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예지 기자] 대한항공이 올해 동계 스케줄(10월 26일~ 내년 3월 28일)을 확정하고 일본 노선 증편을 통해 수요 확대에 나선다. 홋카이도, 규슈 등 한국인 여행객들이 선호하는 지방 노선을 중심으로 운항 횟수를 늘려 겨울철 여행 수요를 적극적으로 공략할 계획이다. 25일 일본 항공 전문 매체 스카이-버젯(sky-budget)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동계 시즌에 △나리타(도쿄) △삿포로(신치토세) △나가사키 △구마모토 △가고시마 등 일본 주요 도시 노선에 대한 공급을 확대한다. 이는 겨울철 수요가 많은 노선에 유연하게 대응해 고객 편의를 높이기 위한 조치다. 세부적으로는 나리타(도쿄)~제주 노선이 주 3회에서 주 4회로, 나가사키~인천 노선은 주 3회에서 주 4회로 증편된다. 또한 한국인 관광객들의 발길이 잦은 규슈 지역 노선인 구마모토~인천 노선은 주 3회에서 주 7회로, 가고시마~인천 노선은 주 4회에서 주 7회로 각각 운항 횟수가 대폭 확대된다. 삿포로(신치토세)~인천 노선은 운항 스케줄에 일부 변동이 있다. 10월 26일부터 오는 11월 29일까지 한정적으로 주 7회로 감편 운항되며, 이후 겨울 성수기인 오는 11월 30일부터는 기존과 동일한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오션이 사우디아라비아에 보조선 기술 이전을 모색한다. 방산 역량을 강화하려는 사우디의 전략에 발맞춘 행보로 함정 수주에 나선다. 그룹 차원의 지원과 활발한 물밑 접촉으로 사우디와의 협력 분위기가 무르익으며 '기술 이전'이 향후 수주전의 성패를 가를 '마지막 퍼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더구루=김예지 기자] 대한항공이 글로벌 항공 산업의 미래를 설계하는 디지털 혁신 선도 기업으로 공식 인정받았다. 전 세계 항공·공항 분야의 혁신을 조명하는 Future Travel Experience(FTE)가 발표한 ‘2025 아시아-태평양 디지털 전환 파워리스트(FTE Airline Digital Transformation Power List Asia-Pacific 2025)’에 장성현 대한항공 부사장이 이름을 올리며, 아시아 항공업계의 기술 리더십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25일 FTE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고객 경험을 혁신하고 운영 효율을 높인 공로를 인정받아 '디지털 전환 파워리스트'에 선정됐다. 이번 리스트에는 대한항공을 포함해 △싱가포르항공 △에어아시아 △인디고 △전일본공수(ANA) △캐세이퍼시픽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대표하는 12개 항공사 및 공항의 핵심 임원이 포함됐다. 장 부사장은 대한항공에서 마케팅, IT, 이커머스, 객실승무원, 글로벌 고객서비스 부문을 총괄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산업과 항공 컨설팅, IT 개발 분야에서의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지난 2017년 대한항공에 합류한 이후 최고마케팅책임자(CMO)로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해양기술 기업 미토스(Mythos) AI가 1만7700km 이상 완전 자율주행으로 해운 항해 분야 '세계 최초' 기록을 달성했다. 국제 충돌 규정에 따라 수천 건의 선박 상호작용을 실행해 성능과 안전성을 입증했다. 미토스 AI는 전통 함정의 한계를 극복하고 미래 전장 대응력을 강화하기 위해 무인함정 전략화에 집중하고 있는 미국 해군의 주목을 받고 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하림그룹 핵심 계열사인 팬오션이 독일 중량물운송 전문기업 SAL 헤비리프트(SAL Heavy Lift, 이하 SAL)에 반잠수식 중량물운반선 2척을 매각했다. 