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이 미국과의 로봇 패권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로봇 산업 육성과 지원 정책으로 지속 성장 기반을 구축한다. 중국의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규모가 향후 10년간 3000억 위안(약 60조원)으로 커질 것이라는 전망 속에 다양한 지원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한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중국 테크 전문 매체 기즈모차이나(GizmoChin)에 따르면 중국 스마트 로봇산업은 작년 12월 기준 45만1700개의 기업이 등록돼 있으며, 총 자본금은 6조4400억 위안(약 1277조원)에 달한다. 중국의 스마트 로봇 산업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은 2020년 이후 206.73% 증가했다. 작년 한 해에만 로봇 산업은 19.39% 성장하며 로봇 기술에 대한 수요와 투자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은 로봇 산업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를 확장하고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은 인간의 행동을 가장 잘 모방할 수 있는 인간형 로봇을 말한다. 정부의 전폭 지원 속에 중국 기업들이 가성비를 앞세워 로봇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나서고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 기업들 중에는 △유비테크(UBTech) 로보틱스 △유니트리 로보틱스 △클라우드마인즈 △ 엔
[더구루=정등용 기자] 중국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스타트업 스테어메드(StairMed)가, 중국 BCI 분야 역대 최대 규모의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중국이 딥시크에 이어 뇌 칩 이식 분야에서도 미국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스테어메드는 11일(현지시간) 펀딩 라운드를 통해 3억5000만 위안(약 700억원)을 모금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펀딩 라운드는 중국 치밍 벤처 파트너스와 헬스케어에 중점을 둔 오르비메드(OrbiMed), 미국 제약회사 일라이 릴리(Eli Lilly)의 스핀오프(분사 독립)인 릴리 아시아 벤처스가 주도했다. 릴리 아시아 벤처스는 “스테어메드의 유연한 전극 기술과 BCI 개발 능력을 높게 평가해 이번 투자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스테어메드는 "이번 자금 조달이 중국 BCI 기업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라며 "임상 시험 가속화와 연구 개발, 새로운 생산 시설 건설에 사용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 2021년 설립된 스테어메드는 중국 BCI 분야의 선구적인 기술 혁신 기업으로 평가 받는다. 마이크로나노 전극 기술을 중심으로 관련 제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BCI 시스템 개발과 삽입식 수술 지원 기술 등으로 영역을 확장하
[더구루=홍성일 기자] 소니가 플레이스테이션(PS)의 중국 출시 10주년을 기념해 샤오미와 한정판 피트니스 트래커를 선보였다. 소니는 이번 협업으로 중국에서 브랜딩 파워를 강화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업계에 따르면 소니는 중국에서 샤오미와 함께 PS 브랜드 피트니스 트래커를 출시했다. 한정판 PS 피트니스 트래커는 샤오미 스마트밴드 9 프로에 PS 브랜드 색상, 네모, 세모, 엑스, 원 등 특유의 디자인 요소 등을 결합해 만들어졌다. PS 피트니스 트래커는 스마트밴드 본체와 스트랩 2종, 기념카드, 충전 케이블 등으로 구성됐으며 PS를 상징하는 파란색 상자에 포장됐다. PS 피트니스 트래커는 샤오미 스마트밴드 9 프로의 기능을 가진다. 샤오미 스마트밴드 9 프로는 1.74인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했으며 본체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져 가벼울 뿐 아니라 상당한 방수 기능도 제공한다. 무게는 2.45그램(g)이며 두께는 10.8mm이다. 배터리는 최대 21일간 충전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샤오미 스마트밴드 9 프로는 심박수, 산소포화도, 수면, 월경 주기 트래킹 등의 표준 건강 트래킹 기능이 제공한다. 또한 150개 이상의 스포츠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바이두가 자체 개발 인공지능(AI) 반도체 '쿤룬(Kunlun) 3세대'를 선보이고 최근 업계 돌풍을 몰고 온 딥시크(Deepseek)의 거대언어모델(LLM)에 최적화했다. 