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영국 담배기업 브리티시아메리칸토바코(BAT)가 미국에서 당장 사야하는 주식으로 선정됐다. 글로벌 비연소 제품 시장 내 영향력 확대를 통한 성장 잠재력이 충분하다는 이유에서다. 시장에선 경쟁사에 비해 낮은 평가를 받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으로 봤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롯데그룹이 내달 베트남 하노이에 아쿠아리움을 연다. 베트남은 롯데그룹 내에서 한국·일본에 이은 '제3 거점국'으로 평가되는 곳으로 시장 확대를 본격화하는 모습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쇼핑이 내달 하노이에 최대 규모 복합쇼핑몰 '롯데몰 웨스트레이크 하노이'를 개관한다. 롯데몰 웨스트레이크 하노이엔 △롯데마트 △롯데시네마 △롯데월드 아쿠아리움 등이 입점해 있다. 문화센터와 공방, 서점, K푸드 거리 등도 들어설 예정이다. 주목할 만한 점은 롯데쇼핑이 기존의 유통 채널별 포트폴리오 관리에서 벗어나 '라이프스타일'이라는 큰 주제 아래 더 나은 고객 경험을 창출하고 있다는 것이다. 아쿠아리움이 대표적 사례다. 베트남 유통 시장 경쟁이 치열해진 만큼, 일반적인 유통 업태를 뛰어넘는 새로운 복합 쇼핑몰을 구축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롯데그룹은 베트남의 성장성이 높다고 판단, 시장 확대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베트남 유통 시장은 지난 20년간 약 100배 성장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의 조사결과 지난해 베트남의 국내총생산(GDP)은 8.02% 증가했다. 특히 소비재 및 서비스 분야 총소매 판매량은 19.8% 증가해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이마트가 베트남 시장 공략에 고삐를 바짝 죈다. 내달 호치민에 3호점 출점을 시작으로 현지 사업을 본격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오는 2026년 베트남 20호점 오픈 목표를 세운바 있다. 10일 이마트의 베트남 파트너사 타코(THACO) 그룹에 따르면 다음달 베트남 호치민에 베트남 3호점 이마트 판 후이 이치(Phan Huy Ich)점의 문을 연다. 이마트는 지난 2015년 베트남 1호점 이마트 고밥(Go Vap)점, 지난해 11월 2호점 이마트 투티엠(Thu Thiem)점 등을 차례로 조성했다. 1호점과 2호점도 베트남 호치민에 있다. 이마트는 이마트 판 후이 이치점 개점을 앞두고 이곳 매장에서 일할 인력 채용에 나서며 오픈 준비에 한창이다. △베이커리 △델리 △정육 △수산물 등의 분야에서 일할 직원을 뽑고 있다. 희망 분야와 관련된 6개월 이상의 경력을 지니고 있으면 입사신청을 할 수 있다. 이달 말까지 이메일 또는 구글 온라인 폼을 통해 입사지원을 받는다. 내년에는 베트남 하노이, 동나이 등의 지역에 진출할 전망이다. 베트남에서 이마트 사업을 전개하는 타코 그룹은 오는 2016년 20개 매장 오픈, 1억달러(약 1300억원) 매출 달
[더구루=김형수 기자]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한 HJ매그놀리아 용평호텔앤리조트(이하 HJ모나용평)가 한국 최고의 스키 리조트에 이름을 올렸다. 2019년, 2020년, 2022년에 이어 4번째 선정이다. 넓은 스키장과 편의시설을 잘 갖추고 있다는 점이 높이 평가받았다. 스키 시즌 하루 리프트 이용객 숫자가 약 3000명에 달하는 인기 스키 리조트로 꼽힌다. 일본 온라인매체 스키 아시아(SKI ASIA)는 10일 2023 스키 아시아 어워드에서 한국 최고 스키 리조트 부문에 HJ모나용평을 선정했다. 스키어와 스노우보더를 대상으로 스키 시즌 동안 이뤄진 온라인 투표 결과를 수상기업을 뽑는다. 스키 아시아는 한국에서 가장 규모가 큰 스키 슬로프가 있는 HJ모나용평이 한국 스키의 대명사라고 호평했다. 29km에 달하는 국내 최장 스키 슬로프를 갖췄다. 초급, 중급, 상급 등 난이도별 스키 슬로프 총 28면이 설치돼 있다. HJ모나용평의 시설과 서비스도 이번 평가에 한몫했다. 워터파크, 케이블카, 아쿠아볼, 유로번지, 골프 등 여러 레저에 사우나, 쇼핑몰, 편의점 등 편의시설로 고객의 반응 역시 뜨겁다. 드래곤벨리호텔에서는 호텔 룸서비스, 스파에서는 스포츠 마사지 등
