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진유진 기자] 성주그룹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 MCM이 싱가포르에서 신제품 '오 드 퍼퓸' 컬렉션을 선보이며 뷰티 사업 확장에 나섰다. 브랜드 아이덴티티인 가죽 동물 모티프를 향수로 구현한 이번 시도는, MCM이 패션을 넘어 라이프스타일 전반으로 영향력을 넓히겠다는 선언으로 평가된다. 업계에서는 K패션이 K뷰티에 이어 아시아 시장의 새로운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2일 MCM에 따르면 이번에 공개된 'MCM 컬렉션'은 △마이티 베어 △졸리 래빗 △차밍 펍 △달링 독시 △데어링 드래곤 △젠 엘리펀트 등 가죽 동물 모티프에서 영감을 받은 오 드 퍼퓸 6종으로 구성됐다. 소비자가 단순히 향수를 뿌리는 것을 넘어, 개성과 정체성을 표현하는 도구로 활용하도록 기획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글로벌 향료기업 dsm-피르메니히(Firmenich)의 마스터 퍼퓨머들과 협업해 완성됐다. 지속 가능하게 조달한 원료를 사용했으며, 황금 조각상을 장식한 병 패키지는 MCM 특유의 대담한 디자인 감각을 드러냈다. 향을 레이어링해 나만의 시그니처 향을 만들 수 있다는 점도 차별화 포인트다. 출시에 맞춰 공개된 CGI 기반 '애프터 아워스(After Hours)' 캠
[더구루=김명은 기자] 아모레퍼시픽 글로벌 뷰티 브랜드 '라네즈(LANEIGE)'가 일본에서 이색 마케팅을 선보인다. 인기 제품인 립 슬리핑 마스크가 딸기 쇼트케이크 향으로 출시된 것을 기념해 제품 콘셉트에 맞춰 음식 테마의 버스 투어를 진행한다. 브랜드와 소비자 사이의 감정적 연결을 강화하려는 전략적인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2일 일본 여행업체 업스타에 따르면 라네즈는 인기 제품인 립 슬리핑 마스크의 신향 '쇼트케이크' 출시를 기념해 '애프터눈 티 버스 투어(Afternoon Tea Tour)'를 오는 3일까지 진행한다. 소비자들에게 제품을 오감으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기획됐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참가자에게는 립 슬리핑 마스크 '쇼트케이크'(20g 정품)가 선물로 증정되며, 립 슬리핑 마스크에서 영감을 받은 '쇼트케이크', 워터 슬리핑 마스크를 표현한 '블루베리 마카롱', 시카 슬리핑 마스크를 모티브로 한 '바질 미트볼' 등 총 7가지 오리지널 메뉴가 제공된다. 라네즈는 배스킨라빈스와 콜라보를 통해 아이스크림 맛 립 마스크를 선보이거나 버블티 콘셉트의 제품을 출시하는 등 다양한 음식에서 영감을 받은 제품들을 꾸준히 선보이고 있다. 화장품과 디
[더구루=진유진 기자] 아모레퍼시픽 이니스프리가 또 한 번 글로벌 성과를 냈다. 대표 제품 '레티놀 그린티 PDRN 스킨부스터 앰플'이 출시 1년 만에 전 세계에서 25만병 이상 판매되며 기능성 스킨케어 시장의 새로운 강자로 부상했다. 레티놀과 PDRN을 결합한 'K-클리닉 성분' 전략이 글로벌 소비자에게 통했다는 분석이다. 2일 아모레퍼시픽재팬에 따르면 해당 제품은 지난해 7월 출시 후 1년간 글로벌 누적 판매량 25만6000병을 기록했다. 특히 일본에서는 뷰티 잡지와 온라인 플랫폼에서 '베스트 코스메틱' 19관왕을 차지한 한편, 한국에서는 올리브영 전 제품 판매 순위 1위에 오르며 양국 시장에서 화제를 모았다. 출시 1년 만에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는 모양새다. 가격, 품질 등에서 글로벌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는 평가다. 특히 일본 시장은 기초 화장품 시장에서 저자극·안전성을 중시하는 소비층이 두터운 편이다. 이니스프리는 이에 맞춰 레티놀과 제주 녹차 유래 PDRN을 결합해 기능성과 친환경을 동시에 강조했다. 이와 함께 비건 인증과 클린 뷰티 콘셉트를 앞세워, 한국 브랜드의 과제로 지적되던 지속 가능성 이슈를 보완했다. 출시 1주년을 맞아 이니
