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현대엔지니어링이 카자흐스탄 가스 플랜트 프로젝트의 초기 설계 작업을 수행할 예정이다. 올해 발주가 나올 본공사의 수주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카라차가낙 유전 운영사 카라차가낙페트롤리엄(KPO)은 3일(현지시간) "현대엔지니어링 컨소시엄이 천연가스 플랜트의 초기 엔지니어링 작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카라차가낙 유전 내에 연간 40억㎥ 규모의 처리 능력을 갖춘 천연가스 처리 공장을 건설하는 것이다. 사업비는 39억 달러(약 5조7000억원)로 추정된다. 오는 2029년 완공이 목표로, 연내 최종투자결정(FID)을 내릴 예정이다. 이후 본공사 발주가 이뤄진다. KPO은 카라차가낙 유전 개발을 담당하는 합작투자사다. 카자흐스탄 국영석유공사 카즈무나이가스를 비롯해 △에니 △셸 △쉐브론 △루코일 등 글로벌 에너지 기업이 출자했다. 카라차가낙 유전은 카자흐스탄 최대 유전지다. 국가 가스 생산의 49%, 원유 생산의 18%를 차지하고 있다. KPO는 "카라차가낙 유전 가스 플랜트 사업을 카자흐스탄의 에너지 자립에 있어 중요한 전략적 사업"이라며 "주주들은 국가 에너지 부문의 개발과 경제 성장, 모든 이해관계자의 지속가능한 혜택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카자흐스탄 석유·가스 시장 진출을 적극 추진 중이다. 작년 6월 카자흐스탄 국영석유가스공사 카즈무나이가스와 석유, 가스 및 화학 분야 협력관계 수립을 위한 협력계약(CA)을 체결했다. 카즈무나이가스 및 자회사 등이 추진하는 신규 가스처리 및 석유, 가스 생산시설 건설에 참여해 카자흐스탄 내 첫 화공플랜트 프로젝트 수주를 목표로 하고 있다. 중앙아시아 최대 산유국인 카자흐스탄은 원유 확인 매장량이 300억 배럴로 세계 12위(점유율 1.93%)다. 가스 확인 매장량은 세계 25위인 2조3000억㎥에 이른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제조업을 비롯해 통신·금융·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3일 코트라 중국 청두무역관의 '추격자에서 선도자 꿈꾸는 중국 AI 굴기'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중국 생성형 AI 시장 규모는 13조~14조 위안(약 2600~2800조원) 규모로 추산된다. 앞으로 10년간 매년 7.7% 성장해 2035년이 되면 30조 위안(약 5900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2035년 전 세계 생성형 AI 시장에서 중국이 35%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인터넷정보센터(CNNIC) 자료를 보면 2023년 기준 중국 생성형 AI 사용자는 전체 인구의 17.7%인 2억4900만명으로 집계됐다. 연령별로 20대가 41.5%로 가장 많았다. 이어 30대와 40대가 23.9%, 19.1%로 뒤를 이었다. 이들은 기존 검색 대신 생성형 AI로 회의록과 PPT, 코드 등을 작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중국의 생성형 AI 관련 기업은 4500여개에 달했다. 반도체·알고리즘·데이터·플랫폼 등 AI 산업의 핵심 산업 체인에 걸쳐 초보적인 생태계를 구축했다. 이들 핵심 산업 규모는 6000억 위안(약 120조원) 수준이다. 중국 생성형 AI 생태계는 바이두·알리바바·텐센트·바이트댄스·화웨이 등 플랫폼 대기업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들은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개발하는 등 공격적인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산업별로 보면 중국 제조기업은 생성형 AI를 활발히 활용하고 있다. 제품 설계 단계에서 AI가 다양한 디자인 시안을 신속하게 생성해 개발 기간을 단축하며, 생산 공정에서는 예측 유지보수와 품질 관리 자동화를 통해 불량률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신 분야에서는 생성형 AI가 네트워크 최적화와 고객 서비스 자동화에 적용했다. AI 기반 예측 분석을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장애 발생 시 빠른 대응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중국 금융업계에서 AI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처리해 사기 탐지, 신용 평가, 맞춤형 상품 개발 등을 지원하며, 투자 분석 보고서를 자동 생성해 의사결정의 속도를 높이고 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중국의 실리콘메탈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공급과잉이 이어지면서 가격은 1년새 하락했다. 3일 중국 원자재 시장 조사업체 바인인포(BAIINFO)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실리콘메탈 생산량은 470만8000t(톤)을 기록했다. 