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민간 우주기업 로켓랩(Rocket Lab)이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로부터 로켓 발사 계약을 따냈다.
[더구루=김예지 기자] HD현대그룹의 자율운항 전문 기업 아비커스가 독일의 글로벌 자동차 및 해양 부품 기업 ZF 그룹(ZF Group)과 손잡고 '바다 위 테슬라' 실현에 속도를 낸다. 양사는 아비커스의 AI 자율 시스템을 ZF의 글로벌 전자 제어 플랫폼에 통합해 상용화를 가속화한다. 글로벌 해양 모빌리티의 미래를 함께 열어갈 계획이다. 13일 ZF에 따르면 아비커스는 인공지능(AI) 기반 자율운항 시스템인 'NEUBOAT Navi with Control' 자율 시스템을 ZF의 전자 제어 플랫폼인 'TotalCommand'와 통합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는 아비커스의 기술이 ZF의 글로벌 공급망을 통해 국제 해양 시장에서 표준처럼 적용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양사는 이번 협약에 따라 ZF의 해양 컨트롤러에 적용 가능한 개방형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시스템 통합을 추진한다. ZF TotalCommand 시스템에 △충돌 회피 △적응형 크루즈 컨트롤 △자동 도킹 등 AI 기반 자율 운항 기능이 추가될 예정이다. 통합이 완료되면 아비커스의 시스템은 ZF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전 세계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딜러, 고객들과의 호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1위 배터리 기업인 중국 CATL(닝더스다이, 寧德時代)이 글로벌 2위 컨테이너선사인 덴마크 머스크(A.P. Moller-Maersk)와 물류산업 탈탄소화를 위해 손을 잡는다. 공급망 전기화와 국제 물류 분야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해 머스크는 온실가스 저감 물류 전환을 가속화하고, CATL는 머스크의 탈탄소화 로드맵을 지원하는 배터리 기술 파트너로 인정받는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이 '300번째' J-20 5세대 스텔스 전투기의 실전 배치를 완료했다. 중국이 '말 그대로' J-20을 찍어내고 있어 태평양 지역 공군력 균형이 붕괴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방산기업 록히드마틴이 차세대 스텔스 무인 전투기 '벡티스(Vectis)'를 공개했다. 록히드마틴은 벡티스를 앞세워 본격적으로 협동전투기(CCA) 경쟁에 뛰어들 것으로 보인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해운을 비롯해 글로벌 선사들이 내달 표결 예정인 국제해사기구(IMO)의 탄소 배출 규제에 강력한 반대 목소리를 냈다. 해운 산업의 탄소 감축에 전혀 이바지하지 못하며 중소 선사들의 부담을 가중시킨다고 지적했다. 현실적인 목표 설정과 보상체계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10일 노르웨이 해운 전문지 트레이드윈즈 등 외신에 따르면 그리스 대형 선사 마리아 안젤리쿠시스(Maria Angelicoussis)를 주도로 한 글로벌 선사들은 공식 성명을 통해 "IMO의 NZF는 해운 산업의 탈탄소화에 효과적으로 기여하지 못하며 공정한 경쟁의 장도 보장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NZF의 채택이 고려되기 전에 현실적인 실행 경로에 대한 고려를 포함해 중대한 수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NZF는 국제 탄소 배출 기준을 초과하는 선박에 수수료를 부과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오는 10월 표결을 앞두고 글로벌 선사들이 반대 성명을 냈다. 성명에는 한화해운과 노르웨이 프론트라인(Frontline),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선사 바흐리(Bahri), 마리아 안젤리쿠시스(Maria Angelicoussis) 등 글로벌 선사들이 포함됐다. 이들의 보유 선박은 12
