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캐나다에 세계 155㎜ 자주포 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K9 자주포를 진출시킨다. 캐나다가 미국산 M777 견인포를 대체하기 위해 새로운 포병 시스템 인수에 나선 가운데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K9 자주포로 수주전에 뛰어든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배진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루마니아 법인장이 슈테판 라두 오프레아(Stefan-Radu Oprea) 총리실장(장관급)과 만났다. K9 자주포의 현지 공장 설립을 위한 세부 계획을 구체화한 것으로 보인다. 군비 지출을 확대하고 있는 루마니아를 잡고 유럽 시장에서 수주를 확대한다. 13일 루마니아 정부에 따르면 배 법인장은 최근 오프레아 총리실장(장관급)과 만났다. 양측은 K9 자주포 인도와 현지 공장 건설 관련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오프레아 총리실장은 회동 직후 소셜미디어 '링크드인'을 통해 "한화는 단순히 무기를 납품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루마니아 공장에서 자주포를 생산할 계획"이라며 "마르셀 치올라쿠 총리가 이끄는 루마니아 정부와 한국 파트너들은 이 프로젝트의 목표 기한을 준수하고자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있다"고 소회를 남겼다. 루마니아는 우크라이나 접경 국가로 지난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군사력을 강화하고 있다. 국내총생산(GDP)의 2% 상당을 국방비에 투입해왔다. 일리에 볼로얀 루마니아 대통령 권한 대행은 지난달 1~2년 안에 단계적으로 3%까지 늘릴 수 있다고 밝혔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
[더구루=길소연 기자] 록히드마틴이 수출용 F-35 스텔스 전투기에 원격으로 전투기를 비활성화 시키는 '킬 스위치' 장착 논란을 부인했다. 굳이 킬 스위치를 쓰지 않고도 수출용 전투기 유지보수와 물류 네트워크의 접근을 막는 것으로 F-35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야간 작전 도중 추락한 필리핀 공군의 한국산 FA-50 전투기의 비행기록장치가 발견됐다. 비행기록장치는 미국으로 보내져 음성과 비행 데이터를 추출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방산기업 록히드마틴(Lockheed Martin) 자회사인 시코르스키(Sikorsky)가 '로터 블로운 윙(rotor blown wing)' 방식 전기 무인 항공기(UAS)의 운영 안정성과 기동성을 입증했다. 시코르스키는 시험 비행 결과를 바탕으로 대형 로터 블로운 윙 UAS를 개발에 힘쓴다는 목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미국법인(한화디펜스USA) 대표단이 방한했다. 최근 영입된 경영진들이 주축이 되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오션 사업장을 방문했다. 주력 무기인 K9 자주포를 비롯해 육·해상 무기 체계의 제조 과정을 살피고 사업 전략을 점검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군 현대화를 내걸어 미국발 호재가 기대되는 가운데, 한화 방산 계열사들은 현지 시장 진출을 위해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있다. 로저 캠프 한화디펜스USA 비즈니스 개발 시니어 디렉터는 지난주 소셜미디어 '링크드인'을 통해 방한 소식을 전했다. 마이클 스미스 한화디펜스USA 법인장과 제이슨 박(Jason Pak∙한국명 박제선) 대외협력 시니어 디렉터 등도 동행했다. 캠프 디렉터는 미국 해군 장교 출신으로 지난달 한화에 영입됐다. 스미스 법인장은 작년 11월, 박 디렉터는 그해 10월 말 한화디펜스USA에 합류했다. 연이은 인사 후 새로 선임된 경영진은 한화의 방산 사업을 살피고 계열사들과 협력을 모색하고자 한국을 찾았다. 이들은 한화오션 옥포조선소를 둘러보고 정승균 특수선 해외사업단장(부사장)을 비롯해 임직원과 만나 군함 사업 계획을 확인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창원 사업장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로템이 폴란드에 올해 두 번째 K2 전차를 인도했다. 조기·적기 납품으로 폴란드 현지에서 호평을 받고 있는 현대로템은 남은 물량도 순차적으로 인도해 현지 신뢰에 부응한다는 포부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로템은 최근 폴란드에 올해 두 번째 K2 전차 납품을 완료했다. 폴란드 수출 버전인 K2 전차 'K2GF(일명 Gap Filler·갭필러)' 12대가 폴란드항에 도착했다. 파웰 베이다 폴란드 국방차관은 소셜미디어 엑스(X, 옛 트위터)에 "현대로템의 K2GF 흑표 전차가 공세에 나섰다"며 "12대의 K2 전차는 이미 폴란드에 도착했고, 이들은 곧 폴란드 제16기계화사단에 넘겨질 것"이라고 말했다. 제16기계화사단은 최근 K2 전차 훈련에 돌입했다. 지휘관과 포수, 운전병 등 전차 운영 군인들을 대상으로 K2 전차 이론과 실기 교육을 고루 진행했다. 폴란드군은 북동부 국경 지대에 K2 전차를 투입하고 러시아·벨라루스와의 분쟁에 대비하고 있다. <본보 2025년 1월 19일 참고 폴란드군, '북동부 국경 지대 지킴이' K2전차 집중훈련 착수> 현대로템의 이번 납품은 올해 두 번째다. 올해 K2 전차의 첫 인도는 지난달 21
