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이 미국의 반도체 제재 속 인공지능(AI) 개발을 위한 새로운 클러스터 기술을 개발했다. 새로운 기술이 중국 내 하이엔드(고급) 그래픽처리장치(GPU) 부족 문제가 해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에서 클러스터 기술을 활용해 여러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연결해 생성형 AI 모델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이같은 사실은 시장조사기관 무어 인사이트 앤 스트레티지 수석 애널리스트인 패트릭 무어헤드(Patrick Moorhead)에 의해서 알려졌다. 패트릭 무어헤드는 "중국은 미국보다 낮은 성능의 하드웨어로 AI 훈련 데이터센터를 만들고 운영하는데 능숙해졌다"며 "중국은 여러 데이터센터에서 하나의 생성형 AI 모델을 훈련한 최초의 국가"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같은 사실은 한 대기업으로부터 알게 됐다. NDA(기밀유지 서약) 내용이라 공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미국의 제재 속 최고성능의 엔비디아 GPU를 확보하지 못하게 되는 등 칩 확보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에 제재 속 확보했던 엔비디아 A100, 중국형 모델인 엔비디아 H20, 화웨이의 자체 AI칩 어센드 910B 등 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화웨이가 스마트폰에 이어 개인용 컴퓨터(PC) 부문에서도 '탈'미국 행보를 이어간다. 화웨이는 자체 운영체제(OS)를 앞세워 관련 시장을 공략할 예정이지만 생태계 확장에는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업계에 따르면 화웨이는 현재까지 출시된 PC 제품에만 마이크로소프트(MS)의 윈도우를 적용한다. 이후 출시되는 제품에는 자체 개발한 OS인 '하모니OS'가 적용된다. 화웨이가 PC용 하모니OS를 개발할 것이라고 알려진 것은 지난해 9월이다. 하모니 OS 개발을 주도했던 선전카이훙디지털산업발전 왕청뤼 최고경영자(CEO)는 웨이보를 통해 화웨이가 PC용 하모니OS를 2024년 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화웨이가 장착할 OS는 9월 말 출시되는 자체 개발 OS '하모니OS 넥스트'다. 화웨이는 이전부터 하모니OS 넥스트의 홍보 이미지에 PC를 포함시켜왔다. 하모니OS 넥스트는 화웨이가 모든 것을 자체적으로 개발한 최초의 OS다. 화웨이는 통상적으로 자체 OS 개발에 사용하는 리눅스 코드로 활용하지 않았다. 또한 기존 하모니OS 개발에 사용했던 안드로이드 소스도 사용하지 않아 생태계간 완전한 단절에 성공했다. 화웨이는
◇디랩스 게임즈 디랩스 게임즈는 캐주얼 레이싱 게임 럼블 레이싱 스타에서 푸짐한 골드 보상을 지급하는 '웰컴 골드 이벤트'를 진행한다. 내달 10일까지 웰컴 골드 이벤트 일환으로 진행되는 '드리프트 마스터'는 최고의 드리프트 실력을 겨루는 이벤트로, 이용자는 레이스에 참가해 드리프트 실력을 뽐낼 수 있다. 최고의 드리프트 실력을 갖춘 이용자에게는 누적된 점수에 따라 1등에게는 5000골드, 2등에게는 3000골드 등 게임 내 보상이 지급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스타 스프린트' 이벤트가 10월 10일부터 24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레이스에 참가해 가장 많은 스타를 획득한 이용자에게 푸짐한 게임 내 보상이 지급될 예정이다. 럼블 레이싱 스타는 캐주얼 웹3 레이싱 게임으로 지난 2월 글로벌 시장에 선보였다. 이용자들은 잔디 깎는 기계인 '론모어'(Lawnmower)를 이용해 전 세계 플레이어들과 경쟁할 수 있다. 럼블 레이싱 스타는 출시 이후 5개월 만에 총 240만 회의 레이스가 진행됐다. ◇크립토닷컴 글로벌 가상자산 플랫폼 크립토닷컴(Crypto.com)이 AI(인공지능) 에이전트 SDK(Crypto.com AI Agent SDK)의 최초 버전을 도입했다
◇엔씨소프트 엔씨소프트(이하 엔씨)와 아마존게임즈가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쓰론 앤 리버티(THRONE AND LIBERTY, 이하 TL)'의 글로벌 얼리 액세스(Early Access, 앞서 해보기)를 시작했다. TL 글로벌 서비스는 PC는 스팀(Steam), 콘솔은 플레이스테이션 5(PlayStation 5, PS5)과 엑스박스 시리즈 S|X(Xbox Series S|X) 플랫폼을 지원한다. 얼리 엑세스 상품을 구매한 북∙남미, 유럽, 호주, 뉴질랜드, 일본 지역 이용자는 26일부터(현지시간) TL을 먼저 플레이할 수 있다. 모든 이용자가 플레이 가능한 정식 서비스는 10월 1일 시작한다. 엔씨와 아마존게임즈는 얼리 엑세스 서버와 정식 론칭 서버를 구분해 운영한다. 정식 론칭 서버 이용자는 얼리 엑세스 서버로 캐릭터를 이전할 수 있지만, 얼리 엑세스 이용자의 서버 이동은 추후 지원할 계획이다. 모든 이용자는 10월 17일까지 무료 서버 이전 혜택을 받는다. 아마존게임즈는 얼리 엑세스를 앞두고 TL의 PvP(Player vs Player, 이용자 간 대전) 콘텐츠를 체험하는 트위치 방송 'SIEGE THE DAY(시즈 더 데이)'를 진행했다.
