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구루=홍성환 기자] 일본 기준금리 인상 여부로 놓고 중앙은행 심의위원들 간 의견이 엇갈렸다.
12일 코트라에 따르면 일본은행은 지난달 30일 금융정책결정회의 주요 의견을 공표했다. 금융정책결정회의은 우리나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와 같은 기능을 하는 회의로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앞서 일본은행은 지난달 18~19일 열린 회의에서 정책금리를 0.5%로 동결했고, 상장지수펀드(ETF)와 부동산투자신탁(REIT)의 매각을 결정한 바 있다.
일부 위원은 "미국 관세정책 불안 해소로 해외 제약요인이 줄어들고 있어, 저금리 조정이 가능한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다른 위원은 "물가 상방 리스크를 감안하면, 급격한 금리 인상 충격을 피하기 위해 중립 금리에 더 가까이 다가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경제·물가가 큰 틀에서 예상 궤도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일정한 주기로 금리를 조정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신중론도 제기됐다. 한 위원은 "국내 상황만 보면 금리 인상 시점이지만, 미국 경기 둔화 정도가 불확실해 당분간 현상 유지가 적절하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일본 경제의 특성을 들어 "내수가 외부 충격에 취약해 데이터를 추가 확인한 뒤 결정해도 늦지 않다"는 의견과 "관세율이 15%가 되면 성장률 둔화가 불가피하다"는 전망도 제시됐다.
일본은행은 오는 29~30일 금융정책결정회의를 개최한다. 일본은행은 올해 1월 기준금리를 기존 0.25%에서 0.5%로 올린 뒤 지난 회의까지 5회 연속 동결했다. 다만 위원 9명 중 2명은 지난 회의에서 금리를 0.75%로 인상할 것을 제안했다.
ETF와 REIT 매각에 대해서는 다수 위원은 "주식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규모가 적당하다"고 발언했다. 다만 일부 위원들은 "처분 완료까지 장기간 시간이 걸리는 것은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또 올해 7월 금융기관으로부터 매입했던 주식 처분을 완료한 사례를 언급하며 "큰 시차를 두지 않고 매각하는 게 적절하다"는 의견도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