[더구루=진유진 기자] 이탈리아 정부가 한국을 글로벌 화장품 생산·연구의 전략적 거점으로 재확인했다. 발렌티노 발렌티니(Valentino Valentini) 이탈리아 기업·메이드인이탈리아부 차관이 이번 주 방한해 인터코스코리아 오산 제2공장을 직접 찾는다. 인터코스코리아는 이탈리아 화장품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ODM(제조자개발생산) 생산기업 인터코스의 한국법인으로, 이번 행보는 한국의 글로벌 화장품 생산 허브 위상이 한층 강화되는 신호로 해석된다. 2일 이탈리아 정부에 따르면 발렌티니 차관은 지난달 31일 싱가포르·베트남·한국을 도는 순방길에 올랐다. 그는 오는 4일 방한해 서울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차관과 회담을 갖고, 양국 최초의 비즈니스 포럼에서 다수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할 예정이다. 일정의 마지막은 오는 6일 인터코스코리아 제2공장 개소식 참석이다. 이번 제2공장은 연간 약 1억3500만개의 생산 역량을 확보하며, 한국 내 최대 규모 이탈리아 단독 투자 사례로 꼽힌다. 단순한 생산시설 확장이 아니라, 고객사별 타깃 시장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빠르게 제공하기 위한 전략적 인프라라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인터코스는 지난 1972년 이탈리아 밀라노
[더구루=이연춘 기자] 젝시믹스가 대만 수도 타이베이에 정규 3호 매장을 오픈하며 대만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앞서 지난 3월 타이중 친메이 백화점에 1호매 장을 오픈한 젝시믹스는 장기 팝업 중인 타이베이 브리즈 난산 백화점을 3월에 정식 매장으로 전환해 총 3개의 정식매장을 운영하게 됐다. 2일 젝시믹스에 따르면 대만 3호 매장은 수도 타이베이에 위치한 신광미츠코시백화점 신이 신천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신광미츠코시백화점 신이 신천지점은 각 연령별 소비층을 겨냥해 A4, A8, A9, A11 총 4개의 관을 운영 중이며, 젝시믹스는 젊은층들의 수요가 높은 A11관 4층 스포츠의류매장에 입점했다. 대만은 K브랜드에 대해 상당히 관심이 높아 신광미츠코시 역시 다양한 K패션과 푸드들이 입점하고 있다. 젝시믹스는 젊은층들의 유입인구가 높은 신광미츠코시 백화점에서 젝시믹스를 K애슬레저의 대명사로 이미지를 굳힐 계획이다. 그동안 젝시믹스는 현지 자사몰 외에도 오픈마켓 쇼피 내 공식 브랜드몰과 라인쇼핑몰 등을 통해 운영하고 있으며, 타이베이, 신베이, 타이난, 가오슝 지역 등으로 지속적으로 팝업을 진행하는 등 온오프라인 전방위적으로 고객 접점 확대에 집중했다. 현지
[더구루=김명은 기자] LG생활건강의 더페이스샵이 말레이시아 최대 온라인 쇼핑몰 라자다(Lazada)에 입점하며 동남아시아 시장 확대를 위한 글로벌 유통 전략을 본격화했다. 라자다는 동남아 전역을 커버하는 플랫폼으로, 기존 팬층 외에도 새로운 고객을 유입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1일 라자다에 따르면 더페이스샵 제품 판매가 최근 시작됐다. 라자다는 패션, 전자제품, 생활용품, 건강식품, 육아용품 등 거의 모든 카테고리를 다루고 있는 말레이시아 최대 규모의 온라인 쇼핑몰 중 하나다. 