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핀테크 스타트업 인스크라이브(Inscribe)가 신규 투자 자금을 조달했다. 인스크라이브는 향후 전체 인력을 두 배로 늘리는 데 투자 자금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인스크라이브는 31일 드레스홀드 벤처스가 주도한 시리즈B 펀딩 라운드를 통해 2500만 달러(약 300억 원)의 자금을 모금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 라운드에는 크로스링크 캐피털과 파운드리, 언코크 캐피털이 참여한 가운데 박스 공동 설립자인 딜런 스미스와 인터콤 공동 설립자 데스 트레이너가 개인 투자자 자격으로 이름을 올렸다. 인스크라이브는 지난 2021년 4월 시리즈A 펀딩 라운드로 모금한 1050만 달러(약 130억 원)를 포함해 총 3800만 달러(약 468억 원)의 자금을 확보하게 됐다. 인스크라이브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문서 사기 탐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주로 핀테크나 금융 산업의 사기 위험을 탐지하고 있으며 수 억 개의 데이터 포인트에서 훈련된 AI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최근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미국 핀테크 기업은 매년 사기로 인해 평균 5100만 달러(약 628억 원)의 손실을 입고 있다. 인스크라이브는 자체 개발한 AI
[더구루=정예린 기자] SKC가 투자한 실리콘 음극재 기술기업 '넥세온(Nexeon)'이 영국 전고체 배터리 회사 '일리카 테크놀로지스(Ilika Technologies, 이하 일리카)'와 손잡았다. BMW도 참여하는 영국 정부 과제 일환으로 전기차용 실리콘 기반 전고체 배터리(SBB)를 개발한다. [유료기사코드] 31일 넥세온에 따르면 회사는 영국 정부 연구혁신기구 UKRI(UK Research and Innovation) 산하 FBC(Faraday Battery Challenge)가 지원하는 SBB 개발 프로젝트 '더 히스토리(The HISTORY)' 컨소시엄에 이름을 올렸다. 넥세온은 실리콘 음극재의 팽창을 완화해주는 자체 개발 소재 'NSP-2'를 공급하고 맞춤형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더 히스토리 프로젝트는 실리콘 기반 음극재를 사용한 파우치형 전고체 배터리셀을 개발하는 정부 과제다. FBC로부터 2년 간 820만 파운드(약 125억원)을 지원받는다. 일리카가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넥세온 △CPI(The Centre for Process Innovation) △HSSMI △유니버시티 칼리지 오브런던(UCL)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세인트 앤드루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뉴스케일파워가 현지 엔지니어링 회사 GSE솔루션즈의 수소 플랜트 모델을 활용해 청정 수소 생산을 모색한다. 소형모듈원자로(SMR)와 수소 생산시설의 연동을 검토한다. [유료기사코드] GSE솔루션즈는 뉴스케일파워와 수소 플랜트 모델 개발에 협력하는 내용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30일(현지시간) 밝혔다. 수소 플랜트 모델과 함께 GSE솔루션즈의 JProTM 동적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도입, 수소 생산 연구를 추진한다. SMR과 수소 생산시설을 연동하는 시나리오에 대한 기술·경제적 타당성도 평가한다. 뉴스케일파워는 독자 개발한 SMR VOYGR™을 활용해 수소 생산을 살펴왔다. VOYGR™에서 생산된 전기와 고온의 열을 기반으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고 보고 지난달 다국적 에너지 기업 쉘과 파트너십을 맺었다. 양사가 공동 추진하는 프로젝트명은 '경제적으로 최적화된 에너지통합시스템(Integrated Energy System, 이하 IES)을 위한 개념 개발·실증'으로 아이다호 국립연구소와 미국 발전사업자 UAMPS, 수소연료전지 기업 퓨얼셀에너지 등도 참여하고 있다. <본보 2022년 12월 2일 참고 뉴스케일파워·쉘, 수소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인공지능(AI) 로봇 솔루션 기업 버크셔 그레이(Berkshire Grey)가 실리콘밸리 로봇 스타트업 로커스 로보틱스(Locus Robotics)와 손잡고 로봇 기반 물류 자동화 솔루션을 통합한다. [유료기사코드] 버크셔 그레이와 로커스 로보틱스는 양사의 로봇 솔루션을 통합하는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양사는 혁신적인 통합 솔루션을 통해 소매 및 전자상거래 고객을 위한 종단간 로봇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공급망 생산성과 물류 처리 능력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버크셔 그레이는 AI 기반 물류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하는 업체로 월마트·타깃·페덱스 등 주요 기업 고객의 물류창고의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온라인 주문 매장 픽업, 매장별 주문 온라인 배송 등 부문에서 중요한 솔루션 모델을 지원한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전자상거래 산업의 성장이 가속화하면서 주목도가 높아졌다. 