전년 375만5000t 대비 약 25% 늘어난 수치다. 중국의 실리콘메탈 최대 생산가능량도 지난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지속 증가했다. 지난 2024년의 경우 실리콘메탈 생산가능량은 727만7000t에 달했다. 공급 과잉은 가격 하락을 가져왔다. 실리콘메탈 월평균 가격은 지난해 1월 t당 1만5316위안(약 306만원)을 찍은 후 12월 t당 1만1798위안(236만원)까지 떨어졌다. 중국의 실리콘메탈 주요 수출국은 일본, 인도, 한국 순이다. 한국의 경우 실리콘메탈 수입에 있어 중국의 비중이 가장 크지만 지난 2023년 이후 수입액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지난해 한국의 대(對)중 실리콘메탈 수입액은 1억4579만6000달러로 전년 대비 22.7% 감소했다. 현재 중국 실리콘메탈 시장에는 200여 개의 생산기업이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 실리콘메탈 기업은 주로 신장(新疆), 윈난(云南), 쓰촨(四川), 간쑤(甘肃) 및 네이멍구(内蒙古) 5대 성에 분포돼 있다. 산업용 실리콘 또는 결정질 실리콘으로도 알려진 실리콘메탈은 규석에 코크스 등 환원제를 첨가해 만들어진다. 유기 실리콘과 다결정 실리콘을 생산하는 가장 중요한 원자재로 알려져 있으며 동시에 주조 알루미늄 합금, 변형 알루미늄 합금에서도 중요한 원자재로 평가 받는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화웨이와 상하이자동차그룹(SAIC)이 새로운 전기차 브랜드를 출범시켰다. 화웨이 연합이 점차 규모를 확대하며 중국 전기차 시장의 새로운 강자로 떠오르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화웨이와 SAIC는 스마트 신에너지 자동차(NEV) 생산에 힘을 합치기로 하고 '샹제(尚界)'라는 공동 브랜드를 출범시키로 했다. 양사는 샹제 브랜드 차량 제조, 공급망 관리, 판매 서비스 분야에서 전략적 협력을 하기로 했다. 이번 합작 브랜드 설립은 화웨이 HIMA(Harmony Intelligent Mobility Alliance) 전략에 따라 진행됐다. 화웨이는 △완성차 업체에 부품만 제공하는 티어1 △첨단 소프트웨어(SW)와 하드웨어(HW)를 공급하는 HI(Huawei Inside) △차량 설계 과정, 디자인, 브랜드 운영과 판매까지 참여하는 HIMA 등의 자동차 사업모델을 보유하고 있다. HIMA는 화웨이가 전기차 개발과 판매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사업 모델로 지금까지 세레스 아이토(AITO), 체리 럭시드(Luxeed), BAIC 스텔라토(STELATO), JAC 마에스트로(MAXETRO) 브랜드가 출범했다. 화웨이 HIMA 모델로 설립된 브랜드는 가격이 높음에도 판매량이 호조를 보이며 양적, 질적 성과를 동시에 잡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화웨이는 지난해 아이토, 럭시드, 스텔라토 브랜드를 통해 총 45만대를 판매했다고 발표했다. 마에스트로는 5월 첫 모델인 럭셔리 세단 S800을 출시할 예정이다. SAIC는 화웨이와의 협력으로 중국 자동차 업계 1위 BYD를 추격한다. SAIC는 지난해 전체 자동차 판매량이 전년대비 20% 감소했다. 또한 유럽에서는 관세에 의해 선적량이 14% 감소했다. 이에 20년 만에 중국 자동차 판매 1위 타이틀을 BYD에 넘겨줬다. 샹제는 올 4분기 중으로 첫 번째 모델 판매를 시작할 계획이다. 첫 모델의 가격은 15만 위안(약 2980만원)에서 25만 위안(약 5000만원) 사이에서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에서는 SAIC의 합류로 화웨이 연합이 BYD, 리오토와 같은 주요 전기차 제조업체의 강력한 경쟁자로 부상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전자제품 기업 아너(HONOR)가 스마트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딥페이크 감지 기능을 전 세계에 서비스한다. 생성형 AI 기술의 발전으로 딥페이크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감지 기술에 중요성이 커지고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업계에 따르면 아너는 내달 모바일 AI 딥페이크 탐지 기능을 전 세계에 출시한다. 