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내연기관 내리막 가속화…전년 比 200만대 감소 예상

2017년 내연기관 정점 이후 감소세

[더구루=윤진웅 기자] 글로벌 자동차 시장이 내연기관에서 친환경차로 숨 가쁘게 재편되고 있다. 국가 차원에서 기후 위기 대응 차원으로 내연기관 퇴출을 예고하면서 내연기관의 입지는 더 빠르게 축소되고 있는 모양새다. 2020년 이후 정체가 이어지고 있는 글로벌 내연기관 시장은 내년을 기점으로 급속도로 쪼그라들 전망이다.

 

26일 미국 로키마운티연구소(Rocky Mountain Institute)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시장에서 내연기관 판매는 전년 대비 200만 대 이상 줄어들 전망이다. 자동차 산업이 친환경차로 빠르게 전환되면서 내연기관의 입지가 빠른 속도로 쪼그라들고 있다는 설명이다. 클린테크니카 측은 "전 세계적으로 내연기관이 정체되고 빠르면 올해 초부터 빠른 감소가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며 "2025년이나 2026년에 감소할 가능성은 더 높다"고 부연했다.

 

실제 글로벌 내연기관은 지난 2017년 판매량 정점을 찍은 이후 지속해서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2020년 이후 정체 상태가 계속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2011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내려갔다.

 

내연기관 시장 규모 축소는 이미 예견된 일이었다. 블룸버그는 2023년부터 내연기관의 몰락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예고했고, 미국 비영리 에너지 연구기관 RMI(Rocky Mountains Institute)는 2025년부터 내연기관 판매 감소 심화를 예상했다.

 

현재 추세라면 오는 2032년께 내연기관 시장 규모는 친환경차에 견줄 수 없을 만큼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내연기관 시장 규모 축소를 결정짓는 대표적인 요인은 수명이다. 평균 수명을 15년으로 봤을 때 2030년 연간 글로벌 판매량은 3000만 대에 그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글로벌 기후 위기 대응 차원에서 내연기관 퇴출을 준비하고 있는 국가도 늘고 있다. 자동차 시장 바로미터인 독일의 경우 이미 지난 2022년 대응책을 내놨다. 오는 2035년부터 가솔린과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의 판매를 모두 금지할 계획이다. 이는 슈테피 렘케(Steffi Lemke) 독일 환경부 장관이 직접 발표한 내용이다. 당시 렘케 장관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의 계획에 맞춰 2035년부터 순수전기차 판매만 허용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당초 독일 정부는 오는 2040년 내연기관 전면 판매 중단을 계획했다. 하지만 지난 2021 12월 독일사회민주당 대표 올라프 숄츠(Olaf Scholz) 의원이 독일 총리에 취임하면서 친환경 정부를 강조, 내연기관 판매 중단 시기가 앞당겨졌다는 분석이다. 기독민주당 소속 앙겔라 메르켈 전 총리의 기조와 상반된 행보를 보여주기 위한 계산도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