중국이 미국의 견제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자립에 속도를 내며 '미중 AI 패권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1일 바이두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쿤룬 3세대 칩(모델명 P800)을 출시하고 이를 활용한 대규모 AI 컴퓨팅 인프라 '완카(Wanka) 클러스터'를 발표했다. 중국에서 자국 기업이 독자 개발한 AI 칩을 활용해 대규모 AI 컴퓨팅 클러스터를 선보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완카 클러스터는 1만 개 이상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탑재하는 고성능 연산 시스템이다. 쿤룬 3세대 AI 칩을 활용해 대규모 병렬 연산을 수행하고 대형 AI 모델의 학습과 추론을 지원한다. 1000억 개 이상의 매개변수를 가진 모델 학습이 가능하다. 바이두는 조만간 3만 개 이상 GPU를 장착한 완카 클러스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향후 GPU 개수를 10만 개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다. 이 과정에서 클러스터의 높은 전력 소비와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냉각 솔루션을 도입하고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빅테크들이 중국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DeepSeek) 지원에 속도를 내고 있다. 딥시크가 AI 산업 트렌드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20여곳의 글로벌 테크기업이 딥시크 AI 모델 서비스 지원을 시작했다. 면면도 화려하다. 엔비디아를 비롯해 AMD,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 웹 서비스(AWS), 인텔 등 미국 빅테크와 메타엑스, 일루바타 코어엑스, 하이곤 인포메이션 등 중국 그래픽처리장치(GPU) 기업이 포함됐다. 또한 화웨이 클라우드, 텐센트 클라우드, 톈이 클라우드, 알리바바 클라우드, 바이두 AI 클라우드, 바이트댄스 볼케이노 엔진 등 중국 클라우드 기업들도 딥시크 서비스를 출시했다. 이외에도 무어 스레드, 인피니전스, PPIO 클라우드, 360 디지털 시큐리티, Z스택, 바이렌 테크놀로지도 딥시크를 지원한다. 세부적으로는 엔비디아가 'NIM(Nvidia Inference Microservices)' 플랫폼에서 딥시크-R1 모델 프리뷰를 제공한다. NIM은 엔비디아의 AI 운영 소프트웨어 패키지로, 프리뷰 기능을 이용하면 개발자
[더구루=진유진 기자] 중국 배터리 업체 CATL이 리튬 광산 운영을 재개했다. 글로벌 리튬 공급 조정이 본격화되면서 가격 반등 가능성이 거론되는 가운데 CATL의 생산 재개가 시장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린다. [유료기사코드] UBS는 지난 6일(현지시간) 정보 제공업체 상하이 메탈스 마켓(SMM)을 인용, "CATL이 중국 장시성 이춘의 리튬 레피돌라이트 광산에서 채굴·선광·제련 공장 운영을 재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9월 생산 중단 후 약 5개월 만의 일이다. CATL은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지만, UBS는 "이번 조치가 단순한 수요 회복이 아니라 낮은 재고 수준과 고등급 광석 혼합을 통한 원가 절감 전략의 일환"이라고 분석했다. 이춘은 중국 내 대표적인 리튬 생산지로, CATL은 지난 2022년 8억6500만 위안(약 1723억원)을 투자해 해당 지역 광산 탐사권을 확보했다. 그러나 지난해 9월 리튬 가격이 생산 원가를 밑돌면서 감산에 들어갔다. 이에 따라 리튬 선물 가격이 반등하는 동시에 중국 증시에서 리튬 관련주가 급등하는 현상도 나타났다. 현재 탄산리튬 가격은 kg당 10달러로, 지난 2022년 11월 최고가였던 83달러 대비 12% 수준에
[더구루=진유진 기자] 중국 기업들이 인도네시아 니켈 정제 능력의 약 75%를 장악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세계 최대 니켈 생산국인 인도네시아의 광물 산업 주권은 물론,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미국 안보 싱크탱크 국방문제연구센터(C4ADS)는 5일(현지시간) 보고서를 통해 중국 기업들이 인도네시아 니켈 정제 능력의 약 75%를 장악하고 있어 공급망 통제와 환경 위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연간 800만 톤(t)에 달하는 니켈 정제 능력은 33개 기업에 분산되어 있으나, 소유권 구조를 추적한 결과 실제로는 중국 기업들이 대부분의 지분을 직·간접적으로 통제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2023년 기준으로 중국 칭산홀딩그룹(Tsingshan Holding Group)과 장쑤 델롱 니켈 산업(Jiangsu Delong Nickel Industry) 두 기업이 전체 제련 능력의 7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이들은 인도네시아 정부가 니켈 광석의 해외 수출을 금지하고 국내 가공을 의무화한 시기에 가장 먼저 투자한 기업으로, 대규모 투자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를 대상으로 한 분산서비스거부(DDoS, 디도스) 분석 결과가 추가로 공개됐다. 