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아모레퍼시픽 에뛰드가 일본 마스카라 시장 공략에 고삐를 죈다. 제품군 확대에 속도를 내며 일본 소비자 유치에 힘을 쏟고 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에뛰드는 공식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컬 픽스 마스카라와 트위저(속눈썹 연출용 족집게)로 이뤄진 컬 픽스 마스타라 트위저 세트를 한정 수량 출시했다. 컬 픽스 마스카라 블랙과 그레이 브라운 두가지 컬러를 준비해 소비자들이 각자 스타일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컬 픽스 마스카라는 글로벌 마케팅 리서치기업 칸타코리아의 월드패널 사업부 조사결과 지난 2015년 9월 14일부터 작년 9월 11일까지 7년 연속으로 컬링 마스크 분야에서 1등을 차지한 히트 상품이다. △24시간 컬링 지속 △워터프루푸 △슬림하고 촘촘한 브러시 등이 차별화 포인트다. 한국 비건 인증원 인증도 완료했다. 에뛰드는 공식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선출시한 컬 픽스 마스카라를 다음달 1일 라쿠텐과 큐텐(Qoo10)과 같은 일본 주요 이커머스사이트에서도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이어 다음달 28일부터 오는 7월11일까지 일본 도쿄 하라주쿠에 위치한 아토코스메(@cosme) 도쿄 하라주쿠점에서 개최되는 ‘아모레퍼시픽 페스티벌’을 통
[더구루=한아름 기자] 뷰티 브랜드 블레스문(Blessed moon)이 일본 뷰티 시장 공략에 첫 발을 내딛었다. 현지 4대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 입점하며 사업 확대에 나섰다. 앞서 블레스문은 정부 해외 진출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 미국·유럽 등에 수출하는 등 판로 확대에 힘을 싣고 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블레스문이 일본 온라인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라쿠텐 △큐텐 △아마존재팬 △야후재팬 등 일본 4대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 인기 제품을 입점하는 데 성공했다. 블레스문은 온라인에 립틴트 7종과 립스틱 4종, 아이라이너 3종, 마스카라 3종을 선보인다. 브랜드 홍보를 위해 다양한 이벤트도 연다. 구매 고객 선착순 1500명에게는 스마트폰 파우치를 증정한다. 구매 제품과 스마트폰 파우치 사진을 인스타그램에 게재한 고객에게는 추첨을 통해 메이크업 파우치를 추가 증정한다. 블레스문은 일본 시장 공략 파트너로 현지 유통사와 손잡은 만큼 신규 고객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겠단 계획이다. 블레스문은 앞서 다케우치 제약 주식회사(武内製薬株式会社)와 마케팅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다케우치 제약은 의료·건강식품과 스킨케어·메이크업 브랜드 온라인 직접판매(D2C) 사업을 진
[더구루=김형수 기자] 휠라홀딩스의 미국 자회사 아쿠쉬네트(Acushnet) 주가가 뒷걸음질치고 있다. 향후 실적에 대한 부정적 전망이 주가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아쿠쉬네트 주가는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지난 5일 53.25달러(약 7만560원)에서 지난 26일 44.75달러(약 5만9290원)로 불과 3주 만에 15.9% 떨어졌다. 수익 개선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아쿠쉬네트의 전망과 달리 투자 전문 매체에서 성장세가 꺾일 것이라는 예상이 제기되자 단박에 하락세로 돌아선 것으로 보인다. 