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 충격에도 한은이 금리 동결한 이유는?

한은, 기준금리 연 2.75% 유지…추경·美 FOMC도 확인 필요
환율 변동성·가계대출 부담에 신중 기조…성장률 전망 하향도 시사

 

[더구루=진유진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지난 17일 2분기 첫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2.75%로 동결했다.

 

금통위는 의결문을 통해 "1분기 경기 부진과 통상 여건 악화로 성장의 하방 위험이 확대됐다"면서도 "미국 관세 정책 변화, 정부 경기부양책 추진 등으로 전망 경로에 불확실성이 크다"고 밝혔다. 이어 "환율 변동성과 가계대출 흐름도 고려해 현 금리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덧붙였다.

 

동결 핵심 배경은 환율 불안이다. 최근 원/달러 환율은 한 달 사이 1410원대에서 1480원대까지 급등락을 반복하며 높은 변동성을 보였다. 이달 9일 미국의 상호관세 발효 이후엔 1484.1원까지 치솟으며 지난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후 관세 유예 소식으로 1420원대까지 떨어졌지만, 여전히 대내외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

 

지난 2월에 이어 연속 금리 인하 시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현 1.75%p)가 더 벌어질 수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 금리 차 확대는 외국인 자금 유출과 원화 약세를 불러올 가능성이 있어 물가와 금융시장 전반에 불안을 키울 수 있다.

 

부동산과 가계대출 흐름도 중요 고려 요소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에 따른 서울 주택 거래 증가로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가계대출은 지난 2월 3조931억원 급증했다. 지난달 1조7992억원 늘면서 증가 폭이 다소 줄었지만, 이달 10일 기준 1조1218억원 불어 증가세가 다시 가팔라지고 있다. 한은은 금리 인하가 자칫 대출 확대를 자극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 시기와 규모,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통화정책 방향도 불확실성 요인이다. 시장에선 연준이 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으며, 연준의 명확한 가이던스 없이는 한은도 쉽게 방향을 바꾸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이번 동결을 '신중한 유보'로 해석하고 있다. 1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할 가능성이 있고, 미국 관세 충격으로 수출 여건이 악화되면서 5월 금리 인하가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한은이 5월에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큰 폭으로 하향조정하고,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은도 이날 의결문에서 "올해 성장률은 2월 전망치(1.5%)를 하회할 것으로 보인다"며 하향조정 가능성을 열어뒀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