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물류회사 지어신 코리아가 주한미군에 납품한 유류 가격을 담합한 혐의로 24억원 상당의 벌금을 물게 됐다. 지어신 코리아의 합의로 국내 정유사들을 비롯해 6개 회사가 연루된 담합 사건 관련 소송이 마무리됐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미 법무부는 지난 8일(현지시간) 지어신 코리아가 군납 유류 가격 담합 혐의를 인정하고 벌금 200만 달러(약 24억원)를 납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독점금지법을 준수하며 허위 주장 혐의에 따른 민사 소송과 관련해서도 법원에 합의안을 제출했다. 매컨 델러힘 반독점 법무차관은 성명서를 통해 "이번 합의는 반독점 클레이튼법을 지키려는 정부의 의지를 반영한다"며 "국민들이 일부 업체의 독점으로 피해를 보지 않도록 (클레이튼법을)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미 법무부는 지어신 코리아 외에 SK에너지와 GS칼텍스, 한진, 에쓰오일(S-OIL), 현대오일뱅크 등이 유류 가격 담합에 연루됐다고 봤다. 이들 회사가 지난 2005년부터 2016년 사이 이뤄진 주한미군기지 유류 납품 입찰 과정에서 가격을 담합했다는 지적이다 SK에너지와 GS칼텍스, 한진 3개사는 지난 2018년 11월 민사상 손해배상금 1억5400만 달러(약 180
[더구루=오소영 기자] 일본 도요타 자동차가 중국 비야디(BYD)와 전기차 연구·개발(R&D) 합작사를 차리는 가운데 블레이드 배터리로 협력을 확장한다. 도요타가 BYD의 차세대 배터리에 관심을 보이며 전기차 신모델에 블레이드를 탑재할지 주목된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도요타와 BYD는 합작사를 통해 블레이드 배터리 탑재에 협력할 전망이다. 헤 롱(He Long) BYD 부사장은 "여러 완성차 회사들과 블레이드 배터리 기술 협력을 논의하고 있다"며 "도요타도 그중 하나"라고 밝혔다. 블레이드 배터리는 한번 충전으로 600km를 달릴 수 있는 제품이다. 기존 배터리 팩 대비 에너지 밀도가 50% 높으며 화재 위험을 낮춰 안전성을 갖췄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BYD는 지난달 블레이드 배터리를 공개했다. 충칭 공장에서 생산하며 이미 양산 단계에 있다. 도요타가 BYD의 블레이드 배터리에 관심을 보여 향후 합작사에서도 이와 관련 협업이 이뤄질 전망이다. 블레이드 배터리를 차기 전기차에 장착하고 제2의 블레이드 배터리를 개발하는 데 협력할 것으로 관측된다. 도요타와 BYD는 50대 50 지분으로 합작사를 만들기로 했다. 내달부터 본격 가동되며 합작사 회장
[더구루=오소영 기자] 올해 전 세계 전기차 판매량이 1년 사이 43% 급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수요가 줄고 완성차 업체들의 전기차 공급이 차질을 빚어서다. 중국은 이미 1월 전기차 판매량이 50% 이상 떨어졌다. 주요 전기차 시장인 미국과 유럽 또한 수요 위축이 전망돼 국내 배터리 업계에 수익 악화가 우려된다. ◇'수요·공급 빨간불' 올해 전기차 판매량 130만대 11일 글로벌 컨설팅회사 우드맥킨지(Wood McKenzie)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은 130만대로 2019년(220만대) 대비 43% 감소할 전망이다. 지역별로 미국은 전년과 비교해 30% 수요가 감소할 전망이다. 중국은 올해 11월, 유럽은 12월에야 2019년 판매량을 따라잡을 것으로 예측된다 전기차 시장이 침체된 배경은 코로나19로 인한 수요 위축에 있다. 램 챤드라세카란(Ram Chandrasekaran) 우드맥킨지 연구원은 "코로나19 발발과 이로 인한 불확실성으로 소비자들이 새로운 기술을 채택하려는 경향이 줄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제유가 폭락으로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저점을 보이며 내연 기관차 수요가 높아질 가능성도