아쿠쉬네트가 지난 1분기 올린 순매출(Net Sales)은 6억8630만달러(약 9090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3.2%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순이익(Net Income)은 15.2% 증가한 9330만달러(약 1240억원)를 기록했다. 호실적을 거둔 아쿠쉬네트는 올해 전체 매출이 전년 대비 5.0%~7.2% 증가한 23억2500만달러~23억7500만달러(약 3조830억원~3조1490억원)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당시 데이비드 마허(David Maher) 아쿠쉬네트 최고경영자(CEO)는 "올해 1분기 두자릿수 성장
[더구루=한아름 기자] LG생활건강 미국 화장품 브랜드 더크렘샵(The Crème Shop)이 캐릭터 마케팅에 사활을 걸었다. MZ세대 고객을 신규 유입하겠다는 게획이다. 유명 캐릭터와의 적극적인 협업으로 트렌디한 메이크업브랜드라는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크렘샵은 미국에 크렘샵X리틀트윈스타 컬렉션을 론칭했다. △풋 마스크 △립밤 △핸드크림 △헤어밴드 △네일파일 △여드름 패치 등으로 구성됐다. 수요가 폭증하면서 헤어밴드 등 일부 품목은 동났다. 크렘샵과 산리오와의 협업은 두번째다. 지난 1월 문혜영 LG생활건강 미주총괄의 지휘봉을 잡으면서 컬래보 행보는 본격화되는 모습이다. 지난 2월에도 헬로키티와 협업해 큰 반향을 일으켰다. 당시 헬로키티와 마이 멜로디, 쿠로미 등 산리오 유명 캐릭터를 활용해 △시트 마스크 △아이섀도 △립밤 △메이크업브러시 △네일파일 △네일 스티커 등 화장품을 출시했다. 문 총괄은 컬래보 제품으로 캐릭터 팬층을 사로잡겠단 계획이다. 이번 협업을 통해 리틀트윈스타에 열광하는 충성 고객 및 MZ세대 고객의 신규 유입을 기대하고 있다. 실제 리틀트윈스타는 올해 48주년을 맞은 산리오의 유명 캐릭터로,
[더구루=한아름 기자] 비건 뷰티 브랜드 '런드리유'(Laundryou)가 열도 공략에 나선다. 도쿄 최대 규모 뷰티 박람회에 참여하며 얼굴을 알렸다. 런드리유는 비브이엠티가 2020년 론칭한 클린 뷰티 브랜드로, 지난해 최대 규모의 화장품 제조업자개발생산(ODM)업체 코스맥스로부터 전략적 투자를 받았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런드리유가 지난 15일부터 이틀 간 도쿄 빅 사이트에서 열린 '뷰티 월드 재팬 도쿄'(Beauty World Japan Tokyo)에 참여했다. 이 기간 런드리유는 젤 클렌저 2종(클린 페이스 가글 젤 투 폼 클렌저 스트롱·마일드)과 포어 클리닝 모공 브러시 등 제품을 선보였다. 브랜드 홍보를 위해 다양한 이벤트도 열었다. 런드리유 인스타그램을 팔로우한 부스 방문객에게 제품 샘플을 무료 증정했다. 뷰티 월드 재팬 도쿄는 화장품과 미용기기, 속눈썹·헤어 피스 등 액세사리 등 다양한 뷰티 제품을 총망라하는 대형 박람회인 만큼 런드리유의 인지도가 제고될 것이란 전망이다. 특히 런드리유는 현지 K뷰티 전문 유통 업체 케이-라보(K-Labo)와 손을 잡은 만큼 시장 공략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케이-라보는 앞서 투쿠포스쿨과 셀퓨전씨 등
[더구루=김형수 기자] 코스맥스가 대만 유산균 시장에 도전장을 던졌다. 계열사인 건강기능식품 연구·개발·생산(ODM) 기업 코스맥스바이오를 통해 유산균 시장 공략에 고삐를 죈다. 현지 건강식품기업과 손잡고 유산균 연구·개발에 나서며 의료 시장 공략에 드라이브를 걸겠다는 계획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코스맥스바이오는 대만 건강기능식품업체 선웨이 바이오테크(SunWay Biotech·이하 선웨이)와 유산균 사업 경쟁력 강화 및 관련 시장 공략을 목적으로 하는 파트너십을 맺었다. 이번 협력을 바탕으로 선웨이는 NTU 101 유산균 균주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을 맡을 예정이다. 