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진출 30돌' 아모레퍼시픽, 2030년 재생에너지 100% 전환

현지서 ESG 경영 속도 낸다
재활용 가능한 PCR 플라스틱 도입

 

[더구루=한아름 기자] 아모레퍼시픽이 중국 진출 30년을 맞았다. 국내를 넘어 중국에서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 일환으로 2030년까지 신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필요한 전력을 100% 확보등 탄소중립 목표를 세웠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 중국 법인은 EGS 경영 전략을 담은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통해 친환경 활동을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2030년 아모레의 아름다운 약속'(2030 A MORE Beautiful Promise) 주제로 한 보고서에는 아모레퍼시픽이 그간 실천해온 지속가능경영의 노력과 성과 등이 제시됐다.

 

특히 친환경 생산 공정을 만들겠다는 계획이 눈길을 끈다. 아모레퍼시픽은 2030년까지 필요한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태양광발전과 국제녹색인증 조달을 통해 그린 파워 100%를 달성하는 성과를 거뒀다.

 

아모레퍼시픽은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는 데도 힘쓰고 있다. 재활용 가능한 PCR 플라스틱을 도입했으며 공병 재활용 프로젝트를 개최해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는 데 기여했다. 아모레퍼시픽 브랜드 이니스프리의 경우, 2021년 기준 55만 명 이상의 고객이 공병 재활용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총 87만5000개의 공병을 모아 재활용하는 데 성공했다.

 

친환경 활동은 물론 여성과 문화 등 지역 사회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여성 건강 복지 사업과 취업 장려 프로젝트 등 복지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밖에 홍수로 크게 피해를 본 허난성에 즉시 현금 200만 위안(약 3억7680만원)과 물품을 기부해 지역 사회에 공헌했다.

 

이밖에 아모레퍼시픽은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제품 개발 △순환 경제 기여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변화 대응 △고객의 건강을 고려한 제품 및 서비스 개발 등을 목표로 EGS 경영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앞으로도 기업의 환경적,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며 친환경적인 ESG 경영 체계를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