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구루=김은비 기자] 리비안이 엔트리급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R2’에 라이다(LiDAR) 기술을 탑재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자율주행 핵심 센서로 꼽히는 라이다를 상위 모델이 아닌 보급형 모델에 먼저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리비안이 엔트리급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R2’에 라이다(LiDAR) 기술을 탑재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자율주행 핵심 센서로 꼽히는 라이다를 상위 모델이 아닌 보급형 모델에 먼저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리비안이 엔트리급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R2’에 라이다(LiDAR) 기술을 탑재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자율주행 핵심 센서로 꼽히는 라이다를 상위 모델이 아닌 보급형 모델에 먼저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RJ 스캐린지(R.J. Scaringe) 리비안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자신의 엑스(X, 옛 트위터)에 R2 티저 이미지를 공개했다. 이 이미지에서는 전면 유리창 상단 가로 프레임(크로스빔)에 의문의 절개 부위가 발견, R2에 라이다 장착 가능성이 부상했다. 이는 볼보 전기 SUV ‘EX90’ 등 일부 모델에서 라이다 센서가 장착되는 위치와 유사하다. 앞서 공개된 또 다른 R2 티저 이미지에서도 반복적으로 포착되며 관련 추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특히 첨단 장비로 꼽히는 라이다가 보급형 모델 R2에 먼저 적용될 것으로 전망, 업계의 궁금증도 커지고 있다. 라이다는 고가의 펄스 레이저(pulse laser)를 이용해 주변 장애물을 감지하고 도로 지형을 정밀하게 맵핑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레벨3(Level 3) 자율주행 기술에 사용되는 만큼 고급 차량에 적용
[더구루=김명은 기자] 디아지오(Diageo)가 미국발 '관세 전쟁'의 여파로 맥주 '기네스' 가격 인상 카드를 만지고 있다. 영국과 유럽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로 적잖은 손실이 예상되는 만큼 가격 인상은 당연한 수순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주류 업계에 따르면 디아지오는 미국이 실제로 관세를 부과할 경우 연간 1억5000만달러(약 2000억원)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같은 계산은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에 따라 유럽산 수입품에 10%의 관세가 부과되고 멕시코와 캐나다산 수입품에는 관세 면제가 유지되는 것을 전제로 이뤄졌다. 디아지오는 영국 런던에 본사를 둔 다국적 주류 제조업체다. 영국산 수입품의 경우 미국의 기본(보편) 관세 10%가 유지되지만, 유럽연합(EU)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0% 관세' 부과 시점을 약 한 달간 유예하기로 동의하면서 미국 측과 현재 협상을 벌이고 있다. 북미 지역은 디아지오의 글로벌 매출에서 최대 39%를 차지한다. 지난해엔 이 지역에서 매출 80억달러(약 11조원)를 기록했다. 하지만 조니워커의 지난해 순매출액은 10% 감소했다. 데브라 크루(Debra Crew)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