작년 5월에는 AI 기반의 차세대 이동로봇 플랫폼인 'BG플렉스(BG FLEX)'를 출시했다. BG플렉스는 단일 모듈 패키지에서 △고밀도 버퍼링 기능 △향상된 물품-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가 중국 상하이 기가팩토리 증설 계획이 무산됐다는 설(說)을 공식화했다. 글로벌 경기침체로 현지 프리미엄 전기차 수요가 줄어들자 무리한 외형 확장 대신 안정적인 사업 운영에 초점을 맞춘다는 전략이다. [유료기사코드] 31일 테슬라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25일(현지시간) 열린 작년 4분기 실적발표 자리에서 "2022년 생산과 배송 문제는 주로 중국에 집중됐었다"며 "상하이 공장은 몇 달 동안 거의 풀가동 돼 왔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의미 있는 순차적 물량 증가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상하이 공장은 테슬라의 글로벌 핵심 거점으로 앞으로도 주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테슬라는 "상하이 공장은 여전히 주요 수출 허브이며, 북미 외의 대부분 시장에 차량을 공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테슬라는 지난 2019년 12월 상하이 기가팩토리를 가동하며 중국 시장에 공식 진출했다. 작년 9월까지 2단계 증설을 완료해 현재 연간 약 100만 대의 전기차 생산능력을 갖췄다. 이 곳에서는 테슬라 대표 차량 모델3와 모델Y가 생산된다. 본격적인 세계 전기차 전환 흐름과 현지 판매 급증에 힘입어 작년 초 상하이 공장 증설을 결정했다. 3단계 증설 프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론 머스크 인수 이후 새로운 수익원 개발 나선 트위터가 자체 결제 시스템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트위터의 자체 결제 시스템 구축이 순조롭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함께 나오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즈는 30일(현지시간) 정통한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트위터가 결제 시스템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규제 기관의 라이센스 취득, 소프트웨어 설계 단계에 돌입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현재 트위터의 자체 결제 시스템 구축은 에스더 크로포드 트위터페이먼츠 CEO와 소규모 팀이 주도하고 있다. 일론 머스크는 지난해 8월 자회사인 트위터 페이먼츠를 설립했으며 최근 에스더 크로포드를 CEO로 임명했다. 일론 머스크는 트위터 내 자체 결제 시스템 구축에 나설 것이라는 의사를 밝혀왔다. 일론 머스크는 트위터가 단순한 소셜플랫폼을 넘어 블록체인, 결제시스템 등을 포괄할 슈퍼앱 'X'가 돼야한다고 밝혀왔다. 그러면서 트위터가 P2P 거래, 저축계좌, 직불카드 등의 핀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바란다고 전한 바 있다. 트위터는 결제시스템과 블록체인을 결합해 향후 크리에이터 수익화 모델 구축으로도 이어나갈 계획이다. 파이낸셜 타임즈는 현재 크로포드의 팀은 결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공유 모빌리티 기업 헬비즈(Helbiz)가 IT업계 '게임체인저'로 주목받는 인공지능(AI) 챗봇 챗GPT를 도입했다. 고객 서비스를 개선하고 운영 비용을 절감할 것으로 기대했다. [유료기사코드] 헬비즈는 30일(현지시간) 오픈AI가 개발한 챗GPT를 자사 여러 부서에 도입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고객 서비스의 개인화를 강화하고 효율성을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운영 비용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조너선 하네스테드 헬비즈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오픈AI 기술 통합은 측정 가능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며 "이를 통해 고객 경험을 개선하고 일선 직원들이 빠르게 업무를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챗GPT는 미국의 비영리 연구소 오픈AI가 개발한 대화형 AI 챗봇이다. GPT란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의 약자로, 우리 말로 미리 훈련된 생성 변환기로 번역할 수 있다. 기존 입력된 스크립트로만 대화를 진행하는 연산형 변환기에서 진일보해 딥러닝을 통해 스스로 언어를 생성하고 추론할 능력을 갖췄다는 의미다. 최근 전
