄일 수 있지만, 패턴을 여러 번 반복해야 하는 특성 때문에 공정 난도가 급격히 올라간다고 분석하고 있다. 기존 DUV 장비는 한 번의 노광으로 패턴을 형성하는 반면 SAQP는 네 번 반복해 선로를 촘촘히 만들기 때문에 작은 오차도 누적될 가능성이 크다. 결
[더구루=김예지 기자] 삼성전자 칠레 법인이 칠레 국민들이 가장 신뢰하는 조직 순위에서 칠레 소방국 다음으로 2위를 차지했다. 민간 기업 중에서는 단연 가장 높은 순위로, 삼성전자가 현지 시장에서 구축한 탄탄한 신뢰 기반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15일 삼성전자 칠레법인에 따르면 'ICREO 2025 신뢰도 지수' 조사에서 전체 2위를 기록했다. 조사는 18세에서 70세 사이의 소비자 2815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정직성 △투명성 △책임감 △공감 △지지 △친밀감 등 5가지 핵심 축을 기준으로 총 316개 브랜드의 신뢰도를 평가했다. ICREO 보고서는 "오늘날 브랜드에 대한 신뢰는 투명성과 책임에서 비롯된다"고 분석했다. 삼성전자는 이러한 흐름에 맞춰 갤럭시 AI(Galaxy AI), 비전 AI(Vision AI), 비스포크 AI(Bespoke AI) 등 인공지능 기술을 사용자 중심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개인정보 보호와 데이터의 책임 있는 활용을 우선시하며, 혁신 기술을 통해 실질적인 신뢰와 공감을 쌓아가고 있다는 평가다. 이러한 AI 솔루션들은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와 데이터의 책임 있는 활용을 최우선으로 하며, 단순한 혁신을 넘어 실질적인 공감과 편의성
[더구루=정예린 기자] LX세미콘이 차량 내부 통신을 구현하는 시스템온칩(SoC) 핵심 기술을 확보했다. 기술 내재화를 바탕으로 미래먹거리로 낙점한 자동차 반도체 사업 확장에 탄력이 붙고 있다. 14일 반도체 지적재산권(IP) 기업 '캐스트(CAST)'에 따르면 LX세미콘은 최근 캐스트가 보유한 자동차용 통신시스템 ‘캔 버스(CAN bus)’ 컨트롤러 IP 코어를 라이선스했다. 해당 특허는 LX세미콘이 진행 중인 차량용 칩 개발 프로젝트에 적용된다. LX세미콘이 도입한 통신 코어는 기존 차량용 통신 방식부터 최신 규격까지 모두 지원하는 확장형 제품이다. 시간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전송, 차량 소프트웨어와의 호환 최적화, 오류 감지, 통신 흐름 분석 등 차량 내부 네트워크 운영에 필요한 기능을 폭넓게 제공한다. 통신 보안 기능도 추가돼 신뢰성을 높였다. 특히 국제 안전 기준 ISO 26262에서 최고 단계인 ASIL D를 충족, 자율주행 보조 장치나 전기차 구동계, 차체 제어처럼 안전이 중요한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 LX세미콘은 새로운 설계 기술을 차량용 SoC에 적용해 전자제어장치(ECU), 센서, 액추에이터 등 차량 내부 주요 장치 간 통신 기능을 구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 TSMC가 인공지능(AI)과 고성능 컴퓨팅(HPC)을 위한 칩 수요에 힘입어 내년 첨단 5nm 이하 반도체 제조 공정의 가격을 최대 10% 인상한다. TSMC의 가격 인상과 공급량 제약이 가시화되면서 삼성전자 파운드리가 새로운 기회를 잡을지 주목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본 키옥시아가 소비자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신제품을 선보이며 개인용 저장장치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고속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엔트리급 선택지를 확대, 일반 PC 사용자들의 업그레이드 수요를 충족하고 브랜드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마이크론의 뉴욕 신공장 건설 일정이 일부 지연되면서 전체 캠퍼스의 풀 가동 시점이 5년 늦춰진다. 고성능 D램과 고대역폭메모리(HBM) 공급 계획에 변동이 예상, 삼성전자·SK하이닉스가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3강 구도를 깨고 경쟁 우위를 공고히 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더구루=김예지 기자] LG전자가 '워시타워(WASHTOWER)' 이름을 둘러싼 유럽연합(EU) 지식재산권 분쟁에서 경쟁사의 주장을 무력화하는 데 성공했다. LG전자는 경쟁사가 핵심 명칭을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차단하고, EU 시장에서 유사한 세탁·건조 통합 가전 제품 출시와 마케팅 전략을 제약 없이 펼 수 있는 길을 확보하게 됐다. 업계에서는 유럽 세탁·건조 통합 가전 시장에서 LG의 전략적 우위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13일 유럽연합(EU) 공식 법률 정보 데이터베이스 유르-렉스(EUR-Lex)에 따르면 유럽연합 일반법원(General Court) 제6법정은 LG전자가 EU 지식재산청(EUIPO)의 결정을 취소해 달라며 제기한 상표 무효 심결 취소 소송(사건번호 T‑252/24)에서 LG전자의 손을 들어줬다. 