아너는 해당 기능을 통해 자사 스마트폰 이용자들이 조작된 오디오, 비디오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딥페이크 기술은 생성형 AI의 발전과 함께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엔트러스트 사이버 보안 연구소(Entrust Cybersecurity Institute)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동안 5분마다 딥페이크 공격이 발생했다. 특히 기술의 발전으로 실제 영상과 딥페이크 영상을 구분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다. 딜로이트가 발표한 2024년 커넥티드 소비자 연구(Deloitte’s 2024 Connected Consumer Study)에 따르면 응답자의 59%가 인간이 만든 콘텐츠와 AI가 생성한 자료를 구분하지 못했다. 아너가 출시하는 AI 딥페이크 감지 기능은 지난해 9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국제 가전박람회 'IFA 2024'에서 공개됐다. 아너에 따르면 해당 기능은 고급 AI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인간의 눈으로 감지하기 어려운 미세한 불일치를 감지해 이용자에게 경고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미세한 불일치에는 픽센 단위에서의 차이, 테두리 합성, 프레임 간 불규칙성, 얼굴과 귀의 비율, 헤어스타일 등이 포함된다. 업계 관계자는 "AI 딥페이크 감지 기능은 모바일 분야에서 중요한 보안 조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더구루=진유진 기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자국 내 리튬 채굴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본격적인 생산 재개를 시사했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달 21일(현지시간) 모스크바에서 열린 미래기술포럼 기조연설에서 "리튬 채굴 없이는 국가 발전이 불가능하다"며 "우리는 10~15년 전에도 리튬 채굴이 가능했다"고 밝혔다. 세계 3위 규모의 리튬 매장량을 보유한 러시아는 수십 년간 자체 생산을 중단하고 라틴 아메리카에서 리튬을 수입했다. 그러다 서방 제재로 공급망이 불안정해지고 가격이 급등하자, 정부에서 리튬 채굴 재개를 추진하고 있다. 러시아는 무르만스크과 동부 시베리아, 극동 등 17개 유망한 리튬 매장지를 보유하고 있다. 이 중 가장 큰 매장량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무르만스크 콜모저스코예 광산 개발이 핵심 사업으로 진행 중이다. 이 광산의 리튬 사업은 러시아 국영 원전 기업 로사톰과 광업 기업 노릴스크 니켈(노르니켈)이 합작 투자해 추진하며, 내년 첫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판 테슬라'로 불리는 전기차 제조업체 패러데이퓨처(Faraday Future)가 저가형 인공지능(AI) 전기차 시제품의 테스트에 돌입했다. [유료기사코드] 패러데이퓨처는 지난달 21일(현지시간) 저가형 AI 전기차 모델인 FX6의 첫 시제품 2대를 중국에서 미국으로 선적했다. 패러데이퓨처는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본사에서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자율주행 검증 △파워트레인·성능 최적화 △지능형 캐빈 △사용자 경험 등을 포함해 광범위한 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다. 패러데이퓨처는 작년 9월 저가형 AI 전기차 브랜드 '패러데이X'를 공개했다. 패러데이X 브랜드로 FX5와 FX6 등 두 개 모델을 출시할 예정이다. 예상 가격은 각각 2만~3만 달러, 3만~5만 달러 범위에서 책정한다. 이르면 올해 말 양산한다. 패러데이퓨처는 AI 전기차 시장 선점을 위해 다양한 전략을 추진 중이다. 이달 10일 티커심볼(Ticker Symbol, 증권을 나타내는 기호나 문자)을 'FFIE'에서 'FFAI'로 변경한다. 이어 17일에는 AI 관련 행사를 개최한다. 패러데이퓨처는 지난 2014년 중국의 일론 머스크로 불렸던 자웨이팅이 설립한 전기차 업체다. 2021년 7월 스팩 합병을 통해 미국 뉴욕증시에 우회 상장했다. 패러데이퓨처는 지난 2023년 8월 첫 양산형 전기차 'FF91 퓨처리스트'를 출시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규모 해고를 예고한 메타(Meta)가 임원들의 보너스는 올리기로 결정했다. 메타는 보상을 강화해 임원들의 동기 부여를 높이겠다는 입장이지만 대규모 감원과 상반되는 정책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메타는 임원들의 연간 보너스 지급 비율을 기존 기본급의 75%에서 최대 200%로 상향하기로 했다. 메타 이사회는 13일(현지시간) 해당 사항을 승인했다. 