◇SK텔레콤 SK텔레콤(이하 SKT)은 AI 기술 기반 정신건강 증진을 목표로 멘탈케어 전문기업인 유쾌한프로젝트, 튜링바이오, 이몰로지와 AI 멘탈케어 기술 개발에 나선다고 밝혔다. 유쾌한프로젝트는 멘탈케어 서비스 제공 플랫폼인 '클라이피'와 대면 심리상담센터 '클라이피 심리연구소'를 운영 중이다. 또한 튜링바이오는 정신건강 진단기술 및 우울증 개선 디지털치료기기 'DepRx' 등을 보유한 기업이며, 이몰로지는 얼굴표정기반의 심리진단기술과 집중력 향상을 위한 3차신경자극 저주파기기 '스마트드림'을 출시한 바 있다. SKT와 3사는 25일 서울 대치동 소재 유쾌한프로젝트의 심리연구소에서 각 사 역량을 결집한 'AI 멘탈케어 서비스 개발'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식을 가졌다. 이날 체결식에는 이종민 SKT 미래R&D 담당, 홍주열 유쾌한프로젝트 대표, 심민보 튜링바이오 대표, 류한욱 이몰로지 대표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SKT는 보유 중인 멀티모달 AI기술과 유쾌한프로젝트, 튜링바이오, 이몰로지의 정신건강 탐지 및 치료 기술, 관련 솔루션 역량들을 결합해 사람들의 정신건강 증진에 도움될 차별적인 AI 멘탈케어 서비스를 선보일 수 있을 것
[더구루=홍성일 기자] 아랍에미리트(UAE) 정부가 인공지능(AI) 글로벌 리더 자리를 노리고 있다. UAE 정부는 AI를 주요 국가 의제로 뽑고 산업 육성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코트라 두바이무역관이 작성한 'UAE, AI 분야 세계적 리더로 발돋움하기 위한 노력 가속화' 보고서에 따르며 UAE 정부는 지난 2일 아부다비 대통령궁에서 'UAE 내각회의'를 개최했다. 이 날 회의는 UAE 부통령 이자 두바이의 통치자인 셰이크 모하메드 알막툼이 주재했으며 UAE의 경제를 이끄는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 이 날 회의에서는 2025년 국가 정책 수립에 참고할 주요 3대 의제가 선정됐다. 3대 의제에는 가족, 국가 정체성, AI가 뽑혔다. AI가 사실상 국가 경제 정책 의제의 핵심 키워드로 뽑힌 것이다. UAE의 AI 산업 육성은 국가 AI 전략 2031 발표, AI 장관 임명이 이뤄진 2017년 본격화됐다. UAE는 2031년까지 AI분야 글로벌 리더로 발돋움하겠다는 목표로 투자를 이어나가고 있다. 이런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G42, AI71 등 기업들이 출현했으며 모하메드 빈 자이드 AI 대학교, 첨단기술연구회(ATRC), 인공지능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게임 개발사들이 모여있는 캐나다 게임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캐나다에서도 5G 통신망의 보급 속 모바일 게임 시장도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Euromonitor)의 데이터에 따르며 캐나다 비디오게임 시장 규모는 2023년 44억 6320만 캐나다 달러(약 4조4000억원)였다. 캐나다 게임 시장은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성장했으며 소프트웨어가 36억3600만 캐나다달러, 하드웨어가 8억2650만 캐나다달러를 차지했다. 유로모니터는 2038년까지 캐나다 게임 시장이 연평균 2.8%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5G 보급 등의 이유로 모바일 게임 시장도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봤다. 캐나다는 세계적인 게임 개발사들이 위치해 있다. 캐나다 게임 협회(Entertainment Software Association of Canada, ESAC)의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는 세계3위 게임 개발 국가로, 2021년 기준 게임산업의 GDP 기여도는 55억 달러였다. 캐나다에 게임 스튜디오를 운영하고 있는 개발사에는 유비소프트, 일렉트로닉 아츠(EA), 바이오웨어, 액티비전블리자드, 엑스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윈도우11에 애플 '핸드오프'와 유사한 기능을 구축 중이다. 해당 기능이 출시되면 스마트폰과 PC의 연결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윈도우OS 테스터인 테코사루스렉스(@techosarusrex)에 따르면 MS는 윈도우11에 적용한 핸드오프 기능을 개발하고 있다. 이같은 사실은 향후 공개될 '윈도우11 빌드 22635' 베타 프리뷰 과정에서 확인됐다. 