[더구루=오소영 기자] 롯데케미칼이 미국에서 아로마틱 제품의 원료인 혼합자일렌(MX)을 수입하며 원가 절감에 나선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가격이 하락하자 미국 물량을 들여온 것이다. 10일 시장조사업체 ICIS에 따르면 롯데케미칼은 이달 미국에서 3~4만t의 MX를 샀다. 5월 말에 한국에 도착할 예정이다. MX는 무색투명한 휘발성 액체로 도료와 농약 제조용으로 주로 쓰인다. 고부가가치 제품인 PX를 비롯해 아로마틱 제품 원료로도 사용된다. 롯데케미칼이 미국에서 MX를 구매한 이유는 저렴한 가격에 있다. ICIS 집계 결과 미국 MX 가격은 본선인도가격(FOB) 기준 지난 6일 t당 270달러(약 33만원)를 기록했다. 동북아는 355달러(약 43만원)로 85달러(약 10만원)가량의 차이를 보였다. 미국은 코로나19 영향으로 MX를 원료로 쓰는 아로마틱 제품 가격이 떨어졌다. 아로마틱 제품의 생산이 줄며 MX 수요가 감소했고 이는 가격 하락으로 이어졌다. 미국과 달리 동북아는 방향족 투자가 이어져 MX 수요가 여전히 강세다. 특히 중국은 PX 신·증설이 대규모로 추진되고 있다. KDB산업은행에 따르면 올해 중국의 PX 생산능력은 3
[더구루=오소영 기자] 독일 뮌헨시가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를 탑재한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지원하도록 보조금 지침을 수정했다. NCM 배터리를 쓰는 LG화학과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국내 배터리 업계의 독일 진출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뮌헨시는 이달부터 변경된 에너지 저장 펀딩 프로그램(Energy saving funding program) 가이드라인을 적용한다. 에너지 저장 펀딩 프로그램은 태양광 발전소와 연동된 ESS를 지원하는 정책으로 2018년 6월부터 시작됐다. kWh당 300유로(약 40만원)의 보조금을 제공한다. 당초 가이드라인에서는 NCM 배터리를 쓰는 ESS를 지원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독일 쇠나우 전력회사가 2017년 발표한 연구 결과 때문이다. 이 회사는 NCM 배터리가 리튬인산철(LFP)보다 안전성이 떨어진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양극재의 차이만으로 배터리의 안전성과 수명을 유추할 수 없다는 전문가들의 비판이 제기되며 가이드라인도 변경됐다. 수정안에는 'NCM 계열 배터리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문구가 삭제됐다. 뮌헨시 의회가 지난달 18일 수정안을 의결하며 이달부터 발효됐다. 뮌헨시가 NC
[더구루=오소영 기자] 코오롱인더스트리가 미국내 물류 창고에 보관 중이던 타이어코드 파손으로 5억원이 넘는 손해를 입자 현지물류 업체와 소송을 진행 중인 것으로 뒤늦게 드러났다. 9일 더구루가 미국 인디애나주 북부지방법원에서 입수한 자료를 보면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이곳에서 카사드(Casad, LLC)와 물류 보관 계약 위반 혐의로 법정 공방을 밟고 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지난 2016년 카사드와 폴리에스터 타이어코드 저장·처리 계약을 맺었다. 이번 소송의 골자는 카사드가 코오롱인더스트리로부터 제품을 받아 안전하게 보관하고 회사의 요청이 있을 시 처음 상태 그대로 돌려주는 내용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프랑스 타이어 제조사 미쉐린을 비롯해 고객사에 공급할 타이어코드를 카사드가 운영하는 창고에 보관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카사드에 맡긴 타이어코드가 파손돼 손해를 입었다고 주장했다. 피해 규모는 45만 달러(약 5억4900만원)에 이른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계약 위반 혐의로 카사드에 손해 배상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고 지적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결국 지난 2018년 9월 28일 카사드를 상대로 미시간주 동부지방법원에 소송을 냈다. 이 사건은 지난해 12월 인디애나
