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공사 수질시험실, 화학물질 유출사고 후에도 안전소홀 '여전'

3년간 9명 사망·46명 부상
총괄 부서·안전 관리 기준 부재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수자원공사의 수질시험실이 안전성 우려로 도마 위에 올랐다. 잇단 사고에도 불구하고 컨트롤타워가 없고 안전 관리 기준이 정립되지 않았으며 전담 인력은 부족했다. 대응 매뉴얼과 보고 체계도 부적절해 신속한 대응이 어렵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수자원공사는 지난달 내부감사에서 수질시험실의 안전 관리 업무·인력 관련 지적을 받았다.

 

수질시험실은 화학물질과 유독가스를 저장·취급해 사고 위험에 늘 노출돼 있다. 2016~2019년 수질시험실에서 발생한 사고는 총 21건으로 9명이 사망했고 46명이 부상을 당했다. 지난 6월 4일에도 시험 중 강산성의 화학물질이 새어 나와 1명이 부상을 입었다.

 

연이은 사고에도 안전 관리를 총괄하는 부서는 설립되지 않았다. 사업 분야별로 5개 부서가 수질시험실을 관리했다.

 

안전 관리 기준도 없었다. 사내 '댐 보 수질 관리 업무 기준'과 '수도수질관리 업무 기준'을 통해 보호장구 착용을 규정하고 사고 예방과 안전사고 대비를 적시하는 데 그쳤다. 사고를 막기 위한 사무실 배치·창문을 비롯한 환기설비의 설치 기준, 본사·본부·현장 간 업무 분장, 전담 인력 배치·역할 등 구체적인 내용은 누락됐다.

 

기준이 미비해 현장 부서는 산업안전보건법 핸드북, 환경시험실 운영 관리·안전 등 다른 기관의 지침을 참고해야 했다. 지침 간 차이가 있어 업무에 혼란을 겪었다.

 

전담 인력의 부족 또한 감사에서 언급됐다. 본사조차 수질시험실 업무를 담당하는 주관부서에 안전 관리를 맡은 직원이 없었다. 현장에 안전 교육과 안전시설 확충 등을 지원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아울러 사후 대응의 문제점이 드러났다. 지난 6월 사고 이후 담당 직원은 이를 내부 시스템에 '댐사고인사사고'로 보고했다. 수질시험실 사고를 포함하는 적합한 분류 체계가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고 유형별 대응을 담은 표준 매뉴얼은 없었고 보고 체계는 본사 주관 전담 부서로 지정되지 않았다.

 

수자원공사 감사실은 안전 관리 업무를 총괄하도록 하고 업무 기준을 제정하라고 지시했다. 전담 인력 증원 협의와 사고 유형 추가, 대응 매뉴얼 수립을 주문했다.

.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