[더구루=김형수 기자] 세븐일레븐, 스타벅스, 맥도날드 등이 글로벌 프랜차이즈 업체 규모 '톱5'에 이름을 올렸다.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이들 업체들의 미래에 대한 장밋빛 전망이 나왔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롯데면세점이 일본 위스키업체 빔산토리와 협력해 싱가포르 창이공항에서 위스키 팝업스토어를 연다. 코로나19 앤데믹을 맞아 여행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는 창이공항에서 롯데면세점이 주류 마케팅에 힘을 쏟는 것으로 풀이된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면세점은 빔산토리와 손잡고 창이공항 제1터미널 출발·환승구역에서 산토리 위스키 역사 100년을 기념하는 팝업스토어를 오는 25일까지 운영한다. 빔산토리는 일본 산토리가 짐빔 브랜드를 보유한 미국의 빔을 인수·합병해 설립된 기업이다. 지난 1923년 아시아 최초의 위스키 증류소인 야마자키 증류소 착공 이래 100주년을 맞았다. 롯데면세점은 이곳 팝업스토어에서 일본 위스키 장인정신과 블렌딩 기술을 강조하는 한정판 위스키를 선보이고 있다. △야마자키 미즈나라 18년산(Yamazaki Mizunara 18 Year Old) △하쿠슈 피티드 몰트 18년산(Hakushu Peated Malt 18 Year Old) 등을 준비했다. 100년 역사를 기념하는 특별 디자인을 적용한 △야먀자키 12년산(Yamazaki 12 Year Old) △하큐슈 12년산(Hakushu 12 Year Old) 등도 마련했다. 해
[더구루=김형수 기자] 캐나다 대마초회사 캐노피 그로스(Canopy Growth)가 시설 매각을 통한 자금 확보에 나섰다. 실적 악화에 주가마저 곤두박질치자 수익성 개선에 힘을 쏟는 것으로 풀이된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롯데면세점·신라면세점이 글로벌 면세 시장을 이끌 주요 기업으로 선정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종식 수순으로 접어들면서 해외 관광수요가 급증, 롯데·신라면세점의 사업 약진에 무게감이 실린다. 시장 조사기관 콘세직 비즈니스 인텔리전스(Consegic Business Intelligence·이하 콘세직)은 6일 움츠렸던 관광·면세 시장이 활기를 띤다며 오는 2030년 783억7908만달러(약 102조1280억원)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는 357억5038만달러(약 46조5830억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했다. 올해부터 7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10.5%다. 콘세직은 "해외여행 활성화가 면세 시장의 성장을 이끌고 있다"며 "전자상거래와 옴니채널 소매업의 통합도 시장 확대 요인 중 하나"라고 분석했다. 이어 "세계적인 스포츠·문화 축제가 예정된 것 또한 시장 성장을 가속하고 있다"고 전했다. 눈길을 끄는 점은 K-면세점인 롯데·신라면세점이 글로벌 면세 시장을 이끌 키 플레이어로 선정됐다는 것이다. 글로벌 상위 면세 기업 9곳 중에 우리 기업이 2곳이나 포함됐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는 평가다. 롯데·신라면세점의 향후 행보에
[더구루=한아름 기자] 주인도네시아대사관이 해외문화홍보원, 주인도네시아한국문화원과 함께 자카르타에서 '2030 부산 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에 나섰다.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롯데몰에 부산 엑스포 유치 홍보 전시회를 열리면서 롯데쇼핑의 측면 지원도 눈길을 끌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올해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의 의장국인 데다 맏형 역할을 하는 만큼 2030 엑스포 유치 승부를 가르는 동남아 지역 최대 표밭이란 평가를 받는다. 주인도네시아대사관은 현지시간 5일 자카르타 롯데몰에 위치한 한류 종합 상설홍보관 KOREA 360에서 부산 엑스포 유치 홍보 전시회를 열었다. 이번 전시회는 해외문화홍보원과 주인도네시아한국문화원이 공동 기획했으며 오는 11월 엑스포 개최지 결정을 앞두고 총력전에 나서는 모습이다. 대사관은 KOREA 360에 엑스포 유치를 기원하는 홍보물을 설치했으며 박수덕공사가 현지 언론 대상의 기자간담회를 통해 부산 엑스포 유치 의지를 피력했다. 홍보물에는 방탄소년단(BTS) 감천문화마을, 자갈치 시장, 광안리 해수욕장, 해운대 해수욕장 등이 포함돼 현지인뿐 아니라 외국인 관광객에게 부산 엑스포 유치 활동을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 유명