[더구루=홍성환 기자] 애플 협력사 가운데 하나인 건강 모니터링·통신 솔루션 기업 록클리 포토닉스(Rockley Photonics)가 경영난 심화로 파산을 신청했다. 부채 구조조정을 통해 신규 자금을 유치할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30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름변 록클리 포토닉스는 파산법 11조(챕터 11)에 따른 파산보호를 신청했다. 챕터11은 파산법원의 감독하에 기업 회생절차를 밟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 우리나라의 법정관리와 비슷하다. 록클리 포토닉스는 파산 절차를 통해 부채를 제거하고 최대 3500만 달러(약 430억원)의 현금을 확보할 계획이다. 록클리 포토닉스는 현재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거래가 정지된 상태로 상장 폐지될 예정이다. 록클리 포토닉스는 영국에 기반을 둔 광자 기반 건강 모니터링·통신 솔루션 기업이다. 광자 직접회로, 관련 모듈, 센서, 풀스택 솔루션 등을 개발하고 있다. 대표적인 애플 공급사로 유명하다. 앞서 지난 2021년 8월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합병을 통해 뉴욕 증시에 우회 상장했다. 하지만 이후 자금난으로 심각한 경영 위기를 맞았다. 록클리 포토닉스는 파산 신청 이후에도 기술 개발에 집중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USNC가 프랑스 프라마톰(Framatome)과 초소형모듈원자로(MMR)용 연료 합작사를 세운다. 파일럿 생산시설을 가동한 경험을 바탕으로 2025년부터 대량 양산에 나서며 MMR 상용화에 박차를 가한다. [유료기사코드] USNC는 프라마톰과 삼중피복입자(TRISO)·전세라믹미세입자핵연료(FCM) 합작사 설립을 위한 구속력 없는 계약에 서명했다고 지난 26일(현지시간) 밝혔다. USNC는 프라마톰과 파일럿 생산시설 운영에 협력해왔다. 테네시주 오크릿지 동테네시기술단지(East Tennessee Technology Park, 이하 ETTP)에 파일럿 공장을 짓고 작년 8월부터 가동을 시작했다. 그동안의 협력 경험을 토대로 TRISO부터 FCM까지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2025년 하반기부터 대량 양산을 추진한다. FCM은 TRISO 연료 입자를 함유하며 기존 핵연료보다 견고하며 고온에서 작동할 수 있다. MMR을 안정적으로 가동하기 위한 핵심 연로로 꼽힌다. USNC는 FCM을 양산해 핵연료 수요에 대응한다. USNC는 2026년 가동을 목표로 캐나다 온타리오주 초크리버(Chalk River) 원자력연구소 부지에 5㎿ 규모 MMR을 지
[더구루=정등용 기자] 구글 클라우드가 MSCI와 새로운 글로벌 투자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 힘을 모으기로 했다. 구글 클라우드의 인공지능(AI)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을 활용해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투자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구글 클라우드는 MSCI와 글로벌 투자 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새로운 데이터 플랫폼에는 구글 클라우드의 AI 기술과 고급 분석 기능이 적용된다. MSCI는 빅쿼리와 버텍스AI, 도큐먼트AI 같은 고급 기술을 활용해 정형·비정형 데이터를 대규모로 수집·처리할 수 있다. 또한 구글 클라우드는 어스 엔진과 빅쿼리 지오스페이셜 같은 지리 공간 분석 도구를 MSCI에 제공해 증권, 지리, 시장 전반에 대한 물리적 위험 지표를 정량화 하는 데 도움을 줄 예정이다. 특히 구글 클라우드의 공간 데이터는 투자자가 위치별 기후 위험을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모델링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투자자는 정보에 입각한 분석·예측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 MSCI는 새로운 글로벌 투자 데이터 플랫폼이 은행, 보험사, 기업 등 다양한 자산 관리 고객에게 개선된 통찰력과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제너럴모터스(GM) 산하 쉐보레가 하이브리드차 '콜벳 E-레이'(Corvette E-Ray)에 얼티엄 배터리를 쓰지 않는다. 일찍 최신 모델 개발을 시작해 얼티엄 플랫폼을 적용하지 못한 것으로 추정된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쉐보레는 2024년형 콜벳 E-레이는 1.9kWh의 배터리팩을 장착한다. 이는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합작사 '얼티엄셀즈'에서 만든 제품과 관련이 없으며 콜벳 고유의 배터리다. 