미국 해커들에 의한 공격일 수도 있다는 중국 보안 업체 보고서가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향후 추가 공격도 가능성도 제기됐다. [유료기사코드] 4일 중국 사이버보안 기업 NS포커스(NSFocus)의 딥시크 디도스 보고서에 따르면 딥시크에 대한 디도스 공격은 API 인터페이스, 채팅 시스템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API 인터페이스에 대한 디도스 공격은 지난달 25일, 26일, 27일에 걸쳐 총 3번 진행됐으며 채팅 시스템에 대한 공격은 20일과 25일 2차례 실행됐다. API인터페이스에 대한 공격은 인터넷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주소 '1.94.179.165'를 대상으로 했으며 평균 공격 시간은 35분이었다. 공격방법은 NTP 리플렉션 어택(NTP reflection attack)과 멤캐시드 리플렉션 어택(Memcached reflection attack)이었다. 두 공격방식 다 공격대상의 IP 주소를 위조해 외부에 위치한 NTP, 멤캐시드를 이용해 트래픽을 발생시킨다. 이 과정에서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산 의료기기에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 환자 데이터가 유출됐을 가능성은 물론 해킹으로 인한 사고 우려도 나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일 미국 국토안보부 산하 사이버보안 및 인프라 보안국(CISA)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의료기기 제조업체인 콘텍 메디컬 시스템즈(Contec, 이하 콘텍)의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CMS8000'에서 환자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CMS8000에는 하드코딩된 IP 주소가 있는 백도어가 존재한다. 해당 백도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는 데이터에는 의사 이름, 환자 이름, 병원 부서, 입원 날짜, 생년월일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된다. 콘텍 CMS8000은 미국과 유럽연합(EU) 병원, 진료소 등에 수출하고 있는 제품이다. CMS8000은 심박동, 혈압 등 환자의 신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면서도 저렴한 가격때문에 판매량이 많은 제품으로 알려졌다. 콘텍은 130여개국에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받기도 했다. CISA는 해당 기기에서 발견된 IP주소가 기기 제조업체와는 연관이 없다고 설명했다. 또한 해당 IP를 통해 장비 업데이트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개발한 AI모델 'R1'을 둘러싼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반도체 리서치·컨설팅 기업 세미애널리시스(SemiAnalysis)는 지난달 공개한 딥시크 보고서를 통해 "딥시크는 새로운 뉴스가 아니다"라며 "딥시크가 주목받으면서 과대광고에 의한 쇼크가 왔다"고 주장했다. 딥시크가 지난달 새로운 AI모델 'R1'을 공개하면서 저비용으로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히며 엔비디아 등 AI테크 기업들의 주가가 출렁거렸다. 딥시크가 AI모델 개발에 557만6000달러(약 82억원)를 투입했다는 대목 때문이었다. 딥시크의 AI모델 개발비용이 공개된 것은 R1 모델 이전에 공개된 V3 모델에서다. 딥시크는 V3 모델 설명자료에서 엔비디아 H100의 중국형 모델인 H800을 활용해 278만8000시간동안 학습했고 557만6000달러가 소비됐다고 설명했다. 시간당 H800 렌트비용을 2달러로 가정한 결과였다. 이는 오픈AI GPT4 개발비용의 18분의 1, 메타 라마3의 10분의 1 수준이다. 해당 내용이 공개되자 일부에서는 비용 계산 기준 자체가 다르다는 지적이 있어왔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태양광 패널 기업들이 미국의 대중 규제를 피하기 위해 설립한 말레이시아 생산 거점을 폐쇄하고 있다는 소식이 나왔다. 미국이 말레이시아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인상할 가능성이 커지면서다. [유료기사코드] 1일 싱가포르 현지 매체 ‘더스트레이츠타임스(The Straits Times)’에 따르면 △진코솔라 △라이젠에너지 △JA솔라 등은 최근 말레이시아 공장 운영을 중단하거나 투자를 축소하고 있다. 이들 3개 회사는 말레이시아 전체 태양광 생산 용량의 40%를 차지한다. 중국 기업들이 말레이시아 시장 철수를 검토하는 것은 도널드 트럼프 신임 미국 대통령 취임에 따른 관세 인상 때문이다. 