[더구루=오소영 기자] LG화학이 미국에서 전자담배에 쓰인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 사고로 소송에 휘말렸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브리지포트에 거주하는 알렉스 페리(Alex Perry)는 최근 코네티컷주 고등법원에 LG화학과 전자담배 소매업체 더 모드 하우스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이 소비자는 2018년 7월 더 모드 하우스에서 전자 담배를 샀다. 바지 주머니에 넣은 전자 담배가 폭발하며 허벅지와 엉덩이에 화상을 입었다. 페리 측은 전자담배에 들어간 LG화학 배터리의 결함을 사고 원인으로 꼽고 피해 보상을 요구했다. 폭발 위험이 있는 제품을 아무 경고 없이 판매한 소매업체에도 책임을 물었다. LG화학이 전자담배 배터리 폭발로 소송을 당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작년 2월과 5월 노스캐롤라이나주, 테네시주에 사는 소비자가 전자담배 배터리 폭발 사고로 LG화학을 제소했다. 업계는 제조사 책임을 단정 짓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본보 2019년 2월 13일 참고 '주머니 속 총알' 전자담배 배터리, 제조사에 책임 있나?> LG화학이 전자담배용 배터리를 만들지 않고 전자담배 제조사에 제품을 공급하지 않아서다. LG화학의 브랜드명만 차용한 가짜 배터리
[더구루=오소영 기자] 전미일자리협회가 포스코에너지와 미국 퓨어셀에너지(FCE)의 소송에서 현지 정부의 개입을 촉구했다. 데니스 블랙(Dennis Black) 전미일자리협회(American Jobs Alliance)장은 지난 5일 미국 보수 매체 아메리칸 그레이트니스(American Greatness)에서 "미국 정부가 포스코에너지와 FCE의 법정 분쟁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블랙 협회장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무역 관리들은 포스코에너지가 FCE와 계약 협상에 나서도록 주문해야 한다"며 "필요하다면 포스코 철강 제품에 대한 추가 처벌(반덤핑 관세)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미일자리협회가 포스코에너지에 대한 현지 정부의 압박을 요구하면서 소송의 향방에 이목이 집중된다. 미국 정부의 개입에 따라 양측이 합의점을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포스코에너지는 FCE와 2016년 경북 포항에 준공된 연료전지와 관련 법적 다툼을 벌이고 있다. 포스코에너지는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연료전지 부실로 입은 손해에 대해 채권 보전을 위한 가압류를 신청했다. 이 회사는 연료전지에 들어가는 안정화 장치에서 문제가 발생해 손해를 입었다고 주장했다. 안정화 장치는 FCE가 설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솔루션 큐셀부문(한화큐셀)이 미국 조지아주에서 25㎿ 태양광 프로젝트에 모듈을 공급한다. 올 초 세계 최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업체인 페이스북 데이터센터에 이어 추가 수주를 올리며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위기를 비껴갔다는 분석이다. 7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큐셀은 미국 조지아주 백슬리 지역 25㎿ 솔라팜(넓은 부지에 대형 농장 형태로 태양광 패널을 배치한 발전시설) 사업에 모듈을 납품한다. 모듈은 한화큐셀의 조지아 공장에서 생산되며 공급량은 밝혀지지 않았다. 백슬리 솔라팜 사업은 미국 테네시주 소재 태양광 업체 실리콘 랜치(Silicon Ranch)가 추진한다. 현지 엔지니어링 회사 IEA(Infrastructure and Energy Alternatives)와 설계·조달·시공(EPC) 계약을 맺고 최근 발전소 착공에 들어갔다. 한화큐셀은 이번 모듈 공급으로 미국에서 잇단 공급을 성사시키며 현지 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한다. 한화큐셀은 올 초 미국 페이스북의 태양광 프로젝트에 모듈 35만개를 공급한 바 있다. 미국 발전사 넥스트라에너지에 1.5GW에 이어 900㎿ 규모 태양광 모듈도 추가로 납품했다. 미
