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항공기 제조업체인 보잉이 출자한 스타트업 위스크에어로(Wisk Aero)가 영국 도심 항공 교통수단(UAM) 인프라 전문 기업과 협력해 전기 수직 이착륙(eVTOL) 도심 공항을 구축한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업계에 따르면 위스크 에어로는 버티포트 개발업체 스카이포츠(Skyports)와 협력해 eVTOL의 버티포트 통합 운영 개념서(ConOps)를 발표했다. 스카이포츠는 에어택시를 타고 내릴 도심공항(Vertiport)을 만드는 회사이다. 양사는 필요한 업그레이드, 절차 변경, 개조를 포함해 안전하고 자율적인 eVTOL 운영을 수용하기 위한 요구 사항을 설명하는 운영 개념을 만들기 위해 협력했다. 위스크에어로는 "새로운 파트너십은 지상 작전, 일정, 최종 접근과 이륙, 비상 사태 관리를 비롯한 여러 핵심 영역을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위스크에어로와 스카이포츠가 제작한 운영 개념서는 자율형 eVTOL 항공기와 UAM 인프라 간 관계를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특히 위스크에어로와 스카이포츠는 UAM 발전에 중요한 프로세스와 솔루션을 개발하고 테스트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무엇보다 운영 개념서는 업계와 규제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항공기 제조업체인 보잉이 출자한 스타트업 위스크에어로(Wisk Aero)가 일본에 전기구동식 자율주행 에어택시를 출시한다. 미국에서 수년 안에 자율주행 에어택시를 상용화해 일본을 포함해 세계 약 20개 도시에서 순차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위스크에어로는 일본에서 전기구동식 자율주행 에어택시를 선보일 계획이다. 위스크에어로가 일본에 에어택시를 출시하는 건 일본 등 주요 국가에서 도입과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어서다. 일본은 2025년 오사카 엑스포에 에어택시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위스크에어로는 20억 달러(약 2조3990억원)를 투자해 3~4인승의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기체를 개발 중이다. 기체 개발에는 100명의 보잉 엔지니어도 참여 중이다. 위스크에어로가 그리는 에어택시는 이용자가 앱으로 택시를 예약하면 공항과 헬리콥터 이착륙시설을 갖춘 빌딩 옥상 사이를 비행하는 식이다. 승객의 평균 탑승 시간은 10~25분이며, 운항거리는 40~100km 정도로 상정했다. 요금은 km당 1.25달러(약 1500원)로, 카세어링 우버보다 거리당 가격을 낮추겠다는 계획이다. 게리 가이슨 위스크에어로 사장은 "에어
[더구루=김은비 기자] 테슬라 고성능 전기 SUV 모델 ‘모델 Y 퍼포먼스’의 신형 프로토타입이 시험 주행중인 모습이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포착됐다. ‘주니퍼(Juniper)’ 디자인이 적용된 첫 퍼포먼스 트림으로, 연내 출시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시장의 기대감을 끌어올리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일 미국 전기차 전문 매체 일렉트렉(Electrek)에 따르면 모델 Y 퍼포먼스로 추정되는 프로토타입 차량이 테스트 주행 중인 모습이 캘리포니아 팔로알토에 위치한 테슬라 엔지니어링 본사 인근 도로에서 목격됐다. 이번에 포착된 차량은 전면 위장막이 씌워져 있었으나 실루엣과 휠 사양, 브레이크 구성을 통해 모델 Y 퍼포먼스임을 식별할 수 있다. 퍼포먼스 트림 전용인 플래드(Plaid) 20인치 휠과 대형 레드 브레이크 캘리퍼가 적용돼 있다. 이번 테스트 차량이 공개되면서 해당 트림 출시가 임박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테슬라는 지난 1월 모델 Y의 페이스리프트 버전인 ‘주니퍼’를 공개했으나 퍼포먼스 트림은 초기 라인업에 포함되지 않아 주문이 중단된 상태였다. 이번 신형 모델 Y 퍼포먼스는 외관뿐만 아니라 파워트레인, 배터리 효율 측면에서도 업그레이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키옥시아가 차량용 반도체 시장을 겨냥해 유니버셜플래시메모리(UFS) 4.1 규격을 지원하는 내장형 낸드플래시 메모리 샘플링을 개시했다. 키옥시아는 미래 자동차 시장에 인공지능(AI)과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중요해지는 만큼 차량용 고성능 메모리의 필요성도 더욱 커질 것으로 보고있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키옥시아 아메리카는 8세대 3D 낸드 기술 'BiCS 플래시(BiCS FLASH)' 기반 차량용 UFS 4.1 임베디드 메모리 디바이스의 샘플링을 시작했다. 용량은 △128GB △256GB △512GB △1TB로 구성됐다. 키옥시아는 해당 제품에 대해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텔레매틱스 등 다양한 차량 내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도록 설계됐다고 설명했다. 키옥시아는 UFS 3.1에서 4.1로 업그레이드되면서 순차 읽기와 순차 쓰기 성능은 각각 2.1배, 2.5배가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임의 읽기와 임의 쓰기 성능은 각각 2.1배와 3.7배가 좋아졌다. UFS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같은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고속 내장형 저장장치 규격이다. 최신 버전인 UFS 4.1은 고속 데이터 처리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