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호주 수소기업 프로바리스에너지(Provaris Energy)가 노르웨이에서 세계 최초로 H2Neo 압축 수소 운반선 탱크 시제품을 제작한다. 프로바리스는 H2Neo 탱크 제조로 유럽 수소 수요에 대응한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프로바리스에너지는 H2Neo 탱크 프로토타입의 제조를 시작한다. 190만 달러(약 26억원)가 투자된 시제품 제조는 올해 중반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노르웨이 피스카르스(Fiskå)에 있는 프로텍스(Prodtex) 시설에서 제조되는 탱크 시제품은 직경 약 2.5m, 길이 9m의 크기로 250bar의 설계 압력에서 650kg의 수소를 저장할 수 있다. 강철 탄소층과 스테인레스 스틸 라이너를 사용해 프로바리스의 독점 설계로 제조된다. 프로바리스는 2020년 10월부터 H2Neo 압축 수소 운반체 개발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2022년에 미국 선급협회(ABS)로부터 녹색 압축 수소(GH2) 운반선인 2만6000㎥과 12만㎥ H2Max에 대해 원칙 승인(AiP)을 부여받았다. 프로바리스는 H2Neo를 작년부터 건설 준비 상태에 돌입했고, H2Max는 2026년에 출시할 예정이다. 프로바리스는 H2Neo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인도 자동차 시장 고객 접점 확대를 위해 쇼룸 확장에 나선다. 인증 중고차 판매 네트워크 강화도 병행하는 만큼 브랜드 만족도가 크게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 1일 기아 인도판매법인에 따르면 기아는 연말까지 현지 쇼룸을 700개까지 확장할 계획이다. 현지 판매 모델 △쏘넷 △카렌스 △셀토스의 인기 상승과 올해 EV9과 4세대 신형 카니발 출시를 고려해 고객 접점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 기아는 인도 내 236개 도시에 총 522개 쇼룸을 운영하고 있으며, 쇼룸이 없는 지역에 대해서는 모바일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해 공백을 메우고 있다. 현지 쇼룸 확대와 함께 인증 중고차 판매 네트워크도 확장한다. 연말 100개까지 늘리기로 했다. 현재 인증 종고차 판매를 실시하는 매장은 59개이다. 이 같은 판매 및 서비스 네트워크 확장은 기아 인도 2.0 전략에서 비롯됐다. 하딥 싱 브라르(Hardeep Singh Brar) 기아 인도 영업·마케팅 총괄 책임자는 "기아는 인도 사업 본격화 이후 현지 쇼룸을 285개에서 522개로 확장했다"며 "지속해서 쇼룸을 마련해 고객 접점을 늘리고 브랜드 접근성을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쇼룸 확장은
[더구루=홍성환 기자]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위성 라디오 회사 리버티시리우스XM(Liberty SiriusXM) 주식을 매집했다. [유료기사코드] 1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는 지난달 26~28일(현지시간) 리버티시리우스XM 클래스A 보통주 252만1431주를 매수했다. 매수액은 7340만 달러(약 1000억원) 규모다. 같은 기간 시리즈C 보통주도 759만9572주를 사들였다. 매수액은 2억2120만 달러(약 2980억원)에 이른다. 앞서 버크셔해서웨이는 지난달 21~25일 사이에도 시리즈A 보통주와 시리즈C 보통주를 각각 128만2569주(3690만 달러·약 500억원), 127만6439주(3680만 달러·약 500억원)씩 매수하는 등 올해 들어 꾸준히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리버티시리우스XM은 미국 대형 위성 라디오 업체다. 두 개의 위성 라디오 시스템을 통해 미국에서 음악,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코미디, 토크, 뉴스, 교통 및 날씨 채널과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구독료 기반으로 전송한다. 월간 청취자는 1억5000만명 수준이다. 지난해 연간 매출은 89억5000