중국의 거대 기술 기업 알리바바 그룹이 운영하고 있다. LG생활건강이 가진 브랜드 파워와 라자다의 플랫폼 영향력이 결합되면 동남아 시장에서 상당한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을 전망이다. 라자다는 말레이시아뿐 아니라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태국, 베트남, 필리핀 등 동남아 6개국에 걸쳐 있는 대형 플랫폼이므로, 더페이스샵이 입점함으로써 현지 소비자와의 접점을 확대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수 있다. 동남아에서는 K-뷰티에 대한 관심이 높고, 특히 자연주의 브랜드에 대한 선호가 강하다. 더페이스샵은 자연 성분 기반의 제품을 강조하는 브랜드로, 현지 소비자의 요구와 잘 맞아떨어진다는
[더구루=진유진 기자] K뷰티가 북미를 넘어 유럽 시장까지 영향력을 확장하며 글로벌 뷰티 산업의 지형을 바꾸고 있다. 인디 브랜드들이 디지털 유통망과 SNS를 무기로 빠르게 해외 소비자에게 다가서며, 대기업 중심 K뷰티 구조를 흔들고 있다는 평가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조선미녀와 스킨1004, 이퀄베리 등 국내 인디 브랜드가 K뷰티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했다. 국내보다 해외에서 더 주목받는 K뷰티 인디 브랜드 사례가 늘면서, 디지털 플랫폼과 글로벌 판매 채널을 통한 팬덤 확보 전략이 성과를 내고 있다. 구다이글로벌이 운영하는 조선미녀는 한국보다 미국·유럽에서 먼저 입소문이 난 뒤 역수출된 대표적 브랜드다. 대표 제품 '맑은쌀 선크림'은 유럽을 포함한 100여 개국에 월 200만개 이상 판매되며, 지난해 매출의 90%가 해외에서 발생했다. 크레이버코퍼레이션의 스킨1004는 유럽 전역에서 대표 뷰티 체인 '세포라'와 '디엠'을 비롯해 독일 '로스만', 스페인 '드루니' 등 주요 리테일·이커머스 채널을 통해 점유율을 넓히며, 올해 상반기 매출 절반을 서구권에서 거뒀다. 부스터스가 전개하는 이퀄베리 역시 글로벌 진출 1년 반 만에 북미·유럽·동남아 등
[더구루=김명은 기자] 최근 캄보디아에서 '이너뷰티(Inner Beauty)'가 새로운 뷰티 루틴으로 주목받고 있다. 피부나 외모 관리에 국한됐던 전통적 미용 방식에서 벗어나 몸속 건강을 챙기며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문화가 확산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산 이너뷰티 제품이 K-콘텐츠의 영향으로 현지에서 프리미엄 이미지를 형성하며 중산층을 중심으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30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등에 따르면 최근 캄보디아에 K-팝과 K-드라마,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한국의 이너뷰티 문화가 소개되면서 현지 소비자들 사이에서 고품질 제품과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너뷰티는 건강기능식품이나 영양제를 통해 피부 탄력, 미백, 면역력 강화 등을 돕는 제품군을 말한다. 콜라겐, 비타민C, 프로바이오틱스, 히알루론산 등 기능성 성분이 주로 사용되며, 특히 콜라겐 제품은 피부 노화 방지와 탄력 개선 효과에 대한 기대감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캄보디아 소비자들은 한국산 제품을 안전하고 세련된 프리미엄 브랜드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강하며, 이는 수입 브랜드 중에서도 한국 제품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는 배경이 되고 있다.