[더구루=김은비 기자] 델타항공이 네덜란드 항공 스타트업 메이브 에어로스페이스(Maeve Aerospace)와 손잡고 하이브리드 전기 항공기 개발에 나선다. 양사는 차세대 항공기 ‘메이브 제트(MAEVE Jet)’를 공동 개발해 연료 소비와 탄소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인다는 목표다. 9일 업계에 따르면 델타항공은 메이브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하이브리드 전기 항공기 '메이브 제트' 개발에 나선다. 델타항공은 운항 경험과 기술적 전문성을 제공하며 기체 개발 과정에 직접 참여한다. 메이브 제트는 기존 제트연료를 사용하는 지역 항공기에 비해 연료 효율을 최대 40% 높인 것이 특징이다. 여기에 지속가능항공유(SAF)를 함께 사용하면 탄소 배출량을 추가로 줄일 수 있다. 특히 단일 통로(싱글 아일)에 5열 좌석을 배치한 구조로, 소형기임에도 보잉 737급 중형기 수준의 공간감과 승객 편의성을 구현했다는 평가다. 메이브는 이번 협약을 통해 델타항공의 ‘서스테이너블 스카이즈 랩(Sustainable Skies Lab)’ 다섯 번째 혁신 파트너로 합류했다. 서스테이너블 스카이즈 랩은 델타항공이 저탄소 항공 기술 실증과 상용화를 촉진하기 위해 설립한 오픈이노베이션 플랫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의 방산기업 텍스트론(Textron)이 이탈리아 레오나르도와 손잡고 개발한 '비치크래프트 M-346N' 시제기를 공개했다. 미 해군의 노후화된 T-45 고스호크 훈련기를 대체할 차세대 고등훈련기(UJTS) 사업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는 모양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이 미국 전술드론 생산업체 에어로바이런먼트(AeroVironment, 이하 AV)와 손잡고 군용 무인항공기(UAV)를 도입한다. 대만은 향후 자체 UAV 시스템 개발 등도 추진한다는 목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세계 유수 항공사들이 회원으로 있는 원월드 얼라이언스(OneWorld Alliance)가 빌 게이츠가 조성한 펀드와 지속가능항공연료(SAF) 개발에 협력한다. 2000억원 상당 투자 펀드를 조성하고 차세대 항공 연료 상용화에 속도를 낸다. 6일 원월드 얼라이언스에 따르면 브레이크스루 에너지 벤처스(BEV)와 1억5000만 달러(약 2100억원)의 펀드를 출시한다. 이 펀드는 SAF 시장 확대를 목표로 알래스카 항공과 아메리칸 항공이 주도해 조성됐다. △SAF 기술 투자 △대체 연료 시장 성장 지원 △투자자·지역을 위한 경제적 가치 창출 △탄력적인 SAF 공급망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SAF는 폐식용유와 바이오 연료 등으로 만든다. 기존 항공유보다 탄소 배출을 최대 80% 줄일 수 있다. 하지만 비싼 가격과 공급량의 제약, 폐식용유와 폐팜유 등 원료 조달 과정에서의 탄소 배출 문제가 SAF의 확대의 장애물로 꼽힌다. 원월드 얼라이언스는 이번 투자를 통해 제약점을 해소하고 SAF 상용화에 박차를 가한다. 로버트 이솜(Robert Isom) 아메리카항공 최고경영자(CEO)는 "미래 SAF 기술에 투자함으로써 당사와 원월드 파트너는 새 기술
[더구루=홍성일 기자] 보잉의 자율비행 항공기 자회사인 위스크 에어로(Wisk Aero)가 캘리포니아 지역에서 에어택시 인프라 개발에 나선다. 위스크 에어로는 로스앤젤레스(LA)와 오렌지 카운티를 포괄하는 에어택시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목표다.
[더구루=김예지 기자] 대한항공이 독일 레저 항공사 콘도르항공(Condor)과 인터라인 협정을 체결하며 유럽 내 환승 네트워크 강화에 나섰다. 대한항공으로서는 이번 협력으로 독일 주요 지방 도시에서 인천까지의 연결이 간편해지면서, 유럽발 장거리 수요 확대를 위한 기반이 마련됐다는 평가다. 2일 독일 매체 airliners.de에 따르면 양사는 지난달 29일부터 인터라인 협정을 시행 중이다. 콘도르가 운항하는 △함부르크 △베를린 △뮌헨발 프랑크푸르트행 국내선이 대한항공의 프랑크푸르트~인천 노선과 연계된다. 승객들은 하나의 항공권으로 독일 내 도시에서 출발해 인천까지 원스톱으로 이동할 수 있다. 수하물도 최종 목적지까지 자동으로 연결된다. 대한항공이 독일 지방 도시와 장거리 노선 연결편을 제공하는 것은 약 12년 만에 처음이다. 이번 협정을 통해 대한항공은 독일 시장에서 접근성을 높이고, 콘도르는 장거리 환승 수요를 흡수할 수 있게 됐다. 양사는 운임 분배를 위한 특별 운임 협정(SPA, Special Prorate Agreement)도 준비 중이다. 특별 운임 협정은 오는 10월 중순 공식 발표될 예정으로, 공동 운임 책정 및 마케팅 확대를 위한 기반이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