[더구루=한아름 기자] K-뷰티 양대산맥인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이 글로벌 스킨케어 시장을 이끌 키플레이어로 우뚝 올라섰다. 아모레퍼시픽의 설화수와 코스알엑스와 이니스프리, 라네즈, 에뛰드가LG생활건강의 빌리프와 더 페이스샵가 각각 호평을 받았다. 1일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 퓨처마켓인사이트(Future Market Insights)에 따르면 글로벌 세라마이드 스킨케어 시장을 이끌 주요 기업으로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을 선정했다. 세라마이드는 피부 보습을 도와주는 성분이다. 양사는 △로레알 △프록터앤갬블 △시세이도 △존슨앤존슨 등 글로벌 유수 기업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퓨처마켓인사이트는 아모레퍼시픽은 피부 조직과 유사하도록 세라마이드의 피부 친화도를 높였다고 평가했다. 수분 손실 억제 효과를 극대화해 피부 장벽을 강화했다는 분석했다. 실제 설화수의 '퍼펙트리뉴 3X 시그니쳐 세럼'에는 인삼 과학 노하우와 세라마이드와 레티놀·콜라겐 펩타이드·플라보노이드 등 피부 유효 성분을 배합해 피부 자생력을 키웠다. LG생활건강의 빌리프와 더 페이스샵도 핵심 브랜드로 이름을 올렸다. 빌리프 핵심 제품 '더 트루 크림-모이스춰라이징 밤 2세대'에 들어 있는 세라마이드
[더구루=김형수 기자] 하이트진로가 일본에서 다양한 굿즈를 통한 현지 고객 잡기에 나섰다. 요코하마 소재 상업시설 노게이치반가이(野毛一番街)와 콜라보 이벤트를 펼치며 열도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하이트진로는 노게이치반가이 손잡고 '참이슬 스크래치 캠페인'을 시작했다. 노게이치반가이 안에 있는 △꼬치구이 전문점 '비스트로 가브리' △닭고기 숯불구이집 '고츠보' △꼬치튀김·카레우동 레스토랑 '부루' △육류 전문식당 '비프키친스탠드' △생선요리주점 '하나타레' △한국식 선술집 '노게칸베에' 등에서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 이들 매장에서 참이슬톡톡을 주문한 고객에게 스크래치 카드를 제공한다. 스크래치 카드 결과에 따라 하이트진로 두꺼비 캐릭터가 디자인에 활용된 '오리지널 젤 네일 키트', 두꺼비 캐릭터와 벚꽃 이미지를 활용해 제작한 '참이슬 꽃놀이 라벨' 등을 증정한다. 펀(Fun) 요소를 가미한 이벤트를 통해 소비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한편 현지 제품 판매를 확대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하이트진로는 "노게이치반가이와의 콜라보 캠페인을 기획했다"면서 "스크래치 카드 이벤트에 당첨되면 그 자리에서 한정판 굿즈를 받아갈 수 있다"고 전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미포의 베트남 법인인 HD현대베트남조선이 베트남에서 노후주택을 개선하는 사회공헌활동을 펼쳤다. 1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베트남조선은 최근 닌호아 타운 베트남 조국전선위원회와 지역 지도자들과 협력해 닌탄(Ninh Tan)과 닌심(Ninh Sim) 2개 구의 9가구를 대상으로 주택 기증에 나섰다. HD현대베트남조선은 닌화진 베트남 조국전선위원회가 시작한 빈곤층, 준빈곤층, 소외 계층을 위한 대연대 주택 건립 프로그램에서 주택 건설을 후원했다. 지원 대상은 집이 노후화되고 파손돼 수리가 불가능한 소외 계층 가구에 속한다. 새집을 받은 응웬탄충(Nguyen Thanh Chung)씨는 "HD현대베트남조선 임직원들과 닌호아성 지방정부의 관심에 감사드린다"며 "더 이상 비 새는 집 걱정 없이 우리 가족이 새롭고 넓은 집을 가질 수 있도록 기꺼이 재정적 지원을 해줬다"고 감사 인사를 전했다. 이어 "아내와 아이들은 우기가 와도 잠잘 곳을 걱정할 필요없이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판 쑤언 호아(Phan Xuan Hoa) 닌호아성 당위원회 상임부서기는 "앞으로도 HD현대베트남조선이 마을의 가난한 가정에 관심을 갖고, 이와
[더구루=홍성일 기자] 알파벳의 인공지능(AI) 자회사 구글 딥마인드(Google DeepMind)가 스탠퍼드 대학교 연구진과 손잡고 대형언어모델(LLM)의 '환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실 확인 툴(팩트 체커) 솔루션을 개발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구글 딥마인드는 스탠퍼드 대학교 연구진과 SAFE(Search-Augmented Factuality Evaluator)라는 자동 평가 프레임워크를 도입했다. SAFE는 LLM에서 생성된 콘텐츠의 사실성(factuality)을 평가하는 단계를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설계됐다. LLM 생성 콘텐츠의 사실성을 확인하는 것은 AI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 핵심적인 프로세스다. 특히 생성형 AI의 문제점 중 하나가 환각인 점을 봤을 때 이런 과정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환각은 생성형 AI가 실제로는 없거나 사실이 아닌 정보를 사실인 것마냥 출력하는 현상을 말한다. 그동안은 이런 환각증세가 발생했을 때 주석자(어노테이터, annotators)들이 수동을 일일이 확인해 모델을 개발해왔다. 오픈AI도 챗GPT를 개발하면서 이런 과정을 거쳐 답변의 정확성을 높인 것으로 알려져있다. SAFE는 이 작업을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단독 브랜드로 중국에 직수출하며 승부수를 던졌던 대형 플래그십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팰리세이드가 현지 수입차 시장에서 고전하고 있다. 