[더구루=오소영 기자] 현대로템과 STX가 페루 군·방산업계 고위 관계자들과 회동했다. 핵심 기동전력인 차륜형장갑차를 수출하며 지상무기 전반으로 협력을 확대하고 국방 역량 강화를 지원한다. 10일 페루 국방부에 따르면 현대로템과 STX는 지난달 27일(현지시간) 페루 육군본부에서 열린 회의에 참석했다. 이번 회의는 호르헤 아레발로 칼리노프스키(Jorge Arévalo Kalinowski) 군수사령부 총사령관과 파울로 제발로스 리바롤라(Paulo Zevallos Rivarola) 육군조병창(FAME) 커머셜 담당의 주재로 열렸다. 페루 측에서는 페루산업협회(SNI)의 폴라 과닐로 알바라도(Pola Guanilo Alvarado) 부회장을 비롯해 군 관계자가 배석했으며, 현대로템에서는 김성일 DS글로벌사업실장 등 임직원이 동행했다. 현대로템과 STX는 페루 사업 현황을 소개하고, 지상무기에 대한 협력을 검토했다. 현지 기업의 참여 가능성과 페루 방위산업의 성장 기회도 분석해 공유했다. 페루 기업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차륜형 장갑차 사업에서 현지 업체들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살폈다. 현대로템과 STX는 작년 5월 페루에서 차륜형 장갑차 K808 백호 30대
[더구루=길소연 기자] 루마니아 육군이 처음으로 LIG넥스원의 휴대용 지대공 유도무기 '신궁(KP-SAM)'의 실사격 훈련을 수행했다. 루마니아는 신궁 실사격 절차 숙달과 운용요원 사격 능력을 통해 완벽한 대공 방어태세를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필리핀 공군이 현지 국방부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경공격기 'FA-50'의 추가 구매를 정식 제안했다. 군 현대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공군의 전투 능력 향상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발생한 추락 사고에도 불구하고 FA-50 추가 조달에 대한 공군의 의지는 꺾이지 않고 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호주 국방부 장관이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AS9 헌츠맨 자주포와 AS10 탄약운반장갑차를 인도한 것을 기념해 호주 공장을 방문했다. 호주 육군 무기 체계 현대화 사업의 핵심 파트너로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입지가 공고해지고 있다. 9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호주법인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현지 생산시설 'H-ACE(Hanwha Armoured vehicle Centre of Excellence)’에서 호주 군의 상징인 '오스캠(Auscam)' 마크를 부착한 AS9 헌츠맨 2문과 AS10 1대를 공개하는 행사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리차드 말스 호주 국방부 장관과 심승섭 주호주 한국 대사 등이 참석했다. 오스캠은 오스트레일리안 카모플라쥬(Australian Camouflage)의 약자로, 호주 군에서 사용하는 특수한 위장 패턴이다. 이 패턴은 호주 군의 차량, 장비, 군복 등에 적용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인도한 AS9 헌츠맨과 AS10이 호주 군용 장비임을 표시하는 것이다. 또 AS9 헌츠맨과 AS10은 호주 육군의 자주포 도입 사업인 '랜드 8116’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납품된 첫 무기 체계로 인정받았다. 현지 국방부 장관이 신무기 인도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래 미국 공군의 핵심 전력이 될 협동전투기(Collaborative Combat Aircraft, CCA) 프로젝트에 참가하는 무인항공기 시제품에 제식번호가 부여됐다. 미국 공군은 유인 전투기와 무인 전투기를 혼합한 공중 전력 구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루마니아가 차세대 보병전투장갑차(IFV)로 독일 라인메탈의 링스를 선정했다는 보도를 정정했다. 라인메탈의 장밋빛 전망과는 뚜렷한 입장 차이를 드러내면서 사업자 선정이 아직 열려있다고 분명히 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레드백도 유력 후보로 검토하며 막판까지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일본 국가전략 반도체 기업 라피더스(Rapidus)가 3년 내 1.4나노미터(nm, 이하 나노) 공정 반도체 양산을 목표로 생산시설을 구축한다. 라피더스는 1.4나노 반도체로 초미세 공정 경쟁에 본격 참여해 TSMC와 삼성전자 등 파운드리 선두 기업의 경쟁 구도에 변화를 예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