미 상무부가 작년 동남아시아에서 수입되는 태양광 패널에 신규 관세를 부과한 바 있는데다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더해져 추가 인상을 시행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친 수 마우 말레이시아 태양광 산업협회 고문은 "중국 태양광 패널 회사 대부분은 미국 시장을 겨냥해 말레이시아 사업을 확장했는데, 미국으로 수출되는 태양광 패널의 소유권에 대한 검토가 강화됐고 트럼프 행정부의 높은 관세로 인해 이들 제품이 미국 시장에서 경쟁력을 잃을 가능성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인공지능(AI) 산업 규모가 5년 내 1조 위안(약 197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스마트카, 로봇 분야에서 AI 기술이 활발하게 도입되며 산업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측됐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중국 경영컨설팅 기업 CCID 컨설팅(CCID Consulting)에 따르면 중국 AI 산업은 2035년까지 연평균 15.6%씩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2030년에는 산업 규모가 1조 위안을 돌파해 2035년에는 1조 7295억 위안(약 340조원)에 도달할 것으로 분석됐다. 중국 정부가 발표한 '인공지능+' 행동방안에 따르면 AI산업 육성 과정에서 미국은 기술 혁신, 유럽은 규범 제정, 중국은 시장 수요에 집중하고 있다. 실제로 중국 정부는 AI 기술 발전과 산업 융합을 위해 적극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다. 전국공업정보화공작회의(全国工业和信息化工作会议)에서 실시하는 '인공지능+제조' 행동방안에서는 범용 대규모 모델과 산업 대규모 모델의 연구개발 추진 및 중점 시나리오 응용 강화 등 산업 수요에 대응하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카, 로봇 산업에서 AI 응용 분야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는 해당 산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반도체 기업 인텔과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대만 TSMC, 두 기업 수장이 전격 회동했다. 합작사 설립 논의가 속도를 낼 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25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립부탄 인텔 CEO와 웨이저자 TSMC 회장은 이번주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TSMC 연례 기술 컨퍼런스에서 만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립부탄 CEO는 24일 실적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TSMC는 우리의 아주 좋은 파트너로 설립자인 모리스 창과 웨이저자 CEO는 나의 오랜 친구"라며 "최근 만남에서 협력할 수 있는 분야를 모색했고 서로에게 도움일 될 수 있는 상황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고 밝혔다. 앞서 이달 초 양사 간 합작사를 설립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와 주목받았다. IT 전문 매체 디인포메이션은 두 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인텔과 TSMC 임원이 최근 합작 투자사 설립을 위한 예비 계약을 체결했다"고 보도했다. 인텔과 미국 반도체 기업이 합작사에 대한 대부분 지분을 보유하고, TSMC는 20%만 갖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웨이저자 회장은 지난 17일 실적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합작회사, 기술 라이선스, 기술 이전·공유
[더구루=길소연 기자] 파나소닉 에너지가 미국 전기 상용차 스타트업 '하빈저 모터스(Harbinger Motors, 이하 하빈저)'에 배터리를 공급한다. 테슬라 전기차에 배터리를 공급해온 파나소닉은 하빈저의 트럭과 밴에도 공급해 성능과 효율을 극대화한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업계에 따르면 파나소닉 계열사인 파나소닉 에너지는 하빈저의 중형 전기차용 공식 배터리 셀 공급업체로 선정됐다. 파나소닉 에너지는 하빈저의 모든 모델에 최신 2170 원통형 배터리를 공급한다. 지름 21㎜, 높이 70㎜인 원통형 2170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배터리 생산 능력을 현재 10% 가량 향상시킨다. 이로써 생산비용이 감소되고, 배터리 가격이 낮아진다. 테슬라의 전기차 모델3와 모델 Y에도 파나소닉의 2170 배터리가 탑재되고 있다. 파나소닉 에너지가 공급할 2170 배터리 셀은 업계 최고 수준인 800Wh/L(리터당 와트시) 이상의 에너지 밀도를 자랑하며, 트럭의 에너지 솔루션을 보장한다. 파나소닉 에너지가 일본에서 생산된 배터리 셀을 하빈저에 공급하면 하빈저의 독점 배터리 시스템에 통합돼 미국산 중형 전기차에 동력을 공급하게 된다. 파나소닉 에너지의 배터리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