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인도 시장에서 소형 SUV ‘베뉴(Venue)’ 풀체인지 모델을 내놓는다. 경쟁이 치열한 인도 준중형 SUV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한다는 포석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인도법인(HMIL)은 4일(현지시간) 풀체인지된 베뉴를 공식 출시한다. 현지에서 △타타 넥슨 △마루티 브레자 △마힌드라 XUV 3XO △토요타 어반 크루저 타이서 등과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신형 베뉴는 현대차 ‘크레타’에서 영감을 받은 디자인을 적용해 전면부를 대폭 손질하고, 2열 공간을 개선한 것이 특징이다. 기존보다 넓어진 그릴과 날카로워진 LED 헤드램프, 새롭게 다듬은 범퍼 디자인이 더해졌다. 전면부에는 분리형 램프와 슬림한 주간주행등(DRL)이 자리 잡아 크레타와 유사한 패밀리룩이 한층 강조될 것으로 보인다. 뒷좌석 공간 활용도도 높아졌다. 레그룸과 헤드룸이 넓어졌으며, 일부 트림에는 슬라이딩·리클라이닝 기능도 적용된다. 트림에 따라 △듀얼 10.25인치 디스플레이 △앞좌석 통풍시트 △앰비언트 라이팅 △360도 카메라 등 고급 편의사양이 탑재될 전망이다. 엔진은 기존과 동일한 △1.2L 자연흡기 가솔린 △1.0L 터보 가솔린 △1.5L디젤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일본 주택업체 아임 유니버스와 손잡고 ‘전기차+주택’ 융합 라이프스타일 제안에 나섰다. 단순한 이동수단을 넘어 가정과 사회를 연결하는 새로운 역할을 부각, 경형 전기차 인스터(국내명 캐스퍼 일렉트릭)를 내세워 지속가능한 생활 패러다임을 선보인다. 3일 현대차에 따르면 일본법인 현대모빌리티재팬(HMJ)은 아임 유니버스와 최근 전기차+주택 결합 패키지 판매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현대차 인스터와 태양광발전·축전지를 갖춘 고성능 주택 ‘우디아(WOODIA)’를 결합한 상품이다. 가격은 △인스터 △태양광 발전 △저장 배터리를 포함, 7760만 엔(7억4000만 원)부터 시작된다. 시메기 토시유키 HMJ 법인장은 “EV가 단순한 이동수단이 아니라 주택의 일부, 제2의 거실 같은 존재가 되는 미래를 만들겠다”며 “고객의 생활을 풍요롭게 하는 새로운 도전”이라고 밝혔다. 이번 협약이 가능했던 데에는 현대 인스터가 탑재한 49kWh 대용량 배터리가 있다. 이 배터리는 정전 시 최대 4일간 가정 내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 차량과 주택 간 전력을 주고받는 V2H(Vehicle-to-Home)와 차량 배터리를 외부로 끌어 사용하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미국 조지아주 브라이언 카운티를 중심으로 교육 및 지역사회 공헌 활동(CSR)을 대폭 확대한다. 현대차는 수소 에너지 교육을 비롯해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프로그램, 역사·주거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투자를 이어가며 지역사회와의 동반 성장을 강화하고 있다. 3일 현대차에 따르면 미국 법인은 ‘현대 수소 무선조종(RC)카 프로그램’을 올해로 2년째 운영하며 규모를 확대한다. 이 프로그램은 H2GP(Hydrogen Grand Prix) 재단과 협력해 진행되는 것으로, 브라이언 카운티 고등학생들이 직접 수소연료전지 키트를 다루며 수소 에너지의 원리와 응용 기술을 체험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학생들은 팀을 꾸려 RC카를 제작·개선해 실제 경주 대회인 ‘조지아 수소 그랑프리’에서 경쟁하며, 재생에너지와 지속가능 모빌리티 개념을 실습 중심으로 배우고 있다.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올해는 총 16개 팀이 참여해 전년보다 규모가 커졌으며, 일부 학생 팀은 세계대회인 H2GP 월드 파이널(World Finals)에 출전해 글로벌 무대 경험까지 쌓았다. 현대차는 STEM 인재 양성을 위한 사회공헌 활동도 강화하고 있다. SAE 인
 
