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글로벌 이동통신사 15곳이 브라질 5세대 이동통신(5G) 주파수 입찰에 출사표를 던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미뤄진 주파수 입찰이 시작되고 5G 상용화가 본격화되면서 화웨이의 행보에 이목이 쏠린다. 1일 코트라 브라질 상파울루무역관에 따르면 브라질 국가정보통신위원회는 5G 전용 주파수 대역 입찰에서 15곳으로부터 입찰 제안서를 받았다. 아르갈 텔레콤과 브라질 디지털 텔레콤, 클라로, 플라이 링크, TIM, Vivo 등이 참여했다. 당초 브라질 주요 통신사인 Oi도 참여가 예상됐으나 기업 회생 절차에 들어가 참가하지 못했다. 이번 5G 입찰은 세계 최대 규모다. 700㎒, 2.3㎓, 3.5㎓, 26㎓ 등 4개 주파수 대역이 입찰에 부쳐지며 이 중 3.5㎓, 26㎓가 5G 전용이다. 모든 주파수 대역이 낙찰될 시 5G 입찰 규모는 약 497억 헤알(약 10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브라질 정부는 오는 4일 입찰을 개시하고 제안서를 평가해 최종 사업자를 선정한다. 수주 업체는 5G 통신망에 사용할 장비 구매와 송전탑 설치를 맡는다. 낙찰받은 주파수 대역에서 20년간 사업을 할 수 있는 권리도 갖는다. 아울러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대형 투자은행(IB) 코웬이 최근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와 합병을 통해 미국 뉴욕증시에 입성한 배터리 제조회사 ESS에 대해 장밋빛 전망을 내놨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코웬은 ESS의 커버리지를 시작하면서 투자의견 '아웃퍼폼(Outperform·시장수익률 상회)'과 목표주가 '23.50달러(약 2만7650원)'를 제시했다. 토마스 보예스 코웬 애널리스트는 "풍력·태양열 등 저비용 재생에너지의 확산은 전 세계 전력망의 안정성과 복원력 문제를 야기했다"면서 "ESS의 철 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저렴하고 확장 가능성이 높은 기술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매우 적합하다"고 평가했다. 이어 "철 배터리는 폭발이나 화재 위험이 없는 동시에 넓은 온도 범위에서 작동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면서 "ESS의 시스템의 전해질로 쓰이는 철과 소금(나트륨), 물은 모두 저렴하고 공급량도 풍부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ESS의 목표주가는 동종업계 대비 50% 할인된 수준"이라며 "향후 제품 생산을 확대함에 따라 목표주가가 계속 오를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2일 현재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ESS의 주가는 18.26
[더구루=홍성환 기자] 전 세계 국가·기업들이 글로벌 수소 시장의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에너지장관을 맡고 있는 압둘아지즈 빈 살만 알-사우드 왕세자는 지난 24일(현지시간) 수도 리야드에서 열린 기후회의에서 "사우디아라비아가 세계 최대 수소 수출국이 되기를 원한다"면서 "자푸라 가스전에서 생산하는 천연가스 대부분을 블루수소를 생산하는 데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2030년까지 이웃 국가에 400만t의 블루수소를 수출하겠다"고 강조했다. 블루수소는 그레이수소 추출 때 발생하는 탄소를 포집·저장해 탄소 배출을 최소화해 생산하는 수소를 말한다. 세계 최대 규모 자푸라 가스전에는 약 61조㎥의 가스가 매장돼 있다. 사우디는 자푸라 가스전 개발을 위해 1100억 달러(약 130조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덴마크에서는 11개 기업이 그린하이스케일(GreenHyScale)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100㎿(메가와트)급 전기분해 플랜트를 포함하는 이 프로젝트는 알칼리 전기분해를 가속화해 그린수소의 대규모 생산을 목표로 한다. 그린수소는 태양광이나 풍력 등 재생 에너지에서 나온 전기로 물을 전기분해해 생산하는 수전해수소를 말
[더구루=정예린 기자]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자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차량 제어 방식이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변화함에 따라 IT 기업에 주도권을 내주지 않기 위해서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자동차 산업이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완성차 기업부터 IT 업체까지 차량 소프트웨어 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가장 주목받는 기업은 애플이다. 