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영미권 최대 온라인 커뮤니티인 레딧이 만우절을 맞아 진행한 이벤트를 통해 유저를 끌어모은 것으로 확인돼 눈길을 끌고 있다. 11일 모바일 시장조사기관 센서타워에 따르면 레딧 모바일앱은 만우절을 맞아 87시간동안 진행된 'r/place' 이벤트를 통해 전년동기 대비 25% 증가한 일일 활성 유저(DAU)를 기록했다. 'r/place'는 2017년 처음 공개된 콘텐츠로 1일부터 4일까지 진행됐다. 이벤트 기간 레딧은 1600만 개 타일로 이뤄진 디지털 캔버스를 유저들이 1개 타일 씩 채워넣을 수 있도록 해 수 많은 사람들이 조직적으로 창조적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했다. 레딧 모바일 앱의 다운로드도 증가했다. 센서타워는 'r/place'가 시작되고 3일 간 레딧 모바일앱 다운로드 건수는 61만2000건으로 직전 3월 29일부터 3월 31일까지의 52만3000건보다 17%가 증가했다. 이에따라 레딧 모바일 앱은 전세계 54개 애플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 수 톱100 안에 포함됐다. 레딧은 모바일 앱의 꾸준한 성장세를 발판삼아 올해 IPO(기업공개) 대박을 노린다. 레딧은 올해 IPO를 통한 미국 증시 상장을 준비하고 있다. 레딧의 기업가치는 1
[더구루=최영희 기자] 모바일, 블록체인 소프트웨어 기업 유라클이 8일 고객 편의성 향상과 컨텐츠 강화를 위해 기술지원 홈페이지를 전면 개편하여 오픈했다. 새롭게 문을 연 유라클 기술지원 홈페이지는 반응형 웹을 적용해 모바일, PC, 태블릿 등 여러 디바이스 환경에서 동일한 UI/UX를 제공한다. 직 관적인 레이아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했으며, 나의 답변 영역을 별도로 제공하여 고객의 문의 내용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모바일 앱 개발 플랫폼인 모피어스(Morpheus)와 블록체인 플랫폼인 헤카테(HECATE)의 제품 소개 외에도 동영상 강의와 관련 상세 개발 정보가 담긴 위키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에 관한 모든 정보와 질의응답을 하나의 사이트에서 해결할 수 있도록 개편하여 제품 이용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화 했다. 또한, 제품 및 OS 업그레이드로 인한 이슈를 빠르게 해결할 수 있게 공지 기능을 강화했고, 제품 사용 시 어려움을 즉각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FAQ의 컨텐츠도 추가했다. 유라클 권태일 대표이사는 “진정한 고객 만족을 위해서는 납품 후에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꾸준하게 고객과 소통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디지털 소통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의 IT기업 텐센트가 운영하는 스트리밍 플랫폼 '트로보(Trovo)'가 우크라이나 무력침공으로 국제사회의 제재를 받고 있는 러시아에서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네이버 라인의 그룹웨어 플랫폼 '라인 웍스'가 일본에서 차세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출시하며 서비스 강화에 나섰다. 웍스 모바일 재팬은 지난 4일 개발자용 '라인 웍스 API 2.0(LINE WORKS API 2.0)' 서비스를 시작했다. 지난해 12월 7일 베타 버전 공개 이후 4개월여 만이다. 웍스 모바일 재팬은 API 2.0 베타버전을 테스트하며 성능 검증과 고객 피드백을 받아왔다. 라인 웍스 API 2.0은 기존 1.0버전에 비해 사용하기 쉽도록 구조가 통일됐으며 베타 테스트 기간 받은 피드백을 반영해 UI를 다듬어 더욱 직관적이면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 됐다. 또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API도 확충해 더 많은 경험이 가능하도록 했다. API는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함수의 집합체로, 애플리케이션 개발시 쉽게 개발을 할 수 있도로 각종 함수를 모아놓은 것으로 정의된다. 즉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툴의 일종으로 이해할 수 있다. 라인 웍스의 API 2.0은 기존 버전에 비해 개발이 용이하게 된 만큼 향후 파트너십 확대에도 빠르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래에셋·네이버가 투자한 인도네시아 핀테크 업체 핀액셀(FinAccel)이 현지 오프라인 상업은행을 인수했다. 