								[더구루=홍성일 기자] 볼보 그룹(이하 볼보)이 일부 경영진의 개편을 단행했다. 전동화와 지속가능성 등 미래 사업 전환을 가속하기 위한 포석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이달 베트남 시장에 새 단장을 거친 신형 쏘렌토를 투입한다. 더욱 세련되진 외장 디자인과 다양한 파워트레인을 앞세워 현지 소비자 공략에 나선다. 3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 신형 쏘렌토는 다낭 인근 꽝남성에 위치한 타코(THACO) 공장에서 조립을 마치고 공식 출시를 앞두고 있다. 현지 딜러들은 올해 초부터 사전 예약 접수를 시작, 이달 내에 본격적인 고객에 인도한다. 신형 쏘렌토는 전면부 램프·그릴 등 외관이 대폭 바뀌며 한층 현대적이고 세련된 이미지를 구현했다. 현행 모델과 동일하게 2.2L 디젤, 2.5L 가솔린, 1.6L 하이브리드·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등 3가지 엔진 옵션을 유지, 총 10개 트림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신형 쏘렌토는 기존 모델과 유사한 가격대에서 책정될 전망이다. 현재 쏘렌토는 9억5400만~13억9900만 동(5300만 원~7800만 원)부터다. 기아는 신형 쏘렌토 출시를 계기로 베트남 대형 SUV 시장에서 토요타 포추너, 마쯔다 CX-8 등 경쟁 모델과의 격차를 좁히며 판매 확대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기아는 지난달 2126대 판매, 월간 판매 7위를 기록했다. 전년 동월 대비 21% 감소했다. 기아는 올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미국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시장에서 제너럴모터스(GM)를 앞지르며 우위를 공고히 하고 있다. 소형 SUV는 미국 승용차 시장의 핵심 경쟁 세그먼트로 꼽히는 만큼 이번 성과는 현대차·기아의 현지 경쟁력 강화를 입증하고 있다는 업계 평가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투싼과 기아 스포티지는 지난 상반기(1~6월) 총 20만482대를 판매했다. 이는 같은 기간 쉐보레 이쿼녹스와 GMC 테레인을 합산한 GM 판매량(16만2250대)보다 3만8232대 많은 수치다. 현대차·기아는 지난해 역시 총 36만7743대를 기록, GM(28만9830대)보다 7만7913대 앞섰다. 현대차·기아는 2021년 이후 매년 GM을 제치고 있다. 모델 별로는 현대차 투싼이 상반기 11만3310대, 기아 스포티지는 8만7172대를 판매했다. 같은 기간 쉐보레 이쿼녹스 판매량은 12만9889대, GMC 테레인은 3만2361대에 그쳤다. 현대차·기아의 약진 배경에는 상품성 강화가 꼽힌다. 두 브랜드는 날렵한 디자인, 고급화된 실내, 첨단 기술을 앞세운 풀체인지 모델을 속속 투입했다. 특히 하이브리드·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을 빠르게 선보이며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차 인도법인의 성공적 증시 데뷔 이후 글로벌 완성차 업계에 ‘인도 IPO 바람’이 불고 있다. 이번에는 세계 최대 자동차 메이커 토요타가 인도 자회사 기업공개를 추진, 최대 8억 달러 자금 확보에 나설 전망이다. 현대차에 이어 토요타까지 가세하면서 인도가 새로운 글로벌 완성차 'IPO 격전지'로 부상하고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이스라엘 자율주행자동차 기업 모빌아이(Mobileye)가 차세대 자율주행 기술인 '슈퍼비전'과 '쇼퍼', 로보택시 사업에 대한 청사진을 공개했다. 모빌아이는 기존 사업에서 확보한 자금을 기반으로 인간 개입이 배제된 완전 자율주행차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 수소트럭이 호주 도로에 최초로 달린다. 현대차가 호주에서 수소전기 트럭 엑시언트(Xcient)에 대한 1호 고객사를 확보, 현지 수소 상용차 보급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호주법인은 현지 산업용 가스업체 코어가스(Coregas)와 엑시언트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공급 차량 대수 등 계약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코어가스는 일본 닛폰산소 그룹이 대주주인 산업용 가스 제조·공급사로, 엑시언트를 통해 산업·의료·특수 가스 실린더를 운송할 예정이다. 도노반 로마노 현대차 호주법인장은 “수소트럭 엑시언트 호주 1호 고객사 확보는 새로운 이정표”라며 “수소 모빌리티가 개념과 시험 단계를 넘어 실제 현장 운행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말했다. 앨런 왓킨스 코어가스 총괄 역시 “현대차와의 협력은 청정에너지 전환을 앞당기는 동시에 산업계에 수소가 중대형 운송 탈탄소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입증하는 계기”라고 강조했다.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은 최대 400km 주행이 가능하며, 31kg 용량의 수소탱크(350bar)와 72kWh 연료전지를 장착해 180kW의 출력을 낸다. 충전 시간은 단 8~20분에 불과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인도 탈레가온 공장 가동을 본격 개시했다. 