아이폰, 맥북, 아이패드, 애플워치 등 전자기기를 기반으로 견고한 iOS 생태계가 구축되어 있는 데다 차량 관련 소프트웨어까지 영향력을 넓혀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기존 IT 기술력을 토대로 전기·자율주행차인 '애플카' 개발 프로젝트 '프로젝트 타이탄'도 추진중이다. 애플은 지난 2014년 선보인 애플 카플레이(CarPlay)를 통해 차량 소프트웨어 분야에 첫 진출한 뒤 애플 카키(CarKey) 등 꾸준히 기술 발전을 이뤄왔다. 최근에는 기존 카플레이를 한 단계 발전시켜 자동차의 핵심 기능까지 제어할 수 있는 '아이언하트(IronHeart)' 프로젝트를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진다. 아이언하트 프로젝트는 iOS를 통해 차량의 좌석, 에어컨 조작은 물론 속도계, 차량 내부의 온도와 습도
[더구루=김도담 기자] 에너지 분야 거래정보기업 S&P 글로벌 플래츠(Global Platts)가 최근 배터리 원료 가격 급등으로 전기차 판매 둔화 가능성을 경고하고 나섰다. S&P플래츠는 최근 리포트에서 "배터리 금속 가격이 지금보다 더 오를 경우 전기차 판매가 둔화할 수 있다"고 전했다. S&P 글로벌 플래츠가 집계한 탄산리튬 가격은 올 1월 톤당 6000달러(약 700만원)였으나 지난 9월엔 2만2000달러(약 2600만원)로 8개월 새 약 3.7배 올랐다. 탄산리튬은 현재 자동차용 리튬 이온 배터리의 필수 소재다. 탄산리튬뿐 아니다. 또 다른 배터리 핵심 원료인 코발트나 니켈 등 가격도 올 들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전기차 판매 급증에 따라 핵심 원료의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주요국의 탄소배출 규제 강화로 전기차 수요 증가는 당분간 이어질 수밖에 없는 만큼 핵심 소재 부족 현상도 당분간 더 심화할 전망이다. 원자재 시장조사기업 벤치마크미네랄인텔리전스는 최근 올해는 올해는 리튬 공급이 약 1만t 부족한 수준이지만 2025년엔 부족량이 18만9000t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자연스레 배터리와 전기차도 가격도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경제매체 비즈니스인사이더는 글로벌 벤처캐피털(VC)이 꼽은 미래 전기차 혁명을 주도할 유망 스타트업 6곳을 소개했다. 비즈니스인사이더는 "전기차 대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배터리부터 재활용, 생산, 소프트웨어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산업이 필수"라며 "당연히 VC들도 이러한 흐름에 동참하기를 원한다"고 전했다.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올해 들어 전기차 스타트업에 대한 글로벌 VC의 투자 규모는 178억 달러(약 20조7400만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콧 브래디 이노베이션 인데버스(Innovation Endeavors) 파트너는 비즈니스인사이더에 "전기차는 물 밖으로 나온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며 이 산업에 필요한 모든 것은 실제로 물 속에 가려져 있다"고 강조했다. 이노베이션 인데버스는 에릭 슈미트 전 구글 최고경영자(CEO)가 만든 벤처펀드로 지난 6월 GS그룹이 이 펀드에 투자하기도 했다. 비즈니스인사이더가 이노베이션 인데버스를 포함해 총 6곳의 VC에 조사한 결과, △라일락 솔루션(Lilac Solutions) △노벨리스(Novelis) △스파이어스 뉴 테크놀로지스(Spiers New Technologies·SNT) △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정부가 4900여 개사를 강소기업으로 선정하고 막대한 지원을 퍼붓는다. 2025년까지 100억 위안(약 1조8410억원)을 쏟아 1000여 개로 확대하며 미국의 노골적인 중국 견제에 대응하겠다는 전략이다. 반도체와 전기차 배터리 등 '미래 먹거리'로 떠오르는 분야의 지원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24일 코트라 베이징무역관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지난달까지 총 세 차례에 걸쳐 4922개사를 '전정특신(專精特新) 작은 거인'으로 선정했다. 진정특신 작은 거인은 '전문화'(專), '정밀화'(精), '특징화'(特), '혁신'(新)을 갖춘 강소기업을 뜻한다. 시진핑 국가주석이 지난 7월 당 중앙정치국회의에서 강소기업을 육성하겠다고 선언하며 언급됐다. 중국 정부는 전정특신 중소기업과 전정특신 작은 거인, 챔피언 기업으로 나눠 세제 우대 등 다양한 지원책을 펼치고 있다. 선정 첫해 각각 최대 20만(약 3680만원), 50만(약 9210만원), 100만 위안(약 1억8430만원)의 장려금을 제공한다. 중국 정부는 2019년 5월 248개사를 발표한 후 이듬해 11월 1744, 올해 7월 2930개사로 규모를 점차 늘렸다. 