코스맥스 바이오는 ODM 또는 OEM(주문자상표부착방식) 방식 생산 및 판매를 수행하게 된다. 양사는 이처럼 서로가 보유한 상호보완적 역량을 활용해 의료 시장으로의 사업 확대를 노린다는 방침이다. 현재 양사는 대만군 종합병원에서 사람을 대상으로 NTU 101 유산균을 활용한 몸무게 및 체지방 관리 임상시험을 펼치고 있다. 향후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에 관련 건강기능식품 원료 인증을 신청한다는 계획이다. 대만에서는 아동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 대한 NTU 101 유산균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임상
[더구루=김형수 기자] 올해로 창립 78주년을 맞은 아모레퍼시픽이 글로벌 브랜드 라네즈는 통해 해외 시장 공략에 고삐는 죈다. 라네즈 대표 제품이 입소문을 타며 해외 현지 유통사로부터 러브콜이 끊이지 않고 있다. K-뷰티 선도 브랜드로서 앞으로도 글로벌 고객에게 최고의 제품을 선보이겠다는 계획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라네즈는 영국 시장조사기관 테크나비오(Technavio)가 선정한 글로벌 스킨케어 시장 키 플레이어로 꼽혔다. 존슨앤드존슨, 시세이도, 에스티로더 등 글로벌 뷰티 기업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아모레퍼시픽을 대표하는 브랜드 라네즈의 글로벌 진출에 적극적이다. 뷰티전문점 세포라와의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아랍에미리트(UAE)를 비롯한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카타르, 바레인 등 GCC 4개 회원국 내 세포라 매장에서 라네즈 주력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지난 3월 기준 미국, 캐나다, 호주, 유럽 18개국 1370여개 세포라 매장에 입점했다. 영국과 중동 시장에 상륙하며 해외 시장 공략의 가속 페달도 밟았다. 영국 럭셔리 뷰티 멀티숍 스페이스NK(SPACE NK)에 공식 입점했다. 라네즈는 글로벌 대표 제품 립 슬리핑 마스크, 워터뱅크 크림 등을 선
[더구루=김형수 기자] 아모레퍼시픽 에뛰드가 일본 시장 공략에 고삐를 죈다. 현지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아이돌을 내세운 마케팅에 나서는가 하면 포트폴리오를 확대하며 소비자 유치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에뛰드는 다음달 2일 일본에서 메이크업 리무버 ‘립 앤 아이 리무버’를 론칭한다. 에뛰드 일본 공식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이날부터 선출시했다. 립 앤 아이 리무버는 진한 화장도 말끔하게 지워주는 에뛰드 스테디셀러다. 에뛰드는 일본에서 립 앤 아이 리무버를 320ml 대용량 제품으로 선보인다. 원터치 뚜껑을 적용해 사용 편의성을 높였다. 에뛰드는 사용하기 전에 충분히 흔든 리무버를 화장솜 등에 묻혀서 눈이나 입에 들어가지 않게 주의하면서 쓰면 된다고 설명했다. 에뛰드는 "지우기 어려운 워터프루푸 눈·입술 화장도 간단하게 지울 수 있으며 문지르지 않아 눈에 부담을 주지도 않는다"면서 "무향료, 무착색의 저자극 사용감으로 눈·입술 화장이 깨끗하게 지워진다"고 전했다. 에뛰드가 일본 마케팅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지난달 26일부터 6일 동안은 아이돌그룹 르세라핌 멤버 카즈하와 손잡고 일본 도쿄 코스메 2층에서 팝업스토어를 운영하며 브랜드
