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미국 바이오기업 사이토다인(CytoDyn)이 대규모 자금을 조달했다. HIV(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신약후보물질 레론리맙(Leronlimab) 개발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2019년 5월 사이토다인과 레론리맙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했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사이토다인은 비인간 영장류를 대상으로 단일항체 후보물질 레론리맙을 기반으로 한 HIV 유전자 치료제의 잠재적 사용을 평가할 새로운 전임상 연구에 착수한다고 발표했다. 해당 연구는 미국 오리건주에 있는 오리건보건과학대학교(Oregon Health & Science University)의 조나 사차(Jonah Sacha) 연구원 주도 아래 실시될 예정이다. 조나 사차 연구원은 사이토다인의 과학 고문을 맡고 있다. 유전자 치료제의 접근방식이 기능적 치료로서의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지 평가하는 것이 이번 연구의 목적이다. HIV 환자들이 평생동안 지속적으로 약물을 복용하지 않고도 바이러스 억제 효과를 낼 수 있는지 살펴보려는 것이다. 미국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의 알라지 감염병 연구소(National Insti
[더구루=김형수 기자] 미국 바이오기업 사이토다인(CytoDyn)이 여러 적응증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레론리맙 개발 프로그램에 제동이 걸렸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사이토다인의 미국 내 HIV 치료제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부분적 임상 보류,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완전 임상 보류 결정을 내렸다. 여기에 더해 사이토다인은 브라질에서 코로나19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임상 시험도 데이터 안전성 모니터링 위원회 회의의 결과가 나올 때까지 중단하기로 했다. 사이토다인은 HIV 관련 생물의약품 허가신청서(BLA)를 다시 제출할 시기를 다시 평가하는 과정을 거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안팎에서 진행하던 사이토다인의 치료제 개발 프로그램이 줄줄이 차질을 빚는 모양새다. 사이토다인은 CCR5 길항제 레론리맙(Leronlimab)을 HIV, 코로나19,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 암,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등의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다. 사이토다인은 미국에서 임상 보류 결정이 내려진 임상 시험에 새로운 환자 등록을 받지 않고 있다. HIV 치료제 개발 프로그램에 부분적 임상 보류 결정이
[더구루=김형수 기자]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치료제 레론리맙(Lelonlomab)을 코로나19 치료약으로 개발하는 중인 미국 바이오기업 사이토다인(CytoDyn)이 레론리맙을 홍보하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제재를 받을 수 있는 상황에 처했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업계에 따르면 FDA의 처방약 프로모션국(The Office of Prescription Drug Promotion·OPDP)은 사이토다인 측에 보낸 경고서한(Warning Letter)을 통해 영국 매체 프로액티브(Proactive)와의 인터뷰에서 사이토다인이 레론리맙을 알리면서 확인되지 않은 주장을 펼쳤다고 지적했다. FDA는 네이더 푸하산 당시 사이토다인 CEO가 해당 인터뷰에서 아직 긴급사용승인(EUA)이나 판매 허가를 획득하지 못한 레론리맙을 안전하고 효과적이라고 한 발언을 문제삼았다. 네이더 푸하산 당시 CEO는 "중환자 집단에게 레론리맙을 한 번 투여했을 때의 생존률은 78%였으며, 한 번 더 투여하니 생존률은 82%로 높아졌다"거나 "78%가 82%로 높아졌다면 다음은 88%, 95%로 높아질 수도 있다. 나는 지금 우리가 무엇을 얻을 것인지에 관해 말하는 것이 아
[더구루=김형수 기자] 사이토다인이 개발하는 중인 CCR5 길항제 레론리맙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에 대한 임상 시험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7일 업계에 따르면 사이토다인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에 대한 레론리맙 임상 2상에서 긍정적 결과를 얻었다. 임상 2상은 일주일에 700mg을 투여하고 플라시보와 비교하는 파트1과 일주일에 350mg을 투여하고 마찬가지로 플라시보와 비교해보는 파트2 두 가지 부분으로 나뉘어 이뤄졌다. 임상 시험의 일차평가변수는 양자밀도 지방비율(PDFF), 이차평가변수는 간 염증 및 섬유증을 나타내는 cT1으로 이 둘은 NASH의 위험을 측정할 때 활용된다. 