메타 이사회는 동종업계 타기업들과 비교했을 때 임원들의 현금 보상이 15% 수준에 불과하다며 승인안을 통과시켰다. 단 마크 주커버그 최고경영자(CEO)는 적용대상이 아니다. 마크 주커버그 CEO는 2013년부터 상징적 의미로 연봉 1달러를 받기로 했다. 이번 임원 보너스 상향은 최근 메타가 결정한 대규모 감원과 상반되는 행보라는 지적이 나온다. 메타는 올해 초 저성과자를 중심으로 전체 직원의 5%인 약 3625명을 해고하기로 했다. 경제전문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지난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고 밝힌 직원들도 해고 당했다고 보도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에 제보한 직원들은 자신들이 '기대치 이상' 평가를 받았지만 해고 통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메타는 해당 보도에 대해 "어떤 직원이 기준을 충족하거나 초과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지속적으로 기준을 충족한다고 의미는 아니다"라고 답했다. 업계에서는 인공지능(AI) 경쟁이 치열해지는 만큼 최고 인재를 유치하기 위한 경쟁력 있는 보상 체계가 필요하다는 주장과 임원과 직원간 임금 격차가 커지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의견이 동시에 나오고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산업용 가스기업 에어리퀴드와 프랑스 에너지기업 토탈에너지스가, 네덜란드 그린수소 사업에 1조5000억원 이상을 투자한다. 양사는 네덜란드 로테르담 마스블락테와 제일란트주(州)에 그린수소 플랜트 2기를 건설할 예정이다. 투자액은 10억 유로(약 1조5000억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이는 토탈에너지스와 RWE가 공동 개발한 오란제윈드 해상풍력단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프로젝트다. 마스블락테와 제일란트에 각각 200㎿·250㎿ 전해조를 설치해 연간 총 4만5000t의 그린수소를 생산하게 된다. 마스블락테 플랜트는 2027년 말, 제일란트 플랜트는 2029년 가동이 목표다. 이 사업을 통해 연간 최대 4만5000t의 탄소배출을 감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린수소는 태양광·풍력 등 재생 에너지에서 생산된 전기로 물을 전기분해해 생산한 수소다. 수소와 산소만 생산되기 때문에 오염 물질이 전혀 배출되지 않으며, 전기 에너지를 수소로 변환해 손쉽게 저장하므로 생산량이 고르지 않은 재생 에너지의 단점도 보완할 수 있다. 빈센트 스토콰르트 토탈에너지스 재생가능 에너지 수석부사장은 "네덜란드 해상풍력 프로젝트에서 생산한 전기를 두 전해조에 공급함으로써 통합 전력사로 입지를 강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에밀리 모렌-르누아르 에어리퀴드 임원은 "2050년까지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고 저탄소 수소 에너지 분야 사업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폴란드 해군이 무인기 도입 사업 입찰을 취소했다. 주문 예산과 입찰 업체와의 가격 차이를 좁히지 못한 탓이다. 폴란드 해군은 최근 무인기 도입 사업 입찰을 취소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사업 입찰에는 오스트리아 방산 기업 'Schiebel Elektronische Geräte'이 제안서를 제출했다. 입찰 가격은 약 3억9400만 즈워티(약 1440억원)로 제시됐으며, 계약 체결일로부터 15개월 이내에 주문을 완료한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폴란드 해군의 주문 예산이 4200만 즈워티(약 150억원)에 그치면서 입찰도 최종 무산됐다. 폴란드 해군의 무인기 도입 사업은 폴란드 군대의 기술 현대화의 일환으로 추진돼왔다. 여기에는 위성 정찰 작전 프로그램이 포함됐으며, 무인 항공기 도입도 핵심 사업 중 하나였다. 폴란드 해군이 도입하려던 무인 항공기는 최대 이륙 중량이 200kg에 이르는 ‘캠콥터 S-100(Camcopter S-100)’ 모델로, 전자 광학 센서와 합성 개구면 레이더(SAR) 기술이 탑재돼 있다. 