[더구루=한아름 기자] 아모레퍼시픽 라네즈가 인도에서 '최고의 K-뷰티 브랜드' 1위에 올랐다. 인도에 닥친 찜통 더위에 달아오른 피부를 진정시키는 데 효과적이란 평가를 받았다. 글로벌 4대 뷰티시장인 인도 시장 공략을 집중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21일 인도 정보 플랫폼 소시티(So.city)가 선정한 K-뷰티 브랜드 1위에 아모레퍼시픽 라네즈가 선정됐다. 소 시티는 "인도 일부 지역에선 본격 여름철이 시작되기도 전에 이미 51도까지 치솟았다. 찜통 더위로 들끓고 있는 인도에서 촉촉한 피부를 유지하길 원한다면 라네즈 워터뱅크 라인을 추천한다"며 "워터뱅크 라인은 피부에 빠르게 수분을 공급해 진정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워터뱅크 라인은 아모레퍼시픽이 39년간 연구를 통해 개발한 블루 히알루론산을 대표 성분으로 하고 있다. 블루 히알루론산은 2차 발효와 10단계 농축, 정제 과정을 거쳐 기존 히알루론산보다 2000배 작은 혁신적인 크기를 자랑한다. 특히 300% 더 강력한 리페어 보습 효능으로 피부 건조와 손상된 피부 장벽 개선에 도움을 준다는 게 회사 설명이다. 아모레퍼시픽의 약진에 무게가 실린다. 인도는 미국, 중국, 일본에 이어 세계에서 4번째로
[더구루=김형수 기자] 비바웨이브 메이크업 브랜드 힌스(hince)가 일본 관서지방의 중심도시 오사카에 진출했다. 일본 내 영토 확장에 속도를 내는 것으로 풀이된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힌스는 일본 오사카역 인근에 자리한 쇼펭센터 루쿠아 이레 2층에 관서 지역 1호 직영점 ‘힌스 루쿠아 이레’점을 오픈했다. 힌스는 목재 가구와 디스플레이 등의 인테리어 요소를 반영해 역동감 넘치는 오사카의 분위기를 반영한 매장을 조성했다. 매장 디자인에 활용된 곡선과 부드러운 컬러도 오사카의 이미지에서 영감을 받았다는 설명이다. 힌스는 힌스 루쿠아 이레점 개점을 기념한 다양한 이벤트를 기획해 현지 소비자 유치에 나섰다. 매장을 방문해 상품을 구입한 고객에게 루쿠아 이레 한정판으로 제작한 장바구니와 엽서를 증정한다. 또 오는 31일까지 부가세 포함 6000엔(약 5만8000원)이상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벨벳 무드 파우치를 선물로 제공한다. 장바구니, 엽서, 벨벳 무드 파우치 증정 행사는 준비한 물량이 떨어지면 종료된다. 또 이달 말까지 △트루 디멘션 레이어링 티크 △세컨드 스킨 로우 쿠션 미니사이즈 △한정 선물상자 등으로 구성된 한정판 세트 상품을 판매한다. 힌스가 일본 관동
[더구루=한아름 기자] 아모레퍼시픽이 홍콩에서 고급화 전략을 꾀한다. 아모레퍼시픽이 콘래드호텔 홍콩과 함께 애프터눈 티 세트를 선보인다. 콘래드는 힐튼호텔 체인 중 최상위급 호텔인 만큼 아모레퍼시픽의 브랜드력이 제고될 것이란 기대다. 18일 홍콩 콘래드호텔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과의 협업으로 내달 14일까지 '앱솔루티 섬머 애프터눈 티'(AbsoluTea™ Summer Afternoon Tea) 세트를 판매한다. 콘래드호텔 총괄 셰프팀이 이번 애프터눈 티세트 메뉴를 구성에 직접 참여했다. 녹차·유자·검은깨 등 한국 식재료를 활용한 점이 특징이다. 패키지엔 10여종의 디저트류와 향긋한 차, 정가 350홍콩달러(약 6만원) 상당의 아모레퍼시픽 화장품이 포함된다. 다만 화장품은 한정 수량으로 선착순 증정한다. 홍콩 콘래드호텔은 "K-뷰티 대표주자 아모레퍼시픽 제품과 애프터눈티 프로모션을 한 번에 즐길 수 있는 패키지"라며 "한정 판매 상품으로 원하는 날짜 선점을 위해 예약을 서두르는 것을 추천한다"고 전했다. 아모레퍼시픽이 홍콩 콘래드호텔과 협력한 배경으로 고급화 전략을 펼쳐 브랜드력을 제고하기 위함이다. 지난달 홍콩에 초고가 라인 '타임 레스폰스'를 출시하며 소비
