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희토류 '수출제한' 조치 윤곽 …車·반도체·배터리 '예의주시'

미중 무역갈등 여파…美 희토류 자급율 높이기 나서
中 생산량 압도적…"국내 기업도 수입국 다변화 나서야"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이 희토류를 '자원 무기화'하면서 미중 갈등이 자원 전쟁으로 비화될 가능성이 커졌다. 희토류는 반도체, 전기자동차 배터리 등의 핵심 소재로 미국은 물론 국내 후방산업이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지난달 희토류의 생산·수출 관리를 제한하는 '희토류 관리 규정' 초안을 발표했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희토류 개발 및 수출 통제를 위한 움직임은 이번 조례 초안을 통해 본격화됐다. 

 

희토류 산업 전반 공급망에 대한 규제를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희토광 개발·제련 프로젝트 투자 사전에 정부 허가 취득을 의무화한다. 불법 개발·제련·생산·구입을 막기 위해 단속 점검을 강화하고 제품 추적 시스템 및 비축제도 등도 구축할 예정이다. 위반 시 불법소득 1~5배 수준, 또는 10만~100만 위안 벌금을 부과한다. 

 

희토류는 4차 산업의 핵심 소재로 반도체, LED, 전기차 배터리, 대형발전기 등에 두루 활용된다. 최근 세계 각국의 친환경 기조에 힘입어 관련 산업이 성장하면서 희토류 수요도 덩달아 급증하기 시작했다. 지난달에는 희토류 가격이 종합지수 발표 이래 최초로 1400선을 돌파했다. 

 

실제 중국이 자국 내 수급 불안정 등의 이유를 들어 희토류 수출중단을 선언하면 제품 가격 폭등이나 생산공정에도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 자동차 산업의 경우 희토류 공급이 막히면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등 부품 산업 전반에 줄줄이 제동이 걸리게 돼 피해가 크다. 

 

높은 수요에도 불구하고 매장량과 생산 주체는 중국 등 일부 국가에 한정돼 있다. 부존량은 중국이 37%로 가장 많고 베트남(18%), 브라질(18%), 러시아(10%), 인도(6%), 호주(3%), 미국(1%) 등이 뒤를 이었다. 생산량은 중국이 63%로 압도적이다. 미국이 12%로 2위를 차지했고 미얀마(11%)와 호주(10%)가 각각 3,4위다. 

 

특히 시진핑 주석이 지난 2019년 장시성 희토류 생산업체를 시찰하면서 "희토류는 중요한 전략적 자원으로 산업고도화 및 산업체인을 확대할 것"을 주문해 희토류는 미중 무역갈등의 새로운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은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 경고에 서둘러 자급률 높이기에 나섰다. 정부는 수백억원의 막대한 자금도 지원하고 있다. 정부의 지원을 등에 업고 지난 2019년부터 미국 화학회사 블루라인이 호주의 광산회사 라이너스와 합작해 미국에 희토류 처리 가공시설을 짓는 중이다. 

 

희토류 대부분을 중국에서 수입하는 국내 기업들도 중국의 규제 움직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업계에서는 희토류 수입국 다변화, 기술 개발을 통한 재활용 촉진, 대체재 개발 등의 대비책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