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심해채굴 놓고 中과 패권경쟁 ...뉴질랜드 자치령 쿡 제도와 협상 시작

중국 겨냥 심해 패권 경쟁 본격화

 

[더구루=김나윤 기자] 미국이 뉴질랜드 자치령 쿡 제도(Cook Islands)와 심해 광물 탐사·개발 협상에 들어갔다. 중국이 쿡 제도와 파트너십을 체결한 지 불과 몇 달 만으로 태평양 심해를 둘러싼 미중 간 해저자원 패권 경쟁이 격화되고 있다.

 

미 국무부는 지난 5일(현지시간) “쿡 제도의 배타적 경제수역(EEZ)은 심해 광물 매장 가능성이 높은 지역 중 하나”라며 "해당 해역에 대한 매핑 작업이 협상의 핵심 내용"이라고 밝혔다.

 

쿡 제도는 뉴질랜드와 자유연합 관계를 맺고 있는 자치국으로 뉴질랜드와 하와이 사이에 위치한 15개의 섬과 환초로 구성돼 있다.

 

이에 대해 뉴질랜드 외무부는 “미국의 조치에 대해 알고 있고 자원을 관리할 수 있는 각국의 권리를 존중한다”고 대응했다.

 

앞서 지난 2월 쿡 제도는 중국과 해저 채굴, 인프라, 어업 등을 포함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먼저 체결했다. 당시 쿡 제도 총리가 뉴질랜드와 협의 없이 협정에 서명했고 뉴질랜드가 이에 반발해 수백만 달러 규모의 예산 지원을 중단한 바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4월 심해 채굴 허가 절차를 가속화하라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이를 “중국의 영력 확대에 대응하는 골드러시”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법률 전문가들은 미국의 심해에 대한 일방적 접근이 국제 해양 규범을 훼손할 위험이 있다고 경고한다. 미영 합작 로펌 '웜블 본드 디킨슨(Womble Bond Dickinson)'의 자원 전문 변호사 스콧 앤더슨(Scot Anderson)은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은 법적·외교적 파장을 모두 일으킬 수 있다”며 “다른 국가들이 해양 영유권을 일방적으로 주장할 수 있는 빌미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지적에도 불구하고 캐나다 해저 광물 기업 더메탈스컴퍼니(The Metals Company)의 미국 자회사는 트럼프의 행정명령 발표 직후 공해상 채굴 신청서를 공식 제출하기도 했다.

 

이 회사는 태평양의 클라이온-클리퍼턴 구역(Clarion Clipperton Zone)에서 진행 중인 프로젝트의 첫 광물 매장량 수치를 지난 주에 공개하기도 했다. 이 해역은 다금속 망간단괴가 대량 분포된 지역으로 니켈, 코발트, 구리, 망간 등 핵심 광물이 다량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