선제적 시장 대응과 효율적 선대 운영을 통해 수익성 개선을 위한 것으로, 팬오션은 벌크화물을 넘어 LNG와 컨테이너까지 토탈 서비스로 차별화에 나선다. 24일 노르웨이 해운전문지 '트레이드윈즈(Trade Winds)'에 따르면 팬오션은 SAL에 1만7113DWT급 선샤인(Sun Shine, 2008년 한국 건조)과 2만4629DWT급 선라이즈(Sun Rise, 2012년 중국 건조)를 매각했다. 선박은 오는 10월부터 내년 4월까지 인도된다. 두 선박은 인도 후 루이자(Luisa)와 알마(Alma)로 선명을 바꿔 SAL과 네덜란드 점보 쉬핑(Jumbo Shipping), 그리고 미국 선박 운영사 인터마린(Intermarine)이 참여하는 파트너십인 JSI 얼라이언스(JSI Alliance)에서 상업 운항될 예정이다. 이들 선박들은 SAL의 특수 부문 수송 능력을 두 배로 증가시킬 전망이다. SAL은 중량물운반선 인수로 7700DWT 다목적운반선(MPP)부터 2만5000DWT에 달
[더구루=김예지 기자] 대한항공이 미래 하늘길 구축을 위한 만반의 준비에 들어간다. 스웨덴 항공 데이터 스타트업 '윙비츠(Wingbits)'와 손잡고 차세대 항공교통관리 시스템 구축에 나선다. 양사는 차세대항공모빌리티(AAM) 시대를 대비해 실시간 비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분산형 감시 체계의 가능성을 공동 연구하고, 공역 통합 운용 기술의 고도화를 모색할 계획이다. 24일 독일 IT 전문 매체 IT BOLTWISE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윙비츠의 블록체인 기반 자동 의존 감시 방송(ADS-B) 데이터 보안 기술을 활용해 항공기 위치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높이는 시험에 돌입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대한항공은 자체 개발 중인 공역 통합 운영 플랫폼 'ACROSS(Air Control and Routing Orchestrated Skyway System)'에 윙비츠의 실시간 ADS-B 데이터를 연동한다. ACROSS는 드론, 전기 수직이착륙기(eVTOL) 등 저고도 항공기의 효율적인 공역 운영과 충돌 방지를 목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ACROSS는 eVTOL과 같은 차세대 항공 플랫폼의 교통관리·위치·추적·경로 모니터링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향후 도심항공모빌리티
[더구루=정예린 기자] 국내 항공 모빌리티 스타트업 '에어빌리티'가 베트남 CT그룹과 전기 수직 이착륙기(eVTOL) 기반 무인항공기(UAV) 기술 실증에 나섰다. 실제 운용 환경에서 성능을 입증, 에어빌리티가 UAV를 상용화하고 대규모 생산을 추진하는 신호탄이 될 전망이다. 22일 CT그룹에 따르면 자회사 'CT UAV'는 지난 18일 충청남도 보령비행장에서 에어빌리티의 UAV 프로토타입 'AB-U60' 시험비행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비행은 양사가 지난달 체결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첫 단계로 평가된다. AB-U60은 EDF(전기덕트팬) 엔진을 장착한 틸트로터 UAV다. 이번 테스트에서 AB-U60은 초기 수직 이륙 후 엔진을 전방으로 전환하며 시속 160km로 비행하고 활주로에 안전하게 착륙했다. 에어빌리티와 CT UAV는 향후 최대이륙중량 60kg의 AB-U60을 다양한 기상 조건에서 추가 시험해 충분한 비행시간을 확보하고, 이후 300~600kg급 모델 개발과 미국 연방항공청(FAA) 기준 충족을 거쳐 대량 생산할 계획이다. 에어빌리티와 CT그룹은 MOU를 통해 전방위적 기술·시장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 협
[더구루=길소연 기자] 이스라엘 컨테이너선사인 짐 인티그레이티드 쉬핑 서비스(ZIM Integrated Shipping Services, 이하 ZIM)가 전략적 인수자와 투자회사들과 접촉하며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경영진이 ZIM을 비공개(프라이빗) 기업으로 전환하려는 시도를 한 가운데 잠재적 인수 제안도 모색하고 있다.
