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가 미국 실리콘밸리에 거점을 마련하고 현지에서 뉴스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미국 미디어법인 구루투데이(www.guru.today)는 국내 글로벌 기업들이 펼치는 역동적인 비즈니스 현장과 한국 경제의 생생한 모습을 영문으로 미국 현지에서 전 세계로 타전합니다. 현지 본사는 실리콘밸리 산호세에 위치하며, 한국과 싱가포르, 이스라엘 등에 걸쳐 ‘버추얼 뉴스룸‘을 운영하며, 지역과 국경을 넘어 협업합니다. 이미 글로벌 투자정보 플랫폼 인베스팅닷컴과 글로벌 주요 포털인 MSN과 콘텐츠 공급 협약을 맺고 산업·금융·테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투자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미국 최대 뉴스포털 애플리케이션(앱) 뉴스브레이크(NewsBreak)와의 협업도 앞두고 있습니다. 구루투데이는 앞으로 국내 자본 투자 시장에 관심을 보이고 글로벌 일반 투자자 이른바 ‘K-개미’에게 대한민국 혁신 기술과 자본시장 트렌드를 제공하는데 역량을 집중하겠습니다. 구루투데이에 많은 관심을 바랍니다.
한국인터넷신문협회 제13대 회장에 김기정 그린포스트코리아 대표이사가 선출됐다. 인신협은 27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정기총회를 열고 차기 인신협회장 선거를 진행한 결과 김 대표를 신임 회장으로 선출했다고 밝혔다. 김 신임 회장은 "시장의 위기에 대응하고 협회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업무에 곧바로 착수할 것"이라며 "42.195km를 쉬지 않고 달려가는 마라토너의 굳센 의지로 협회와 회원사의 발전을 위해 노력을 경주하겠다"고 다짐했다. 김 회장은 KBS와 국민일보 기자를 거쳐 △미주리주립대학교 저널리즘스쿨 초빙연구원 △쿠키뉴스 대표이사 △한국온라인신문협회 회장을 역임한 바 있다. 한편, 이번 선거는 조용만 비즈워치 이사회의장 겸 택스워치 대표이사와의 양자 대결로 진행됐다. 투표권을 가진 정회원 125명 중 119명이 참여해 95.2%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더구루=오재우 기자] 의료건강신문 메디컬투데이는 오는 5월 3일~4일 이틀간 충북 제천축구센터에 ‘메디컬리그 KMSL(Korea Medical Soccer League)’를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전국 의과대학, 치과대학, 한의과대학, 약학대학 소속 대학을 대상으로 한 축구대회이며, 올해를 시작으로 매년 정기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메디컬투데이측은 설명했다. 올해의 경우 건국대와 경희대, 고려대, 성균관대, 서울대, 연세대 원주캠퍼스, 전남대, 조선대, 중앙대, 차의전, 충남대, 충북대, 한양대 등 의과대학 13개팀을 비롯해 서울대, 연세대, 경희대, 단국대, 경북대, 부산대, 전북대, 전남대 등 치과대학 8개팀, 상지대, 대구대, 대전대, 동국대, 세명대 등 한의대 5개팀 등 총 32개팀이 참가한다. 이번 대회는 우승팀과 준우승팀 3위팀에게는 트로피와 상금이 수여된다. 또한 대회 MVP와 득점왕도 선정해 시상한다.
◆더구루 △금융·부동산 에디터(부장) 황인표
▲김대수 씨 별세·이주환 해양통신 발행인(한국해양기자협회 회장) 빙부상=부산 부산진구 자유평화로 31 부산시민장례식장 VIP실. 발인 1월 9일 낮 12시 30분, 장지 영락공원.
[더구루=김명은 기자] 세계 3대 신탁은행인 노던트러스트가 미스토홀딩스(옛 휠라홀딩스) 미국 자회사 아쿠쉬네트 홀딩스의 지분을 추가로 확보했다. 아쿠쉬네트는 타이틀리스트, 풋조이 등의 세계적인 골프 브랜드를 보유한 기업이다. 노던트러스트의 이같은 행보는 미스토홀딩스의 골프 사업 확대 전략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21일 뉴욕주식거래소(NYSE)에 따르면 노던트러스트는 최근 4분기 동안 아쿠쉬네트 지분을 8.7% 늘렸다. 노던트러스트는 아쿠쉬네트 지분 약 0.58%(2517만4000달러 상당)을 보유하고 있다. 노던트러스트의 투자는 아쿠쉬네트의 모기업인 미스토홀딩스가 골프 사업 중심으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과 무관치 않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미스토홀딩스의 사업은 골프 브랜드를 전개하는 아쿠쉬네트 부문과 휠라, 스포츠·라이프스타일 브랜드를 포함한 미스토 부문으로 나뉜다. 최근 아쿠쉬네트의 성장이 두드러진다. 1분기 아쿠쉬네트 부문 매출은 1조218억원으로 10% 가량 증가했다. 반면 미스토 부문 매출은 2157억원으로 11.1% 쪼그라들었다. 아쿠쉬네트 부문 매출 비중이 전체의 82.6%를 차지하면서 미스토홀딩스는 '휠라' 단일 이미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반도체 설계자산(IP) 업체 '램버스(Rambus)'가 차세대 인공지능(AI) PC 시대를 겨냥한 메모리 모듈 칩셋을 출시하며 사업 확장에 나섰다. 서버용 메모리 칩셋 기술력을 입증한 데 이어 신제품을 통해 노트북, 데스크탑 등 클라이언트용 메모리 모듈 시장 진입 신호탄을 쐈다. [유료기사코드] 20일 램버스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차세대 D램 모듈 규격에 최적화된 전력관리반도체(PMIC) 2종 'PMIC5200'과 'PMIC5120'을 공개했다. 신제품은 인텔과 마이크론 등 주요 기업의 차세대 AI PC 플랫폼에 적용될 예정이다. PMIC5200과 PMIC5120은 업계가 주목하는 신형 메모리 모듈 폼팩터에 특화됐다. PMIC5200은 'LPCAMM(Low Power Compression Attached Memory Module)2'를, PMIC5120은 'CSODIMM(Compressed Small Outline Dual In-line Memory Module)'와 'CUDIMM(Compressed Unbuffered Dual In-line Memory Module)'을 지원한다. LPCAMM2는 LPDDR 패키지 기반 신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