[더구루=한아름 기자] 1세대 화장품 로드숍 브랜드 미샤가 일본 공략을 강화한다. 브랜드 앰버서더 트와이스 사나를 내세워 현지 뷰티시장 공략에 고삐를 죄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미샤가 오는 28일까지 일본 도쿄 신오코부역사 내 기둥에 광고를 게재한다. 광고 사진엔 트와이스 인기 멤버 사나와 함께 비타씨 플러스 라인업이 포함됐다. 신오코부역은 일본 대표 중심상권 중 하나로 유동 인구가 많아 홍보 효과를 톡톡히 누릴 것으로 전망된다. 비타씨 플러스 라인업의 인지도를 제고하고 판매 증진을 꾀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비타씨 플러스는 미샤의 대표 품목으로, 잡티·탄력 개선에 도움을 준다. △탄력 앰플 △톤업 앰플패드 △앰플밤 스틱 △안색 토너 △이레이저 토닝 크림 등으로 구성됐다. 특히 탄력 앰플은 뛰어난 제품력으로 입소문을 타며 3년간 누적 판매량 81만7800병을 돌파했다. 미샤는 사나와 함께 일본 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트와이스는 K팝 걸그룹 사상 최초로 일본 스타디움 공연을 진행하며 압도적 인기를 끌고 있는 만큼 현지 한류 팬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화장품 주요 채널인 드럭스토어 공략에 속도를 내며 매출을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CATL이 전기차 배터리의 뒤를 이을 미래 먹거리로 차세대 태양전지를 낙점했다. 태양광 산업 성장에 힘입어 고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앞선 기술력으로 시장 선점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중국 태양광 모듈 업체 'JA솔라 테크놀로지(JA Solar Technology, 이하 JA솔라)'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24일(현지시간)부터 사흘간 상하이에서 열린 태양광 전시회 'SNEC(Shanghai New Energy Conference) 2023'에서 CATL과 전략적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태양광 시장을 겨냥한 제품을 공동 개발키로 했다. 양사 협력 소식이 전해진 이튿날 블룸버그통신은 CATL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파일럿 테스트 라인을 구축하고 제품 개발을 추진 중이라고 보도했다. 파트너십을 통해 JA솔라는 모듈 성능과 비용 절감을 꾀하고 CATL은 JA솔라라는 거대 고객을 사전에 포섭할 수 있는 ‘윈윈’ 전략인 셈이다. 태양전지는 태양빛을 받아 전기를 만드는 배터리로 현재는 대부분 실리콘을 기반으로 한다. 실리콘은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높은 온도에서 작업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 태양광 신소재인
[더구루=정등용 기자] 캐나다 리튬 개발업체 알파리튬(Alpha Lithium Corporation)의 매각 가능성이 제기됐다. 인수 기업으로는 이탈리아-아르헨티나 철강 기업 테크인트(Techint)가 거론된다. [유료기사코드] 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테크인트는 알파리튬 인수를 위해 1억7700만 달러(약 2300억 원) 규모의 기업 공개(IPO)를 추진한 것으로 확인됐다. 테크인트는 알파리튬 인수를 통해 리튬 분야 사업 진출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테크인트는 알파리튬이 보유한 탐사 프로젝트 ‘엘 살라 델 옴브레 무에르토(El Salar del Hombre Muerto)’와 ‘톨리야르(Tolillar)’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옴브레 무에르토 염호는 남미 유망 리튬 매장지 중 하나로 아르헨티나 서북부 살타주 해발 4000m에 자리하고 있다. 리튬 함유량이 세계 상위권(0.9g/L) 수준이며 불순물이 적어 남미에서 잠재력이 높은 염호로 꼽힌다. 포스코와 미국 리벤트, 호주 갤럭시리소시즈 등 글로벌 자원개발 업체들이 진출해 있다. 톨리야르도 테크인트가 개발 중인 염호 중 하나로 연간 120톤의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다. 총 면적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