법원은 네덜란드 Washtower IP BV가 보유한 'WASHTOWER' 상표가 세탁기·건조기용 캐비닛 상품에 대해 설명적 성격이 강해 식별력이 없다는 LG전자의 주장을 받아들였다. 이에 따라 EUIPO 항소심이 인정한 기존의 '상표 유효' 판단은 뒤집혔다. 재판부는 문자 요소인 'WASHTOWER'가 상품 용도인 'Wash'와 형태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이노빅스(Enovix)의 AI 스마트폰용 실리콘 음극 배터리가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 아너(Honor)의 요구 조건을 충족하지 못했다. 실리콘 배터리 상용화에 차질이 우려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삼성물산이 건설한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s, 이하 TI)의 말레이시아 신공장이 문을 열었다. TI는 신규 공장과 기존 공장을 연계, 반도체 완제품 생산 능력을 극대화함으로써 공급망 안전성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엔비디아의 차세대 그래픽처리장치(GPU) '루빈(Rubin)'이 파일럿(시험) 생산 단계에 들어간 것으로 확인됐다. 내년 하반기 정식 양산과 출시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차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주 결과에도 이목이 쏠린다.
[더구루=김예지 기자] 삼성전자가 북미 지역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환자 참여(Patient Engagement)·디지털 사이니지 솔루션 분야 선두 기업 아세소 인터랙티브(Aceso Interactive, 이하 아세소)와 손잡고 병원 환경의 디지털 혁신(DX)에 속도를 낸다. 10일 아세소에 따르면 삼성전자 미국법인은 아세소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북미 병원·의료 시스템에 첨단 양방향 환자 관리 및 디지털 사이니지 솔루션을 공동 공급한다. 이번 협력은 삼성의 디스플레이 기술력과 아세소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결합해 환자 병실부터 공용 공간까지 아우르는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아세소는 삼성 상업용 헬스케어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타이젠(TIZEN) 및 삼성 의료용 엔터테인먼트 플랫폼(TEP) 운영체제의 공식 인증 개발사이다. 삼성 하드웨어에 최적화된 환자 참여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 통합 솔루션은 △환자 교육 △가상 진료 △엔터테인먼트 △직원 메시징 △시설 전반의 커뮤니케이션 등 헬스케어 현장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한다. 미국 북동부의 7개 병원 시스템은 이미 1000대 이상의 삼성 TIZEN 및 TEP 디스플레
[더구루=정예린 기자] 신성이엔지가 클린룸 핵심장비인 팬필터유닛(FFU)을 기반으로 데이터센터와 이차전지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중심의 기존 시장에서 축적한 공조 기술을 신산업에 접목하면서 성장세를 가속화하고, 글로벌 친환경 설비기업으로 입지를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10일 싱가포르 경제매체 ‘더월드폴리오(The Worldfolio)’에 따르면 이지선 신성이엔지 대표는 최근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FFU는 반도체와 클린룸의 핵심 장비이며, 2차전지 산업은 드라이룸을, 데이터센터는 대형 냉각시스템(Fan Wall Unit·FWU)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며 "이들 산업의 급성장이 드라이룸과 패널 유닛의 발전을 견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1977년 설립된 신성이엔지는 클린환경·에너지 설비 전문기업으로, 조선소 제습기 개발을 시작으로 1991년 국내 최초로 팬필터유닛(FFU) 국산화에 성공했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산업 성장과 함께 공조장비 국산화를 주도했으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주요 반도체 기업을 비롯해 글로벌 전자·에너지 기업에 클린룸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신성이엔지는 FFU를 기반으로 한 정밀 제어 기술을 발전시켜, 초저습
[더구루=홍성일 기자] 올 10월 전 세계 모바일 게임 시장에서 중국 게임사들이 매출 최상위권을 석권하며 초강세를 이어나갔다. 한국 게임의 경우 넷마블의 '세븐나이츠 리버스', 스마일게이트의 신작 '카오스 제로 나이트메어'가 성장세를 보이며 두각을 나타냈다.
[더구루=김예지 기자] 제일기획(Cheil Worldwide) 인도법인의 최고운영책임자(COO) 만딥 샤르마(Mandeep Sharma)가 사임했다. 이는 최근 1년간 이어진 제일기획 인도법인 고위 경영진의 잇따른 퇴사 행렬 속 또 하나의 주요 이탈로 기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