베이징현대가 아닌 현대차 자체 브랜드 경쟁력을 시험하기 위해 투입된 모델이라는 점에서 현지 전략 보완 필요성이 제기된다. 1일 중국자동차제조협회(CAAM)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 2월 중국 시장에서 팰리세이드 13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62대) 대비 79.03% 급감한 수치이다. 팰리세이드는 중국 시장에서 현대차 플래그십 이미지를 일신하기 위해 한국에서 직접 수입하는 모델 중 하나이다. 앞서 현대차는 지난 2020년 4년 만에 수입차 사업을 재개하면서 팰리세이드와 엘란트라 N(국내명 아반떼 N) 2종 수입을 결정한 바 있다. 엘란트라 N의 판매량은 따로 집계되지 않았으나, 현지 출시 이후 매우 저조한 성적을 나타내고 있다고 CAAM 측은 설명했다. 현지 판매량 확대보다 브랜드 홍보에 중점을 두고 있는 모델이라고는 하지만, 한 달 동안 13대 판매에 그쳤다는 점에서 제 역할을 크게 기대하기도 어렵다는 평가이다. 특히 중국 30개 도시에 총 35개의 수입차 체험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더구루=오소영 기자] LS전선이 해저케이블을 공급한 대만 '윈린(Yunlin)' 해상풍력 발전사업이 순항하고 있다. 해저케이블 전용 포설선이 대만에 도착했다. 연내 발전소 완공에 한층 가까워졌다. 1일 노르웨이 해저케이블 시공업체 '씨웨이7(Seaway7)'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달 말 중국 '둥팡오프쇼어(Dong Fang Offshore, 이하 DFO)'로부터 해저케이블 포설선(CLV) '오리엔트 어드벤처러(Orient Adventurer)'를 인도받았다. CLV를 활용해 윈린 해상풍력 발전소 건설 현장에서 해저케이블 시공을 진행한다. 윈린 발전소는 대만 해협 82㎢ 면적에 640㎿ 규모로 지어진다. 일본 소지츠(27%) 컨소시엄과 독일 스카이본 리뉴어블스(25%), 태국 EGCO 그룹(25%), 프랑스 토탈에너지스(23%)가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풍력 터빈은 지멘스 가메사, 해저케이블은 LS전선이 공급했다. LS전선은 앞서 대만에서 진행 중인 1차 해상풍력 발전사업(5.5GW)의 해저케이블 공급사로 선정됐는데 여기에 윈린 프로젝트도 포함됐다. 씨웨이7은 해저케이블 시공에 참여하며 작년 2월 DFO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폴라 오닉스(Polar Onyx
[더구루=길소연 기자] 삼성중공업이 대만 선사 완하이 라인(이하 완하이)에서 수주한 컨테이너선 13척 중 8번째 선박을 인도한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완하이는 지난달 29일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에서 1만3100TEU 컨테이너선 '완하이 A15' 명명식을 개최했다. 선박은 인도 후 완하이의 아시아-북미 동해안 서비스 'AA7'에 투입된다. 이번에 명명식을 갖고 인도할 선박은 완하이가 2021년부터 2022년까지 삼성중공업에 주문한 1만3100TEU급 컨테이너선 13척 중 일부이다. 선박은 총 길이 335미터, 폭 51미터, 최대 흘수 16미터, 최대 22노트의 설계 속도를 가진다. 질소산화물 저감장치(SCR)와 선박평형수 처리장치(BWTS). 각종 연료 절감장치(Energy Saving Device), 스마트십 솔루션 에스베슬(SVESSEL) 등이 탑재됐다. 경제적이고 안전한 운항이 가능한 친환경 스마트 선박으로 건조돼 항해 중 저항을 줄이고 에너지 절약과 연료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완하이는 지속적인 선대 업그레이드를 통해 운항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1만3000TEU급 선박을 선단에 점진적으로 추가함으로써 장거리 서비스에서 경쟁력을 높이고 운영을 강화
[더구루=정등용 기자] OK금융그룹이 인도네시아 디지털 결제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현지 고객 기반을 보다 넓히기 위한 행보로 해석된다.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OK금융 인도네시아법인 OK뱅크 인도네시아는 최근 인도네시아 중앙은행으로부터 EDC(전자 데이터 캡처) 머천트 서비스(EDC Merchant Service) 사용 권한을 획득했다. EDC는 카드 결제 단말기 서비스로 영수증 형태나 스마트폰 등을 통해 표시된다. 판매자가 먼저 결제 금액을 입력한 후 소비자가 QR코드를 스캔해 사전 입력된 금액을 결제하는 방식이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EDC 사용량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소비자들이 집에서 온라인으로 쇼핑하거나 바코드 스캔처럼 신체 접촉이 없는 전자 결제를 선호하면서다. 향후 인도네시아 디지털 결제서비스 시장도 성장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OK금융은 EDC 서비스를 통해 인도네시아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업체는 지난해 인도네시아에서 286억5000만 루피아(약 24억원)의 순이익을 거뒀는데, 이는 전년 132억1000만 루피아(약 11억원) 대비 116.88% 증가한 수치다. 대출 실행 규모도 지난해 말 기준 8조5200억 루피