[더구루=진유진 기자] 아모레퍼시픽의 프리미엄 뷰티 브랜드 헤라(HERA)가 일본 시장에서 존재감을 강화한다. 오는 9월 오사카 한큐 우메다 본점에 첫 상설 매장을 열고, 프리오픈 기간에는 한정 제품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 이번 매장 개장은 일본 내 K뷰티 영향력을 확대하고, 현지 소비자에게 맞춤형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9일 아모레퍼시픽 재팬에 따르면 헤라는 오는 9월 17일 오사카 한큐 우메다 본점 3층에 일본 상설 1호점을 오픈한다. 오픈에 앞서 9월 10일부터 16일까지 일주일간 2층에서 프리오픈 행사가 진행돼 브랜드의 독특한 세계관과 한정 제품을 미리 경험할 수 있다. 헤라는 지난 2023년 7월 일본 진출 이후 팝업 스토어를 중심으로 브랜드를 알리며 현지 시장 반응을 검증했다. 이번 상설 매장은 일본에서 처음으로 헤라만의 고유한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한정 아이템을 포함한 다양한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를 통해 현지 소비자에게 K뷰티 트렌드를 전달하고 브랜드 존재감을 본격적으로 확장한다는 전략이다. 글로벌 앰버서더인 스트레이 키즈 필릭스와 협업한 신제품 컬러와 세트도 매장 오픈과 동시에 공개된다. 필릭스의 감성을
[더구루=이연춘 기자] 화장품 전문기업 제이준코스메틱이 중국 시장 공략 성과에 힘입어 K-뷰티 선도기업으로서의 위상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제이준코스메틱은 ‘2025 올해의 브랜드 대상’ 시상식에서 중국 마스크팩 부문 1위를 차지했다고 29일 밝혔다. ‘올해의 브랜드 대상’은 한국소비자브랜드위원회가 주최하고 한국소비자포럼, 한국경제신문이 공동 주관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브랜드 시상식으로, 매년 소비자 투표를 통해 한 해를 대표하는 브랜드를 선정한다. 특히 소비자가 직접 참여해 평가한다는 점에서 높은 공신력과 영향력을 지닌 것으로 평가된다. 제이준코스메틱은 지난 2017년부터 올해까지 9년 연속 중국 마스크팩 부문 1위를 기록하며 제품 경쟁력과 브랜드 신뢰도를 동시에 입증했다. 특히 주요 제품 중 ▲블랙 물광 마스크 ▲인텐시브 샤이닝 마스크 ▲로즈 블로썸 마스크 등은 중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장기간 사랑받으며 ‘스테디셀러’로 자리매김했다. 이와 함께 기초 스킨케어 라인을 비롯해 다양한 제품군을 확장하며 글로벌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이번 성과는 제이준코스메틱이 단순히 인기 제품을 보유한 브랜드를 넘어 신뢰할 수 있는 K-뷰티 대표 기업으로 자리 잡아가고
[더구루=김명은 기자] LG생활건강의 한방 뷰티 브랜드 '더후(The History of Whoo)'가 베트남에서 롯데호텔과 손 잡고 하이앤드 마케팅을 펼쳐 눈길을 끌고 있다. 프리미엄 체험형 마케팅을 통해 K-럭셔리 뷰티 브랜드의 이미지를 각인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더후는 지난 25일(현지시간) 베트남 롯데호텔 하노이 38층 '더 라운지 스카이(The Lounge Sky)'에서 '시대를 초월한 문화의 정수'를 주제로 VIP 고객 대상 행사를 열었다. 이번 행사는 더후의 신제품 '환유 임페리얼 유스(Hwanyu Imperial Youth)' 5세대 라인을 처음 공개하는 자리였다. 또한 롯데호텔의 중추절 한정판 선물세트 '티엔 바오(Thiên Bảo)'와의 특별한 공동 브랜딩을 선보이며 문화적 스토리를 강조했다. 티엔 바오는 한국 전통 보자기 포장과 궁중 문양, 금박 디테일로 고급스러움을 더했다. 단 50세트만 한정 판매해 희소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이번 행사는 고대 왕실의 예술성과 현대적 감각이 어우러진 공간에서 진행돼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깊이 있는 문화 경험을 선사했다. 하노이 시내의 아름다운 전망을 배경으로 프라이빗하