이를 기반으로 해상 및 해안선의 적군 정찰과 육상 감시, 해상에서의 조난자 수색 등 다양한 환경에서 주야간 감시가 가능하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올해 미국 배터리 생산능력이 420GWh를 돌파할 전망이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 등 한국 배터리 기업들의 공장만 6곳이 가동을 앞뒀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지원책을 대폭 축소하려 하고 있어 투자 열기가 식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1일 영국 시장조사기관 벤치마크 미네랄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미국은 올해 10개의 배터리 공장이 가동될 전망이다. 10개 공장에는 △LG에너지솔루션 단독공장(애리조나) △LG에너지솔루션·혼다 합작공장(오하이오) △SK온·포드의 합작공장 2곳(켄터키와 테네시) △SK온·현대자동차 합작공장(조지아) △삼성SDI·스텔란티스 합작공장(인디애나) △파나소닉 공장(켄터키) △토요타 공장(노스캐롤라이나) △엔비전AESC 공장(켄터키) △아워넥스트에너지(ONE) 공장(미시간)이 포함된다. 이로써 미국 연간 배터리 생산능력도 전년보다 90% 증가한 421.5GWh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화석연료 회귀 정책을 펼치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과 맞물려 주목받고 있다. 이번에 가동되는 배터리 공장 10곳은 조 바이든 대통령 시절 건설이 확정됐다. 바이든 대통령은 자국 중심의 전기차·배터리 공급망을 구축하겠다는 목표로 투자 유치에 박차를 가했다.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발표하고 배터리 기업에 킬로와트시(kWh)당 셀 35달러, 모듈 10달러의 세액 공제를 제공했다. 막대한 인센티브 정책에 힘입어 주요 배터리 기업들은 미국에 투자를 확대했다. 하지만 트럼프 정부가 들어서며 투자 열기는 가라앉는 분위기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바이든 행정부의 전기차 보급 확대 정책의 폐기를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IRA도 변경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전기차 캐즘에 더해 미국 정부의 지지까지 약해지며 일부 기업들은 투자를 철회했다. 미 코어파워(Kore Power)는 애리조나주 신공장 건설을 중단했다. 이 회사는 12억 달러(약 1조7500억원)를 쏟아 배터리 공장 건설을 추진하며 현지 정부로부터 8억5000만 달러(약 1조2400억원) 상당의 조건부 대출 승인을 획득했었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 이후 청정 에너지 사업의 보조금과 대출 모두 동결되면서 애리조나 공장에 대한 대출 지원은 불투명해졌다. 코어파워는 결국 공장 설립을 취소하고 부지를 매각하기로 했다. 노르웨이 프라이어 배터리(FREYR Battery)도 조지아주 코웨타 카운티에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려던 계획을 접었다. 한편, 두 기업의 사례로 미국 배터리 산업이 흔들리고 있다고 보긴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코어파워와 프라이어 배터리는 규모가 작은 스타트업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대기업에 비해 기술력과 자금력, 생산 노하우가 부족해 대규모 공장을 설립하는 게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지원을 축소하더라도 이미 건설 단계인 배터리 공장은 중단이 어렵다는 관측도 있다. 에반 하틀리(Evan Hartley) 벤치마크 미네랄 인텔리전스 연구원은 인사이드클리메이트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미 공장이 건설되고 있고 그 흐름을 멈추긴 어렵다"며 "특히 대부분 공화당 지지층이 많은 주에 있어 약속한 수천 개의 일자리를 없애기는 힘들 것"이라고 밝혔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배터리 스타트업 '앰프리우스 테크놀로지(Amprius Technologies, 이하 앰프리우스)'가 무인항공기시스템(UAS) 제조사에 자체 개발한 실리콘 음극 기반 배터리를 납품한다. 미 육군부터 방위·항공기 업체까지 다양한 업계에서 잇따라 러브콜을 받으며 글로벌 입지를 공고히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앰프리우스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익명의 UAS 제조업체와 1500만 달러 규모 'SiCore' 배터리셀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올 하반기 출하해 고객에 인도할 예정이다. 앰프리우스가 공급하는 SiCore는 고정된 날개를 이용해 비행하는 UAS에 장착된다. 이는 군용 장거리 감시·정찰 드론뿐만 아니라 재난 대응, 탐색·구조, 대규모 농업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SiCore는 고에너지밀도를 갖춰 UAS의 무게를 줄이면서도 비행 거리와 지속 시간을 연장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게 앰프리우스의 설명이다. SiCore은 앰프리우스가 작년 초 출시한 배터리다. 