[더구루=한아름 기자] 아모레퍼시픽 메이크업 브랜드 에뛰드가 일본 뷰티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K-팝 인기 아이돌 그룹을 브랜드 홍보 모델로 발탁하고 굿즈 마케팅을 기획하는 등 만반의 준비를 마쳤다. K-팝에 대한 관심이 큰 현지 젊은 소비자의 눈길을 사로잡고 매출 확대를 이끌겠다는 계획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에뛰드가 오는 25일까지 일본에서 라이즈 프로모션에 나선다. 이 기간 에뛰드 일본 공식 온라인몰과 플라자 등에서 신제품 2개 이상 구매한 고객을 대상으로 라이즈 굿즈를 증정한다. 신제품은 오버 글로이 틴트와 컬 픽스 마스카라다. 오버 글로이 틴트는 글로우 라이징 텍스처 기술이 적용돼 수분감이 가득한 립 표현이 가능하다. 컬 픽스 마스카라는 발림성·컬링 유지력이 높다는 것이 특징이다. 에뛰드는 오버 글로이 틴트 2개 이상 구매한 고객을 대상으로 특별 한정판 굿즈인 라이즈 포토카드 7종을 증정한다. 컬 픽스 마스카라 2개 이상 구매한 고객에게는 추첨을 통해 50명을 선정하고 라이즈 도쿄 콘서트 2매를 선물로 준다. K-팝 열풍이 K-뷰티로 이어져 시장 진입 문턱이 낮아진 점도 매력 포인트다. 지난 1~2월 대(對)일 화장품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배터리 스타트업 '앰프리우스 테크놀로지스(Amprius Technologies, 이하 앰프리우스)'가 한국 배터리 제조사와 손잡았다. 한국 시설에서 앰프리우스의 실리콘 음극재 기술을 접목해 배터리를 생산한다. 외부 파트너십을 활용해 비용 절감과 생산능력 확장의 이점을 모두 취하고 차세대 실리콘 음극재를 상용화한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앰프리우스에 따르면 이 회사는 한국 배터리 회사와 실리콘 음극재 기반 배터리 생산을 위한 제조 협약(Contract Manufacturing Agreement)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한국 제조사의 공장에서 SiCore® 배터리셀을 생산한다. 초기 드론용 배터리로 활용하고 향후 항공우주와 방위, 전기차 등 다양한 분야에 최적화된 배터리를 양산할 계획이다. 다양한 형태의 리튬이온 배터리 생산 경험이 있는 파트너사와 협력하며 글로벌 배터리 생산능력을 확대한다. 앰프리우스는 작년 6월 여러 건의 제조 파트너십을 체결해 배터리 생산능력을 500MWh 이상으로 늘렸다고 밝혔었다. 현재까지 1.8GWh 규모의 생산능력을 확보했다. 추가 파트너십을 통해 아시아에 제조 거점을 보유, 대륙별 생산체계를 구
[더구루=진유진 기자] 세계 최대 종합 화학 기업인 독일 '바스프(BASF)'가 캐나다 퀘벡주에 계획했던 이차전지 소재 공장 투자를 철회했다. [유료기사코드] 다니엘라 레첸버거 바스프 대변인은 28일(현지시간) "비용 절감 계획과 지속적인 시장 불확실성으로 인해 퀘백주 공장 투자를 중단하게 됐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시장과 고객이 현지 생산 능력을 필요로 할 경우, 언제든 북미 투자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고 덧붙였다. 바스프는 지난 2022년 퀘벡주 베캉쿠르에 배터리 소재 공장을 세우기 위해 부지를 확보하고 올해 가동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해왔다. 이 공장은 배터리 핵심 부품인 음극 활성 물질을 생산하고, 지역 내 전기차 생태계와 연계된 재활용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배터리 시장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프로젝트는 지지부진해졌다. 바스프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배터리 부문 지출을 점진적으로 축소했고, 이 프로젝트의 자동차 파트너사 확보에도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다. 피에르 피츠기번 퀘벡주 경제부 장관은 지난 2023년 "오랫동안 바스프로부터 진전된 소식을 듣지 못했다"며 "건설 현장에도 별다른 움직임이 없어 프로젝트가 사실상 멈춰 있는 상태"라고 언급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