[더구루=진유진 기자] CJ올리브영이 일본 색조 시장 공략에 속도를 높인다. 자체 메이크업 브랜드 '웨이크메이크'은 다음달 립스틱과 하이라이터 신제품을 출시한다. K-뷰티 감성에 '자연스러움'과 '트렌디함'을 핵심 키워드로 내세워 일본 소비자의 취향을 정조준한다는 전략이다. CJ올리브영 재팬은 다음 달 12일 웨이크메이크 '헬시 글로우 바 스틱'과 '시어 브리즈 하이라이터' 등 신제품 2종을 현지 시장에 공식 출시한다고 26일 밝혔다. '헬시 글로우 바 스틱'은 입술 본연의 색을 살리면서도 건강한 혈색을 더해주는 립스틱으로, 총 10가지 색상으로 구성됐다. 'MLBH(My Lips But Healthier·내 입술처럼 자연스럽지만 더 생기 있게)' 콘셉트로 자연스러운 광택과 컬러감으로 데일리 메이크업에 적합한 것이 특징이다. 부드럽게 밀착되는 텍스처로 치크에도 활용할 수 있다. 컬러 라인업은 따뜻하고 자연스러운 색조의 나마키 모드'와 선명하고 화려한 계열인 '와가마마 모드'로 나뉜다. 함께 출시되는 '시어 브리즈 하이라이터'는 젤 베이스 파우더 타입으로, 부드러운 광택과 투명한 피부 표현을 돕는 제품이다. 가루 날림 없는 제형이 피부에 촉촉하게 밀착돼 장시간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엑스에너지(X-energy)가 폴란드 시장 문을 두드리고 있다. 창업자인 카말 가파리안(Kamal Ghaffarian) 회장은 폴란드 부총리와의 회동에서 엑스에너지의 경쟁력을 호소하고 우주에 이어 원전으로 양국의 협력 확장을 강조했다. [유료기사코드] 2일 비즈니스인사이더폴스카와 폴스타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엑스에너지는 폴란드에 SMR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 지난달 엑스에너지와 액시엄스페이스 창업자인 가파리안 회장의 폴란드 방문을 계기로 적극적으로 협력을 모색하는 분위기다. 가파리안 회장은 지난달 25일(현지시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부아디스와프 코시니악-카미슈(Władysław Kosiniak-Kamysz) 폴란드 부총리 겸 국방장관과 면담을 가졌다. 우주와 원전 사업에 대한 포괄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폴란드는 액시엄스페이스와 우주 사업에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지난 6월 폴란드 우주비행사인 슬라보시 우즈나스키-비스니에프스키가 액시엄스페이스의 우주선에 탑승했다. 액시엄스페이스가 주도하는 민간 우주정거장 '액시엄 스테이션'에도 상당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코시니악-카미슈 부총리는 가파리안 CEO와의 면담에서 세계 최초 민간
[더구루=김은비 기자] 텍사스 기가팩토리 내 충돌 테스트 시설에서 테슬라의 새로운 소형 전기차로 추정되는 차량이 포착됐다. 기존 모델Y보다 작은 차체 크기와 다른 루프라인이 드러나면서 향후 출시될 저가형 모델 또는 ‘사이버캡(Cybercab)’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유료기사코드] 테슬라 미국 텍사스주 기가팩토리 관련 이미지·영상을 전문으로 촬영하는 드론 조종사 조 테그마이어(Joe Tegtmeyer)는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기가 텍사스 상공에서 촬영한 차량을 공개했다. 해당 영상에서는 충돌 시험장 인근에서 다수의 모델Y와 함께 보호 시트로 가려진 정체불명의 차량이 발견됐다. 특히 모델Y와 나란히 놓였을 때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와 독특한 루프라인이 확인돼 새로운 모델일 가능성이 제기됐다. 업계에서는 해당 차량이 ‘사이버캡’일 수 있다는 추측도 나온다. 사이버캡은 로보택시 콘셉트의 소형 차량으로, 모델3·Y보다 작은 차체가 특징이다. 업계는 사이버캡 양산이 연내 출시될 것으로 전망하면서 이 차량이 사이버캡이라는 추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테슬라는 지난해 10월 2인승 차량인 ‘사이버캡’을 처음 선보였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