핸드오프 기능은 스마트폰에서 작업하던 것을 같은 운영체제(OS)를 사용하는 PC 등에서 이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애플의 경우 아이폰에서 문서 작업을 하던 중 연결해둔 맥북 등과 가까워지면 자동으로 이를 인식, 맥북에서 이어서 문서를 편집할 수 있다. MS가 개발하고 있는 핸드오프 기능은 클라우드 서비스인 원드라이브와 연동돼 구동될 것으로 보인다. 원드라이브와 연동해 문서를 작성하다가 PC와 가까워지면 자동으로 이를 인계, 작업을 이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원드라이브를 기반으로 구동되는 만큼 해당 기능은 안드로이드, iOS 등 스마트폰 생태계를 가리지 않고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해당 기능의 이름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SK플래닛과 손잡은 일본의 게임 특화 블록체인 '오아시스'가 글로벌 블록체인 네트워크 '아비트럼' 생태계에 합류한다. 오아시스는 이번 제휴로 유동성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오아시스는 아비트럼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파트너십에 따라 아비트럼 오르빗(Arbitrum Orbit)은 오아시스의 레이어1인 '허브(Hub)'에 적용된다. 아비트럼 오르빗은 아비트럼을 개발한 오프체인랩스(Offchain Labs)에서 제공한 블록체인 구축 툴이다. 아비트럼 오르빗은 아비트럼의 맞춤형 가스 토큰, 간소화된 거버넌스 등 기술 스택과 이더리움의 보안 기술을 동시 활용할 수 있다. 그동안 아비트럼 오르빗은 이더리움 레이어2, 레이어3 블록체인 구축에 주로 사용돼 왔다. 하지만 이번 제휴로 오아시스도 아비트럼 오르빗을 통해 레이어2를 구축, 배포할 수 있게 됐다. 오아시스는 아비트럼 오르빗을 이용해 레이어2 벌스(Verse)를 생성, 배포에 나선다. 첫번째로 배포될 예정인 레이어2는 업라이징 벌스다. 업라이징 벌스는 게임에 특화된 블록체인으로 최초의 멀티체인 네이티브 수익률을 지원한다. 오아시스는 이번 제휴로 아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가 미국의 인공지능(AI) 솔루션 업체 '하이브AI'와 손 잡았다. 엔비디아는 이번 협력으로 생성형 AI로 만들어진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게 됐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하이브AI의 솔루션을 NIM 마이크로서비스에 통합하기로 했다. NIM 마이크로서비스는 엔비이아의 기업용 AI 소프트웨어 플랫폼에 포함된 서비스다. 기업들에게 최적화된 AI 모델을 제공해 빠르게 자체 AI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번에 엔비디아와 손잡은 하이브AI는 생성형 AI로 생성된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독자적인 AI모델을 개발했다. 현재 하이브AI의 모델을 도입한 기업은 월마트, 넷플릭스, 레딧, 징가, 글래스도어 등이 있다. 엔비디아가 하이브AI의 기술을 도입한 것은 생성형 AI로 인한 피해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엔비디아는 이번 협력으로 생성형AI로 인한 가짜뉴스, 사기, 허위정보 등에 시달리고 있는 보험, 금융, 언론 기관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하이브AI는 향후 수개월 내 콘텐츠 수정, 로고 감지, 광학 문자 인식, 음성 분석 등의 기능을 엔비디아 NIM을 통해 제공할 계획이다. 하이브A
[더구루=홍성일 기자]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이 미국에 신규 데이터 센터를 구축한다. 알파벳은 새로운 데이터 센터를 앞세워 인공지능(AI) 시장을 확대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정부는 26일(현지시간) 알파벳이 신규 데이터 센터 2곳을 도체스터 카운티에 구축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또한 버클리 카운티 데이터 센터도 확장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신규 데이터 센터는 각각 리지빌 파인 힐 비지니스 캠퍼스, 세인트 조지 와인딩 우즈 커머스 파크에 위치한다. 알파벳은 신규 데이터 센터 2곳을 구축하는데 20억 달러, 버클리 카운티 데이터 센터 확장에 13억 달러 등 총 33억 달러(약 4조 3430억원)를 투입하기로 했다. 알파벳은 이번 투자로 미국 내 데이터 센터 인프라 확충에 속도를 낸다. 알파벳은 지난 6월 오하이오주에 위치한 3곳의 데이터 센터 확장에 23억 달러(약 3조300억원)를 투입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알파벳은 향후에도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AI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데이터 센터 인프라에 추가 투자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사우스 캐롤라이나 주도 알파벳과 협력하고 지원도 이어나갈 예정이다. 알파벳 관계자는 "데이터 센터는 AI와