[더구루=오소영 기자] SK종합화학과 중국 최대 국영 석유 기업 시노펙의 합작사 중한석화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중단된 나프타분해설비(NCC) 증설을 재개한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중한석화는 6일(현지시간) NCC 증설 작업을 다시 시작했다. 중한석화는 공장이 코로나19 발원지인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 있어 증설을 중단했었다. 다만 기존 공장의 경우 가동을 중단하면 재개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장치 산업의 특성을 감안해 계속 운영했다. 중한석화는 현지 언론을 통해 "증설 재개를 위해 현지 건설사(Sinopec Fourth·Sinopec Tenth) 등과 여러 차례 화상·전화 회의를 진행했다"며 "예방 조처를 했고 현재 약 217명이 작업장에 복귀했다"고 밝혔다. 중한석화는 세계 최대 화학 시장인 중국 공략을 위해 2013년 10월 설립됐다. SK종합화학이 35%, 시노펙이 65% 지분을 보유한다. 중한석화는 2017년 10월 7400억원 규모의 증설을 결정했다. 연내 증설이 완료되면 에틸렌 생산량은 연간 110만t으로 늘어난다. 폴리에틸렌 90만t, 폴리프로필렌 70만t 등 연간 화학제품 300만t의 생산 규모를 갖추게 된다. SK종합
[더구루=오소영 기자] 인도네시아 국영기업부와 투자조정청이 LG화학과 전기차 배터리 협력을 논의했다. 현지 정부의 적극적인 러브콜에 따라 LG화학의 투자가 현실화되는 분위기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에릭 또히르 인니 국영기업부 장관은 현지 언론을 통해 "LG화학과 전기차 배터리 협력과 관련해 이야기를 나눴다"고 밝혔다. 또히르 장관은 지난 6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진단 키트를 기증받는 자리에서 LG화학과 만나 짧은 면담을 가졌다. 앞서 LG화학은 LG전자, LG이노텍, LG상사 등과 5만회 검사 분량의 코로나19 진단키트를 기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면담 자리에는 바흐릴 라하달리아 인니 투자조정청장도 배석했다. 또히르 장관은 협력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피하면서도 "(조코 위도도 인니) 대통령의 방한 이후 진행 결과를 계속 살피고 있다"며 "많은 전략적 프로젝트가 추진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LG화학의 인니 투자는 지난해 아구스 구미왕 카르타사스미타 산업부 장관과 위도도 대통령의 연쇄 방한 이후 제기됐다.<본보 2019년 11월 22일 참고 [단독] 인니 산업부 장관 "LG화학 배터리 공장 짓는다"…2.7조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에너지가 영국 옥토퍼스 에너지(Octopus Energy)로부터 클라우드 기반 에너지 플랫폼을 공급받고 호주 전력 리테일 시장 진출에 고삐를 죈다. 샘 레이놀드 옥토퍼스 에너지 경영전략 총괄은 6일 호주 경제지 라이브와이어 마켓(Livewire Markets)과의 인터뷰에서 회사가 이룬 최고 투자 성과 중 하나로 한화에너지와의 협력을 언급했다. 그는 "'한화에너지 호주법인(Hanwha Energy Retail Australia), 독일 에너지 기업 에온(EON)과의 기술 협업을 통해 이들의 소매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화에너지 호주법인은 작년 4월 옥토퍼스를 에너지 플랫폼 공급사로 선정했다. 옥토퍼스가 개발한 플랫폼 크라켄(Kraken)을 받는다. 크라켄은 클라우드 기술을 활용해 호주 내 여러 발전소에서 생산한 방대한 데이터를 모으고 분석하는 플랫폼이다. 에너지 사용 패턴을 찾아 소비량을 예측하고 공급을 최적화하도록 지원한다. 한화에너지는 옥토퍼스와의 협업으로 에너지 효율화를 도모하고 호주 시장에서 전력 판매 사업자로서의 인지도를 강화한다. 한화에너지는 2018년 시드니에 호주법인을 세우고 전력 판매 시장에 본격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가 이스라엘 남부 브엘세바(beersheba)에 위치한 연구개발(R&D) 센터를 확장한다. 엔비디아는 해당 센터를 이스라엘 남부 지역 인공지능(AI) 기술 개발 허브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더구루=이꽃들 기자] 글로벌 담배 기업 JTI(Japan Tobacco International)가 차세대 궐련형 전자담배 '플룸 오라(Ploom AURA)'를 루마니아에 정식 출시하며 유럽 시장 공략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이를 위해 37억 유로(한화 약 5조 4000억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 가열담배 기술 개발 및 상용화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