콜벳 E-레이에는 차세대 전기차 전용 구동장치인 얼티엄 드라이브도 쓰이지 않았다. GM은 2035년까지 내연기관차 판매를 중단하겠다고 선언하고 3세대 전기차 플랫폼인 '얼티엄 플랫폼'을 전면에 내세웠다. 얼티엄 플랫폼은 2020년 3월 'EV위크'에서 처음 공개됐다. 400마일(약 644㎞) 이상 주행 가능한 얼티엄 베터리와 무게를 절반으로 줄이고 성능을 25% 향상시킨 얼티엄 드라이브를 기반으로 한다. 파우치 형태의 셀을 배터리팩 내부에 가로 혹은 세로로 배치할 수 있는 구조로 뛰어난 범용성이 장점이다. 일반 전기차부터 프리미엄, 상용 트럭, 고성능 퍼포먼스 모델까지 다양한 범주의 전기차에 적용할 수 있다. GM이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엑스에너지(X-energy)가 영국 SMR 시장 선점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이 회사에 투자한 DL이앤씨와 두산에너빌리티의 동반 진출이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엑스에너지는 영국 내 SMR 개발과 관련해 현지 70여개 공급업체와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고 30일 밝혔다. 엑스에너지는 영국 원전기업인 카벤디시와 함께 함께 현지 사업을 추진 중인다. 영국 내에서 SMR 관련 부품의 80% 이상을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오는 2030년 영국 내 상용화를 목표로 당국에 SMR 건설 허가를 신청할 예정이다. 캐롤 트랜슬리 엑스에너지 부사장은 "우리는 영국 부지 선정과 관련해 많은 이해관계자들과 논의 중으로 오는 2030년 상업운전을 시작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2050년까지 24GW의 규모의 SMR을 구축해 영국의 에너지 안보와 환경 목표 달성을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엑스에너지는 2009년 설립한 원전 기업으로 뉴스케일파워·테라파워와 함께 미국 3대 SMR 기업으로 꼽힌다. 고온가스로 SMR 'Xe-100'을 개발 중이다. 이는 80㎿급 원자로 모듈 4기(총 발전용량 320㎿)로 구성된다. 테니스공 모양 핵연료
[더구루=정등용 기자] 핀테크 스타트업 인스크라이브(Inscribe)가 신규 투자 자금을 조달했다. 인스크라이브는 향후 전체 인력을 두 배로 늘리는 데 투자 자금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인스크라이브는 31일 드레스홀드 벤처스가 주도한 시리즈B 펀딩 라운드를 통해 2500만 달러(약 300억 원)의 자금을 모금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 라운드에는 크로스링크 캐피털과 파운드리, 언코크 캐피털이 참여한 가운데 박스 공동 설립자인 딜런 스미스와 인터콤 공동 설립자 데스 트레이너가 개인 투자자 자격으로 이름을 올렸다. 인스크라이브는 지난 2021년 4월 시리즈A 펀딩 라운드로 모금한 1050만 달러(약 130억 원)를 포함해 총 3800만 달러(약 468억 원)의 자금을 확보하게 됐다. 인스크라이브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문서 사기 탐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주로 핀테크나 금융 산업의 사기 위험을 탐지하고 있으며 수 억 개의 데이터 포인트에서 훈련된 AI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최근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미국 핀테크 기업은 매년 사기로 인해 평균 5100만 달러(약 628억 원)의 손실을 입고 있다. 인스크라이브는 자체 개발한 AI
[더구루=오소영 기자] NXP반도체(이하 NXP)와 넥스페리아 등 네덜란드 업체들이 제조한 반도체가 러시아 무기에 대거 탑재된 정황이 포착됐다. 유럽연합(EU)의 제재를 피해 중국 업체들이 네덜란드산 반도체를 사고 러시아에 재판매한 것으로 드러났다. [유료기사코드] 지난 27일(현지시간) 네덜란드 공영방송 NOS에 따르면 익명의 러시아 회사 3곳은 네덜란드산 반도체를 사 무기 제조에 활용했다. 작년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지난달까지 수백 건의 주문이 이뤄졌다. 대부분 NXP와 넥스페리아가 제조한 반도체로 곡사포와 순항미사일, 공격헬기 등에 쓰였다. 러시아 무기에서 네덜란드산 반도체가 발견된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러시아 드론에는 NXP와 넥스페리아의 반도체가 쓰인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가 전쟁에 동원하고 있는 이란산 카미카제 드론에도 NXP의 반도체 탑재가 확인됐다. 영국 이코노미스트지는 싱크탱크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는 지난해 우크라이나의 요청으로 러시아 무기에 탑재된 반도체를 조사한 결과 27개 중 10개에 NXP 반도체가 활용됐다고 발표했었다. RUSI 소속 핵확산 전문가 제임스 번 선임연구원은 "이 칩(네덜란드산 반도체)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