총 4922개사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정부가 원전을 통한 청정 수소 생산에 본격적으로 나서며 두산중공업의 사업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에너지부(DOE)가 원전을 이용해 청정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을 상용화하고자 2000만 달러(약 240억원)를 지원한다. PNW 하이드로젠(PNW Hydrogen LLC)이 주도하는 애리조나 프로젝트가 지원 대상이다. 이 회사는 애리조나주 피닉스에 위치한 팔로 베르데 원전을 활용해 수소 생산을 추진하고 있다. 수소 6t으로 약 200MWh의 전력을 만들어 수요가 높은 시기에 공급할 계획이다. 아이다호 국립연구소와 DOE 산하 국립에너지기술연구소·국립재생에너지연구소, 전력연구소, 애리조나 대학, 지멘스, 엑셀 에너지 등 산학연과 협력한다. DOE는 원자력국을 통해 800만 달러(약 96억원), 수소연료전지기술사무국을 통해 1200만 달러(약 144억원)를 제공한다. 애리조나 프로젝트를 계기로 저렴한 수소 생산에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수소는 탄소 중립의 핵심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미국은 2022년부터 2026년까지 80억 달러(약 9조5680억원)를 쏟아 4개 이상의 수소 산업 허브를 조성하기로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캘리포니아주가 오는 '2035년 내연기관 신차 판매 단계적 금지'에 이어 '2030년까지 무공해 자율주행차 의무화'라는 이례적인 법안을 통과시켰다. 미국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자율주행 분야 관련 기업들의 셈법이 복잡해질 전망이다. 10일 코트라 등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오는 2030년 1월 1일부터 '자율주행차 무공해법'(SB 500, Autonomous vehicles: zero emissions)을 시행한다. 이 법은 캘리포니아 주의회(State Legislature)의 데이브 민(Dave Min) 상원의원(민주당)이 지난 2월 최초 발의한 법으로 지난 9월 23일 개빈 뉴섬(Gavin Newsom) 캘리포니아주 주지사가 최종 서명하며 발효가 확정됐다. 골자는 무공해 차량(Zero-emission vehicles)이 아닌 신규 자율주행차의 운행을 금지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캘리포니아주에서 운행되는 자율주행차는 모두 전기차 또는 수소연료전지차와 같은 무공해 자동차여야 한다는 뜻이다. 자율주행차 분야까지 무공해 기한을 부여한 것은 캘리포니아주가 최초다. 데이브 민 의원은 "지금까지 캘리포니아주는 우리가 직면한
[더구루=길소연 기자] '위드(with) 코로나시대'를 맞이해 미국에서 안경 산업이 성장하고 있다. 재택근무 연장으로 인한 온라인 회의, 온라인 수업과 과제 등으로 모니터 앞에 앉아 있는 시간이 늘어나자 시력저하로 인경을 택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9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스타티스트(Statista)에 따르면 미국의 안경(spectacles) 산업 규모는 지난해 91억3000만 달러에서 오는 2025년 139억400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특히 안경테(Eyewear frames)는 2020년 57억1000만 달러에서 2025년 101억6000달러 규모로 비약적으로 시장이 커질 것으로 예측됐다. 컴퓨터, 휴대폰, 태블릿PC 등 눈의 피로를 야기하고 시력에 악영향을 미치는 모니터에서 자유로워질 수 없자 시력 저하로 인한 안경을 택하는 것이다. 미국 의학협회 안과학회지(JAMA Ophthalmology)는 올해 1월 여러 연구 결과들을 통해 팬데믹이 초래하는 시력 저하 위험성에 대해 경고한 바 있다. JAMA은 최근 중국에서 팬데믹 기간 집에서 생활하는 어린이 12만 명 이상의 근시 비율을 조사한 결과 6세에서 8세 사이의 어린이들의 근시율 악화가 지난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증권당국이 상장 기업의 기후 리스크 공시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미국 증시에 상장돼 있는 우리 기업의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상장사의 협력업체로도 이에 대한 압박이 이어질 수 있어 무역장벽으로 작용할 우려도 나온다. 9일 코트라 미국 워싱턴무역관이 작성한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기후 리스크 공시 의무화 동향' 보고서를 보면 SEC는 올해 말까지 상장 기업이 기후 변화와 관련한 정량·정성적 리스크를 의무적으로 공개하도록 하는 규정을 발표할 예정이다. 관련 공시 정보는 △경영자의 기후 위기 절감 노력 △온실가스 배출 데이터 △지구 온난화에 따른 유무형·재정적 파급 효과 등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르면 내년부터 시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기업 활동으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을 어떤 기준으로 평가할 것이냐를 두고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통일된 평가 방식이 정착되지 않은 상황에서 개별 기업이 자율적으로 발표하면 데이터의 부정확성과 제도의 불공정성 등의 문제가 불거질 수 있어서다. 온실가스 배출은 △스코프1(기업의 생산․판매 등 직접적인 기업활동에서 발생하는 배출) △스코프2(기업이 사용·구매하는 에너지
