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한국투자증권과 한국투자파트너스가 마이크로바이옴 전문 '베단타 바이오사이언스(Vedanta Biosciences)'에 투자했다. 베단타 바이오사이언스는 26일 AXA IM 알츠와 AMR 액션 펀드가 공동 주도한 투자 라운드를 통해 1억650만 달러(약 1429억 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 라운드에는 한국투자증권 아시아와 한국투자증권 미국 법인, 한국투자파트너스가 참여했다. 이 밖에 △K2 헬스벤처스 △퓨어테크 헬스 △레벨레이션 파트너스 △쿼드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 △세벤처 파트너스 △함브로 퍼크스 △화이자 등도 투자사로 이름을 올렸다. 한국투자증권과 한국투자파트너스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 시장의 성장 가능성에 주목했다. 마이크로바이옴은 미생물 무리를 의미하는 마이크로바이오타(Microbiota)와 세포·생명체의 유전자총체를 의미하는 지놈(Genome)의 합성어이며, 특정 환경에 존재하는 미생물들과 그들에 관한 유전 정보의 총합을 의미한다. 업계에 따르면 마이크로바이옴 치료 시장은 지난 2021년 5억3500만 달러(약 7179억 원)에서 연평균 24.9%씩 성장해 오는 2029년 31억 달러(약 4조1600억 원)까지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 의료미용 산업이 세계 2위 시장으로 급성장한 가운데 보톡스 시장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현지에서 우리나라 보톡스 제품 수요가 높은 편으로 국내 기업의 진출이 기대된다. 4일 코트라 중국 상하이무역관의 '중국 의료미용용 보톡스(보툴리눔 톡신) 시장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보톡스 시장 규모는 2017년 19억 위안에서 2021년 46억 위안으로 성장했다. 이 기간 연평균 복합성장률은 25.6%였다. 보톡스 주사 수는 같은 기간 170만건에서 450만건으로 증가, 연평균 복합성장률 27.4%를 기록했다. 중국의 1인당 가처분 소득이 증가하면서 보톡스 소비는 앞으로 빠르게 증가할 전망이다. 보톡스 제품은 일반적으로 평균 효과 지속 기간이 약 4개월로 재구매율이 높고(1년에 보통 2~3회 필요) 다른 관련 제품과 묶음으로 판매하기가 용이해 고객 기반을 확대할 때 유용한 제품이다. 이러한 특성에 따라 중국 보톡스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약 20개의 A형 보톡스 제품이 상장 판매를 승인받았다. 2020년 중국 비수술 항목 가운데 주사류 시장 매출은 의료미용 시장의 57.4%를 차지했다. 히알루론산 매출은 66.6%
[더구루=한아름 기자] 메디톡스와 다이아딕 인터내셔널 등이 연구 중인 코로나 부스터 백신 'DYAI-100'이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임상을 본격 시작했다. DYAI-100이 모든 임상 단계에서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하면 메디톡스가 한국을 포함한 동남아시아에서 판매를 시작할 예정이다.
[더구루=최영희 기자] 글로벌 토탈 메디컬 에스테틱 전문 기업 휴젤이 곤두박질치고 있다. 1일 오전 9시 28분 기준 휴젤 주가는 전일보다 12.01% 급락한 12만 2400원을 기록 중이다. 거래량도 이미 전일보다 3배 이상 급증했다. 이날 주가 하락은 메디톡스가 휴젤이 자사 균주 및 제조공정을 도용했다며 휴젤·휴젤아메리카·크로마파마를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에 제소해서다. 크로마파마는 휴젤의 미국과 유럽 사업 파트너사이며, 휴젤아메리카는 휴젤과 크로마파마가 함께 설립한 미국 자회사다. 메디톡스는 소장에 "휴젤이 자사 보툴리눔 균주와 제조공정 등 영업비밀을 도용해 보툴리눔 톡신 제제를 개발 및 생산했으며, 해당 의약품을 미국에 수출하려 한다"고 적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모바일 게임 시장이 다운로드 수 정체에도 불구하고 높은 사용자당 평균 수익(ARPU)을 기반으로 아시아 2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충성도 높은 이용자 기반과 효과적인 수익화 전략이 일본 시장의 강점이자 한계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 나사) 연구진이 슈퍼컴퓨터를 통해 지구 생명체의 '종말 시점'을 예측했다. 나사는 인류가 다른 생명체보다 훨씬 이른 시점에 생존 위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하며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