[더구루=김형수 기자] "위기일수록 기본기를 다지고 핵심에 집중하자." 지난 2월부터 중단된 새벽방송 중단에 구원투수로 나선 김재겸 대표가 창사 이래 가장 어려운 시기지만 기본기를 강화하고 핵심에 집중해 위기를 극복하자고 강조했다. 위기일수록 본질적인 경쟁력 강화에 주력하며 내실 다지기에 나서겠다는 뜻이다. 멈췄던 새벽방송 재개가 한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실적 반등을 위한 총력전 채비를 본격화하고 있다. 김 대표는 △기본기 강화 △핵심 집중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주문하며 승부수를 던졌다. 6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홈쇼핑은 다음달 1일 새벽방송(오전 2시~8시) 재시작한다. 지난 2015년 이뤄졌던 재승인 심사 과정에서 임직원 금품 수수를 고의로 누락하고 허위 사업 계획서를 제출했다는 이유에서 새벽 시간대 방송 금지라는 제재 조치를 받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2월1일부터 7월31일까지 금지했다. '창사 최대 위기'를 맞닥드린 김 대표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김 대표는 방송중단 기간 리스크관리 전담팀(TF)을 운영하며 피해 최소화에 안간힘을 썼다. 당장 방송중단으로 피해가 불가피한 중소 협력사 지원을 강화하고 충성고객 이탈을 최소화하는데 초점
[더구루=김형수 기자] 락앤락이 중국 환경당국으로부터 제재를 받았다. 적절한 환경보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가 덜미를 잡혔다. 지난해 중국 국세청으로부터 세금 체납을 적발당한 데 이어 올해는 환경오염 방지 관련 법률 위반에 따라 처벌을 받았다. 현지 시장 내에서의 이미지 하락은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중국 장쑤성 쑤저우공업원구생태환경국(苏州工业园区生态环境局)은 지난 5월 29일 락앤락에 14만위안(약 2500만원) 벌금 부과했다. 중국 대기오염방지법 45조, 중국 고체폐기물환경오염방지법 77조 등을 위반했다는 이유에서다. 쑤저우공업원구생태환경국은 지난 3월 21일 환경법 집행관이 대규모 산업단지인 쑤저우공업원구 내에 자리한 락앤락 공장을 대상으로 펼친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 3월16일 공장 옥상에 있는 UV 설비가 우천으로 인해 침수돼 고장나 제대로 가동되지 않았 다는 이유에서 4만위안 벌금이 부과됐다. 락앤락은 담당자 휴가 기간이 겹치며 3월22일에야 수리를 완료했다고 해명했다. 또 유해 폐기물을 별도로 관리하는 과정에서 유해폐기물 식별 표지를 부착하지 았았다가 적발돼 10만위안의 벌금을 부과받았다. 락앤락은 신속히 유해폐기물 식별
[더구루=김형수 기자] 이른바 ‘신동빈 스키장’으로 불리는 롯데호텔앤리조트의 일본 롯데아라이리조트가 아시아 최고의 스키장에 이름을 올렸다. '2023 스키 아시아 어워드(2023 Ski Asia Award)'를 휩쓸었다. 지난해 4관왕에 이어 올해는 3개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하며 우수성을 입증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아라이리조트는 2023 스키 아시아 어워드에서 △일본 최고 스키 리조트 △스키 파우더 리조트 △스노우 스포츠 스쿨 등 3개 부문에서 1위에 올랐다. 올해로 4회째를 맞은 스키 아시아 어워드는 아시아에 위치한 스키 리조트 관련 온라인 간행물을 발행하는 스키 아시아(SKI ASIA)가 주최하는 행사다. 스키 시즌 동안 이뤄진 스키어와 스노우보더의 온라인 투표를 바탕으로 수상자가 선정된다. 스키 아시아는 해안가에서 불과 22km 떨어진 독특한 지형에 자리한 롯데아라이리조트는 시즌마다 18m에 달하는 눈이 내려 적설량이 많은 데다 설질도 뛰어나가며 높이 평가했다. 또 지난 2021년 오픈한 스키 학교 묘코 스노우 스포츠(Myoko Snow Sports)는 스키 아시아 어워드에서 매년 수상하고 있으며 구글에서도 소비자들로부터 거의 완벽하다는 평가를
[더구루=길소연 기자] 폭스바겐 그룹이 전기차(EV) 시장의 새로운 주도권을 잡기 위해 전기차 가치 사슬의 핵심인 스페인 배터리 셀 제조 설비 구축에 박차를 가한다. 폭스바겐은 독일 잘츠기터(Salzgitter) 공장을 시작으로 스페인 발렌시아(Valencia), 캐나다 세인트 토마스(St. Thomas) 등에 기가팩토리를 구축, 표준화된 프로세스·장비·워크플로우를 적용해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이 세계 최초로 거점 간 시험 비행에 성공했다. 에어택시 상용화가 속도를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