[더구루=정예린 기자] 세계 주요 리튬 생산국 기업들이 국제 협회를 설립한다. 급성장하고 있는 리튬 산업계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공정 생태계 구축에 힘을 모은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칠레 SQM, 중국 간펑리튬, AMG브라질, 호주 오로코브레(Orocobre)·필바라미네랄스(Pilbara Minerals) 등 5개사는 최근 '국제리튬협회(International Lithium Association, 이하 ILiA)'를 출범했다. 창립회원사 5개 기업은 전 세계 리튬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ILiA는 기업 간 협의체이지만 향후 리튬 매장량이 풍부한 국가를 중심으로 조직이 확대돼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같은 역할을 할 지 주목된다. ILiA는 "리튬 생산자 등 이해관계자들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해 글로벌 발언권을 제공하고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기반 리튬 가치 사슬을 구축, 지속 가능하고 책임있는 미래를 촉진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모든 형태의 리튬 시장 보호·성장 △경쟁적이고 적절한 입법·규제 환경 조성 △안정적인 공급, 제품 관리, 책임있는 소싱·지속가능성에 대한 깊은 전문 지식을 갖춘 부문으로서 리튬 산업의 명성 홍보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반도체 기업 인텔과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대만 TSMC, 두 기업 수장이 전격 회동했다. 합작사 설립 논의가 속도를 낼 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25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립부탄 인텔 CEO와 웨이저자 TSMC 회장은 이번주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TSMC 연례 기술 컨퍼런스에서 만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립부탄 CEO는 24일 실적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TSMC는 우리의 아주 좋은 파트너로 설립자인 모리스 창과 웨이저자 CEO는 나의 오랜 친구"라며 "최근 만남에서 협력할 수 있는 분야를 모색했고 서로에게 도움일 될 수 있는 상황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고 밝혔다. 앞서 이달 초 양사 간 합작사를 설립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와 주목받았다. IT 전문 매체 디인포메이션은 두 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인텔과 TSMC 임원이 최근 합작 투자사 설립을 위한 예비 계약을 체결했다"고 보도했다. 인텔과 미국 반도체 기업이 합작사에 대한 대부분 지분을 보유하고, TSMC는 20%만 갖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웨이저자 회장은 지난 17일 실적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합작회사, 기술 라이선스, 기술 이전·공유
[더구루=길소연 기자] 파나소닉 에너지가 미국 전기 상용차 스타트업 '하빈저 모터스(Harbinger Motors, 이하 하빈저)'에 배터리를 공급한다. 테슬라 전기차에 배터리를 공급해온 파나소닉은 하빈저의 트럭과 밴에도 공급해 성능과 효율을 극대화한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업계에 따르면 파나소닉 계열사인 파나소닉 에너지는 하빈저의 중형 전기차용 공식 배터리 셀 공급업체로 선정됐다. 파나소닉 에너지는 하빈저의 모든 모델에 최신 2170 원통형 배터리를 공급한다. 지름 21㎜, 높이 70㎜인 원통형 2170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배터리 생산 능력을 현재 10% 가량 향상시킨다. 이로써 생산비용이 감소되고, 배터리 가격이 낮아진다. 테슬라의 전기차 모델3와 모델 Y에도 파나소닉의 2170 배터리가 탑재되고 있다. 파나소닉 에너지가 공급할 2170 배터리 셀은 업계 최고 수준인 800Wh/L(리터당 와트시) 이상의 에너지 밀도를 자랑하며, 트럭의 에너지 솔루션을 보장한다. 파나소닉 에너지가 일본에서 생산된 배터리 셀을 하빈저에 공급하면 하빈저의 독점 배터리 시스템에 통합돼 미국산 중형 전기차에 동력을 공급하게 된다. 파나소닉 에너지의 배터리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