흑연 대신 실리콘을 쓴 음극재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 특징이다. 최대 400Wh/kg의 에너지밀도, 1200회의 충방전 사이클을 달성할 수 있다. 성능과 수명 모두 경쟁력을 갖추며 시장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얻고 있다. 앰프리우스는 유럽 항공기 제조사 에어버스와 미국 군사용 드론업체 에어로바이런먼트 등을 고객사로 뒀다. 지난해 3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개발 중인 성층권 태양광 드론에 리튬이온배터리셀을 공급한 바 있다. 미 육군에도 SiMaxx 제품을 납품했다. 작년 9월에는 경량전기차(LEV)용 2000만 달러 규모 계약을 따낸 바 있다. 지난 2008년 설립된 앰프리우스는 실리콘 음극재 기반 리튬이온 배터리를 개발하는 기업이다. 실리콘 음극재는 흑연을 사용했을 때보다 배터리의 전자 밀도를 높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체 개발한 특허 기술으로 실리콘 부피 팽창 등 단점을 극복하고 상용화에 성공했다. 지난 2021년 현대공업으로부터 140만 달러, 선보엔젤파트너스로부터 600만 달러의 투자를 확보하며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았다. 강선 앰프리우스 최고경영자(CEO)는 "더 많은 방위·상업 항공 고객의 배터리 자격 심사 프로세스를 완료함에 따라강력한 파이프라인이 형성되고 있다"며 "당사의 SiCore 셀은 까다로운 환경에서 에너지밀도와 안정성에 대한 새로운 표준을 제시했으며, 앞으로 추가 주문으로 지속적인 추진력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호주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 리비움(Livium Limited, 옛 리튬오스트레일리아)의 자회사 엔바이로스트림(Envirostream Australia Pty Ltd)이 희귀 금속의 회수 기술 개발에 나선다. 금속 회수 기술을 보유한 아이온드라이브(Iondrive)에 재활용 원료를 제공하고 테스트를 수행한다. 지속가능한 회수 기술의 상업화를 앞당기고 재활용 산업의 성장을 견인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아이온드라이브에 따르면 엔바이로스트림과 심층공융용매(DES) 상용화를 위한 텀시트(term sheet·조건합의서)를 체결했다. DES는 특정 금속 이온을 선택적으로 용해하거나 침전시켜 희귀 금속을 추출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이다. 아이온드라이브는 DES 공정 테스트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냈다. 폐배터리를 분해해 얻은 검은 가루 형태의 중간 가공품 '블랙매스'에서 95%가 넘는 희귀 금속 회수율을 기록했다. 연말 시운전을 목표로 파일럿 설비도 건설하고 있다. 엔바이로스트림은 이번 텀시트에 따라 파쇄된 태양광 폐패널과 셀, 블랙매스, 희토류 자석, 전자폐기물 등을 수집해 아이온드라이브에 제공한다. 아이온드라이브의 DES 기술·경제성 테스트에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멕시코 핵심 데이터센터가 전력망 문제로 가스 발전기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멕시코에 대한 빅테크 기업들의 투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전력 인프라의 한계가 장애물이 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MS가 지난해 5월 멕시코 케레타로주 콜론에 오픈한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멕시코 센트럴(Mexico Central)'은 올해 2월부터 6개월 가량 가스 발전기 7대에 의존해 운영됐다. MS가 멕시코 환경당국에 제출한 서류에 따르면 해당 발전기는 올해 2월부터 7월까지 하루 12시간동안 가동됐으며 데이터센터가 요구하는 전력량의 70%를 공급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5만4000가구가 1년동안 배출한 양과 같은 이산화탄소가 배출됐다. MS는 2024년 5월 오픈 이후부터 올해 1월까지는 어떻게 에너지를 공급했는지, 7월 이후 가스 발전기를 운영할지 여부 등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 멕시코 센트럴이 자체 가스 발전기를 동원한 배경에는 전력망의 건설 지연이 있다. 멕시코 센트럴은 중남미 지역의 첫 지역 리전으로, MS는 해당 데이터센터 구축과 교육 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