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의 북미 수소 전략에 '빨간불'이 켜졌다. 미국 하원이 수소 보조금 관련 조항을 폐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현대차는 최근 미국 내 수소전기트럭 공급 확대 등 북미 시장을 겨냥한 수소 생태계 구축에 본격 나선 상황이다. 하지만 이번 조치로 현대차의 전략 수정은 물론 수소 정책 근간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3일 미국 의회 등에 따르면 하원은 지난 22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발의한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ne Big, Beautiful Bill)'을 찬성 215표, 반대 214표로 통과시켰다. 해당 법안은 올해 12월 31일 이후 착공되는 모든 수소 프로젝트에 대해 ‘청정 수소 생산 세액공제(Section 45V, 이하 45V 세액공제)’를 적용하지 않도록 명시하고 있다.
45V 세액공제는 지난 2022년 조 바이든 정부가 추진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포함된 조항으로, 청정 수소를 생산하는 시설에 대해 kg당 최대 3달러의 세액공제(tax credit)를 제공하는 제도이다. 기존 IRA 규정에 따라 2033년까지 청정 수소 생산에 대한 세액 공제가 보장됐으나 이번 법안이 상원까지 통과되면 사실상 2년 반 조기 종료되는 셈이다.
이에 현대차의 미국 내 수소 생산 파트너십, 수소 밸류체인 투자, 중장기 사업계획에 전면 재검토가 불가피해졌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현대차는 최근 미국 내 수소전기트럭 공급 확대, 수소충전소 인프라 구축, 수소 생산 파트너십 등 북미 시장을 겨냥한 수소 생태계 구축에 본격 나선 상황이다. 현대차는 IRA 통과 이후 미국을 수소 전략의 핵심 시장으로 삼고, 대형 수소트럭 '엑시언트' 시범 운행 및 현지 생산 가능성도 검토하는 등 미국 내 수소 수요 확대에 맞춰 충전소 구축, 연료전지 공급망 강화 등 전방위 투자를 준비해왔다.
하지만 45V 세액 공제 폐지가 현실화될 경우, 수익성과 투자 매력도가 급감하며 북미 전략 수정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업계는 현대차가 미국 외 수소 수요 성장 국가로 전략을 분산하거나, 프로젝트 자체를 축소하는 방안도 검토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의 북미 수소 전략은 IRA의 확실한 인센티브를 기반으로 설계돼 왔다”며 “상원에서 법안이 수정되거나 무산되지 않는 한, 현대차는 북미 중심 수소 전략을 일부 조정하거나 재배치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