핀액셀은 디지털 뱅킹 서비스 분야를 강화하게 됐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무력침공 이후 텔레그램, 시그널 등 암호화 메신저의 사용량이 급증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4일 모바일 시장조사기관 센서타워가 공개한 '우크라이나·러시아 메신저 사용량 보고서'에 따르면 2월 24일 러시아의 침공 이후 우크라이나에서 텔레그램, 시그널 등의 다운로드 건수가 연초에 비해 197%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센서타워에 따르면 2월 24일부터 3월 20일까지 우크라이나에서 텔레그램과 시그널은 양대마켓(구글플레이, 앱스토어)에 걸쳐 총 170만 건이 설치됐다. 이는 1월 30일부터 2월 23일까지 57만3000건이 설치된 것에 비해 197% 증가한 수치다. 러시아에서도 240만 건에서 320만 건으로 33%가 증가했다. 텔레그램만 보면 우크라이나에서 2월 24일부터 3월 20일까지 95만7000여건의 설치가 이뤄지면 1월 30일부터 2월 23일동안 이뤄진 50만6000건에 비해 89%가 증가했다. 러시아에서는 270만 건을 기록하며 230만 건에 비해 17%가 증가했다. 우크라이나에서 시그널은 눈에 띄는 결과를 받아들었다. 시그널은 전쟁 발발 이후 한 달동안 78만7000건이 설치되며 이전 한 달의 6만7000
[더구루=홍성일 기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소셜미디어 플랫폼인 트루스소셜(Truth Social)의 다운로드 수가 출시 한 달여만에 90% 이상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NHN 인베스트먼트에 투자를 유치한 바 있는 영국의 보안 전문기업 '트루닷아이디(tru.ID)'가 추가 투자를 유치하며 시장 확대에 나선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래에셋이 투자한 바 있는 식료품 배송 플랫폼 조크르(JOKR)가 신규 모바일 앱을 출시했다. 조크르는 지난달 28일(현지시간) AI 기술을 활용한 개인별 콘텐츠 큐레이션과 쇼핑을 결합한 새로운 모바일 앱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새로운 조르크의 앱은 자체 AI 플랫폼 기술을 활용해 소비자의 과거 쇼핑 행동을 기반으로 맞춤형 항목을 제공할 뿐 아니라 거주지에서 접근 가능한 항목도 제공한다. 또한 구매하는 식료품에 어울리는 레시피, 요리 콘텐츠로 추천한다. 조르크는 자체 AI 플랫폼을 통한 서비스를 제공해 소비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를 충족하면서도 식료품을 소비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조르크 관계자는 "우리는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소비자 중심의 제품을 만들었다고 믿는다"며 "우리는 앱은 매력적이고 유연한 인터페이스로 사용자를 즐겁게 하는 동시에 데이터를 사용, 가장 관련성이 높고 개인화 된 경험을 제공하는 것으로 핵심으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의 정신건강 앱을 개발하고 있는 사운드마인드가 에어비앤비 등으로부터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이스라엘 모바일 보안 업체 '짐페리움(Zimperium)'이 스티브 므누신 전 미국 재무장관이 이끄는 사모펀드를 새 주인으로 맞이했다. 삼성전자, 소프트뱅크 등 투자계 '큰 손'들이 점 찍은 유망 기업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새로운 소셜미디어 앱으로 주목받고 있는 프랑스의 비리얼(BeReal)이 인스타그램의 대안으로 주목받으며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더구루=진유진 기자] 미국 '바이오젠(Biogen)'과 일본 '에자이(Eisai)'가 공동 개발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레카네맙(상품명 레켐비)'이 호주에서 공식 승인됐다. 최근 미국 FDA 승인에 이어 호주에서 추가 허가를 받으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레카네맙의 상업적 확장세가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동시에 이 약의 제제는 레카네맙은 최근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TIME)'이 선정한 '2025년 최고의 발명품'으로도 꼽히며 혁신성을 인정받았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태양광 전기차 스타트업 앱테라 모터스(Aptera Motors)가 증시에 상장한다. 자본력을 강화해 태양광 전기차 상용화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