사이토다인은 일차평가변수는 플라시보와의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치가 나왔다으며,이차평가변수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치에 가까운 결과가 나왔다고 전했다. 임상시험의 주요 평가 목적인 일차평가변수는 달성됐다는 설명이다. 사이토다인은 세계 인구 가운데 5%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가지고 있으며 20%는 간경변으로 진행된다고 추정되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임상 결과는 치료제 개발에 대한 희망을 갖게 한다고 밝혔다. 승인받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제가 없기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사이토다인이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치료 후보물질인 '레론리맙'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로 활용하기 위한 임상 3상에 착수한다. 필리핀에 이어 미국과 브라질에서도 효능을 증명해 허가를 받고 판매를 추진한다. [유료기사코드] 사이토다인은 21일(현지시간) "FDA로부터 레론리맙의 임상 3상 시험 계획에 대한 긍정적인 답변을 받았다"고 밝혔다. 레론리맙은 HIV 감염이나 종양 전이를 일으키는 세포수용체 CCR5를 차단하는 기전을 가졌다. 사이토다인은 레론리맙을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하고자 임상을 추진해왔다. <본보 2021년 12월 10일 참고 '삼성바이오로직스 파트너사' 사이토다인, 임상 3상 계획 제출> 응급임상시험(eIND)의 일환으로 100여 명에 투여해 상당수의 사례에서 효능을 입증했다. 시험 결과는 논문 4편으로 발표됐다. 사이토다인은 인공호흡기(IMV)와 에크모(ECMO·체외막산소공급장치)가 필요한 위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을 진행한다. 700mg의 용량을 주 단위로 4주간 투여해 효능과 안전성을 검토한다. 사이토다인은 향후 임상에 속도를 내 미국에서 사용 허가를 획득하고 본격적
[더구루=홍성일 기자] 소니가 이스라엘에 위치한 반도체 자회사의 매각을 추진한다. 소니는 비핵심 부문을 정리하고 엔터테인먼트 부문에 역량을 집중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업계에 따르면 소니 그룹은 다수의 투자은행과 '소니세미컨덕터 이스라엘(Sony Semiconductor Israel)'의 매각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소니세미컨덕터 이스라엘의 매각가는 3억 달러(약 414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소니는 지난 2016년 통신칩 전문 기업 알테어 세미컨덕터(Altair Semiconductor)를 2억1200만 달러(약 2930억원)에 인수하고, 사명을 소니세미컨덕터 이스라엘로 변경했다. 소니세미컨덕터 이스라엘은 현재도 스마트 미터, 웨어러블 기기, 커넥티드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셀룰러 모뎀 칩을 공급하고 있다. 소니가 반도체 자회사 정리에 나선 배경에는 반도체 부문 사업 재편이 있다. 소니 반도체 부문은 이미지 센서 등의 기술력을 앞세워 지난해 1조8000억엔(약 16조8150억원) 매출을 올렸다. 이는 소니 그룹 전체 매출에 14%에 불과한 규모다. 반면 게임, 음악, 영화는 엔터테인먼트 부문은 게임(4조6700억엔), 음악(1조8426
[더구루=정예린 기자] 애플과 엔비디아가 인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의 차세대 14A(1.4나노미터급) 공정을 활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이 기존 TSMC 중심에서 다변화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인텔 파운드리 사업의 경쟁력 회복에 청신호가 켜질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푸 홍콩 GF증권 애널리스트는 최근 리서치 노트를 통해 "AI와 엣지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타겟으로 하는 인텔은 이미 주요 고객사들에게 14A 공정 설계 키트(PDK) 초기 버전을 제공했으며, 여러 고객사가 테스트 칩 생산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애플의 M 시리즈 칩과 엔비디아의 저사양 게이밍용 그래픽처리장치(GPU)가 인텔 14A 공정을 채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인텔이 애플과 엔비디아를 14A 공정 고객사로 확보할 경우, 그동안 TSMC 위주로 구축돼 있던 첨단 공정 파운드리 공급망에 변화가 생기고 주요 빅테크 기업들의 안정적인 공급망 다변화 전략에 힘이 실릴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인텔은 첨단 파운드리 시장에서 존재감을 강화하고, 수익성 확보에도 실질적인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인텔은 최근 몇 년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