[더구루=김예지 기자] 대한항공이 글로벌 항공사 서비스 평가기관 에이펙스(Airline Passenger Experience Association, 이하 APEX)가 선정하는 '5성 글로벌 항공사'에 9년 연속 선정됐다. 항공업계 경쟁 심화 속에서도 서비스 품질을 유지해 온 점이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17일 APEX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APEX 2026 평가에서 '5성(APEX FIVE STAR)' 글로벌 항공사에 이름을 올렸다. 대한항공은 5성 등급을 지난 2018년부터 9년 연속 유지 중이다. APEX는 지난 1979년 설립된 미국 소재 비영리 단체로, 전 세계 항공사의 승객 경험을 객관적으로 평가해 등급을 부여하고 있다. 고객 경험, 서비스 품질, 기술 혁신 등을 기준으로 항공사·공항·기내 서비스 공급업체 등 업계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는 국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운영된다. 이번 평가는 미국의 트립잇(TripIt) 앱을 통해 수집된 실제 탑승객 리뷰 100만 건 이상을 기반으로 진행됐다. 승객들은 △좌석의 안락함 △기내 서비스 △기내식 △와이파이 △엔터테인먼트 등 항목을 5점 만점으로 평가하며, 결과는 제3의 감사기관 인증을 통해 신뢰성을 확보하는 시스템
[더구루=김예지 기자] 에어프레미아가 글로벌 항공기 정비(MRO) 전문 기업인 루프트한자 테크닉(Lufthansa Technik, LHT)과 손잡고 보잉 787-9 드림라이너 기종에 대한 장기 부품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양사 간의 첫 번째 협력 사례다. 향후 10년간 에어프레미아 드림라이너 기단 절반에 대해 루프트한자 테크닉의 종합 부품 지원 서비스인 '토탈 컴포넌트 서포트(Total Component Support, TCS)'가 제공된다. 16일 LHT에 따르면 10년간 에어프레미아 드림라이너 항공기 절반가량에 대해 부품 공급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LHT는 전 세계에 분산된 15개의 물류 창고와 20억 달러(약 2조6000억원) 상당의 부품 재고를 활용해 에어프레미아가 필요한 부품을 24시간 내내 신속하게 조달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특히, 인천국제공항 내 기술 운영 센터에 '홈베이스 재고(homebase stock)'를 별도로 구축해 긴급 부품 수요에 즉각 대응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에어프레미아는 부품 조달 시간을 단축하고 유지보수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항공업계는 에어프레미아가 이번 LHT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안정적인 운항과 비
[더구루=홍성일 기자] 국내 위성통신 안테나 기술 기업 '인텔리안 테크놀로지스(Intelian Technologies, 이하 인텔리안테크)'가 '유텔샛 원웹(Eutelsat OneWeb)' 저궤도(LEO) 위성 통신을 이용할 수 있는 군용 단말기를 개발했다. LEO 위성 통신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 게임체인저로 관심을 받고 있는 만큼 방산 분야 시장 확대가 기대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인텔리안테크는 유텔셋 원웹 LEO 네트워크 전용 군용 맨팩(Manpack)을 선보였다. 인텔리안테크는 새로운 맥팩에 대해 초경량, 완전 통합형 제품이라고 소개했다. 인텔리안테크가 개발한 새로운 맨팩은 유텔셋 원웹 LEO 네트워크와 연결할 수 있는 안테나와 컨트롤러, 배터리 등을 통합해 만들어졌다. 특히 신속한 배치를 위해 표준 군용 배낭에 들어갈만큼 작고 가볍다. 맨팩의 크기는 가로 45.8cm, 세로 35.8cm, 두께 10.8cm이며 무게는 약 9kg이다. 병사들이 배낭에 넣고 작전을 펼치다가 필요한 순간에 빠르게 전개해 사용할 수 있는 크기와 무게다. 인텔리안테크는 작고 가볍지만 방산 시험 방법 표준(MIL-STD-810H)에 따라 설계돼 높은 충격과 진동을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에어택시 도입을 가속화하기 위한 새로운 파일럿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 아처 에비에이션(Archer Aviation) 등 주요 미국 에어택시 사업자의 수혜가 기대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폭스바겐 그룹이 전기차(EV) 시장의 새로운 주도권을 잡기 위해 전기차 가치 사슬의 핵심인 스페인 배터리 셀 제조 설비 구축에 박차를 가한다. 폭스바겐은 독일 잘츠기터(Salzgitter) 공장을 시작으로 스페인 발렌시아(Valencia), 캐나다 세인트 토마스(St. Thomas) 등에 기가팩토리를 구축, 표준화된 프로세스·장비·워크플로우를 적용해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이 세계 최초로 거점 간 시험 비행에 성공했다. 에어택시 상용화가 속도를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