연간 17만대 생산 능력을 확보, 인도 ‘年 생산 100만대 시대'를 연다. 이를 통해 마루티스즈키·타타모터스·마힌드라 등 현지 강자와의 경쟁 구도에서 '굳건한 2위'로 자리잡는다는 방침이다. 현대차 인도법인(HMIL)은 지난 1일(현지시간)부터 마하라슈트라주 푸네 탈레가온 공장에서 본격적인 생산에 돌입했다고 인도증권거래소(NSE)를 통해 공시했다. 탈레가온 공장 초기 생산능력은 17만 대로, 첸나이 공장(연간 70만 대)과 합산하면 총 연간 87만 대 생산 역량을 가지게 된다. 현대차는 향후 생산 능력을 단계적으로 늘려 '연간 100만 대 생산 체제' 목표를 달성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차는 탈레가온 공장 가동을 차근차근 준비해왔다. 앞서 현대차는 지난 6월 탈레가온 공장에서 승용차용 엔진 생산을 시작한 바 있다. 이는 완성차 조립 생산 계획에 따른 선행 생산 단계에 속한다. <본보 6월 17일 기사 참고 현대차, 인도 탈레가온 신공장 엔진 생산 개시…100만대 시대 본격화> 특히 최근 인도 정부가 상품·서비스세(GST)의 대대적 개편에 나서면서 공장 가동과 더불어 판매가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중국 시장에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판매량이 전년 동월 대비 8% 증가하는 등 양호한 성적표를 받았다. 현대차는 내수와 수출을 동시에 끌어올리며 중국 반등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2일 중국승용차시장정보연석회(CPCA)에 따르면 현대차 중국 합작법인 베이징현대는 지난달 1만7871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8.0%, 전월 대비 19.0% 각각 증가한 수치다. 올 들어 1~9월 누적 판매는 14대1796대로 집계됐다. 현대차 실적은 투싼과 엘란트라(국내명 아반떼) 등 주력 차종이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합리적인 가격대와 실용성을 앞세운 주력 차종과 과 SUV 라인업이 요를 이끌었다. 현대차는 지난 5월부터 중국 호실적을 이어가고 있다. 4월 1만4964대에 머물렀던 판매량은 5월 1만8833대, 6월 2만1713대로 뛰었으며, 지난 7월에는 1만7761대를 판매했다. 7월 판매량의 경우 6월보다 다소 줄었으나 전년 동월대비 41.5% 두 자릿 수 상승, 전통적인 비수기임을 고려하면 여전히 의미 있는 성과라는 평가다. <본보 2025년 8월 5일 기사 참고 현대차 7월 中 판매 41.5% 증가…중국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지난달 인도 시장에서 SUV 모델과 수출에 힘입어 비교적 좋은 성적표를 받았다. 수출도 전년 대비 44% 증가, 인도공장이 글로벌 수출 허브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다. 다만 내수의 경우 마루티 스즈키와 타타모터스, 마힌드라에 밀려 '4위'에 그쳤다. 1일 현대차 등에 따르면 현대차 인도법인(HMIL)은 지난달 총 7만347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대비 10.0% 증가한 수치다. 내수 판매는 1% 증가한 5만1547대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44.0% 급증한 1만6500대로 집계됐다. 베뉴 등 SUV 모델 판매 비중은 역대 최고치 72.4%( 3만7313대)를 기록했다. 특히 베뉴는 1만1484대 기록,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올 들어 9월 누적 수출량은 전년 대비 17% 증가한 14만대에 달한다. 현대차는 지난 1998년 진출 이후 줄곧 2위를 지켜왔으나 상반기 타타모터스와 마힌드라에 밀려 내수 시장에서 수차례 3·4위를 기록한 바 있으나, 지난 8월 '2위'를 탈환하는 등 반등에 성공했다. 그러나 지난달 타타모터스와 마힌드라에 다시 밀려 4위에 그쳤다. 현대차는 오는 4일 신형 베뉴 출시와 적극적인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 반도체 업체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이 모바일 저전력 D램인 LPDDR5X 시리즈를 공식 출시하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경쟁사를 맹추격하고 있다. 미국의 고강도 수출 규제에도 불구하고 중국 메모리 기업들의 기술 자립화 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이 일본에서 파트너십 확대에 나섰다. 앤트로픽은 향후 서울과 인도 벵갈루루에서도 생태계 확장에 나설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