[더구루=홍성일 기자] IBM이 양자 데이터 센터를 확장 증설했다. 이번 확장으로 새로운 양자 데이터 센터는 단일 센터로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유틸리티급 양자 컴퓨터를 운영하게 됐다. [유료기사코드] IBM은 2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주 포킵시에 위치한 'IBM 퀀텀 데이터 센터(IBM Quantum Data Center)' 확장 작업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추가로 설치된 시스템은 IBM이 전세계에 제공하고 있는 12대 이상의 양자컴퓨터 라인업에 포함된다. IBM이 양자 데이터 센터에 추가한 시스템은 지난해 말 출시된 퀀텀 헤론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구축됐다. 퀀텀 헤론 프로세서는 설계에만 4년이 걸렸으며 IBM의 양자 프로세서 중 가장 높은 성능과 가장 낮은 오류율을 제공한다. IBM은 유틸리티 스케일(Utility Scale, 양자 유용성 단계) 성능을 제공하는 첫 번째 제품인 퀀텀 헤론 프로세서를 앞세워 글로벌 양자컴퓨터 시장 공략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유틸리티 스케일은 IBM이 명명한 것으로 양자 컴퓨터가 기존 시스템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새로운 규모의 문제를 탐구하기 위한 과학적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 성능과 효용을 제공하는 시점을 뜻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정부가 TSMC 성공모델을 이식해 인공지능(AI) 로봇 산업 육성에 나선다. 대만 정부는 반도체 분야와 같이 제조역량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채택, 로봇 산업계에서 제2의 TSMC 모델을 만들어내겠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대만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는 스마트 로봇 산업 육성 계획을 발표했다. 해당 계획에는 스마트 로봇 개발과 스타트업 육성, 생산 역량 확대, 보급 확대 등 3대 목표와 4대 육성 전략이 포함됐다. NSTC는 스마트 로봇 산업 육성 계획을 통해 5년 내 산업용 스마트 로봇 산업 규모를 40억 대만 달러(약 1850억원)에서 500억 대만달러(약 2조3150억원)로 10배 이상 성장시킨다는 목표다. 4대 육성 전략에 따라 대만 경제부와 NSTC는 각각 국책 연구소를 설립한다. NSTC가 설립하는 연구소는 기초 연구를, 경제부 산하 연구소는 응용 연구를 담당한다. 국가발전기금에서는 100억 대만달러(약 4630억원)를 투입, 스마트 로봇 스타트업을 설립한다. 첫 스타트업은 내년 초 설립될 것으로 예상된다. 스타트업이 설립되면 NSTC 주도로 타이난시 등에 로봇 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스마
[더구루=오소영 기자] SK머티리얼즈가 투자한 미국 그룹14테크놀로지(Group14 Technologies, 이하 그룹14)가 글로벌 화학사 바스프와 실리콘 음극재 솔루션을 출시했다. 배터리 소재 기술을 결합해 고온에서도 실온과 유사한 성능을 구현하며 내구성이 뛰어난 솔루션을 선보였다. [유료기사코드] 19일 그룹14에 따르면 이 회사는 바스프와 실리콘 음극재 솔루션 '드롭인레디(drop-in-ready)'를 개발했다. 드롭인레디는 그룹14의 실리콘 음극재 'SCC55®'와 실리콘 음극재를 위해 특별히 개발된 바스프의 바인더(활물질과 도전재가 집전체에 잘 붙을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접착 물질) '리시티(Licity®) 2698 X F'를 결합해 만들어졌다. 이 기술이 적용되면 혹독한 조건에서도 빠른 충전과 높은 에너지밀도, 우수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게 그룹14의 설명이다. 실온 테스트 결과, 드롭인레디 솔루션이 적용된 배터리셀은 충방전 사이클 1000회를 초과했으며, 80% 용량을 유지했다. 45°C의 고온에서도 흑연 음극재 대비 4배 높은 용량과 500회 이상의 사이클을 달성했다. 릭 루에베(Rick Luebbe) 그룹14 공동 설립자겸 최고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