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말레이시아 정부가 스타트업 생태계 육성 '청사진'을 발표했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사이버자야(Cyberjaya) 과학단지를 중심으로 혁신적 솔루션 상용화를 촉진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업계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과학기술혁신부(MOSTI)는 '말레이시아 스타트업 생태계 로드맵(Malaysia Startup Ecosystem Roadmap, SUPER) 2021-2030과 '마이스타트업(MyStartup)'을 통해 로컬 스타트업 생태계를 육성한다고 발표했다. SUPER 2021-2030은 2030년까지 말레이시아를 세계 20대 스타트업 생태계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는 로드맵이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목표 달성을 위한 5가지 핵심 주제와 16가지 전략을 제시했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로드맵에 따라 올해 내로 등록된 스타트업을 5000개까지 늘린다. 현재 말레이시아 정부에 등록된 스타트업은 4415개다. 마이스타트업 플랫폼은 2021년 MOSTI가 설립한 이니셔티브로 스타트업에 대한 원스톱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스타트업 지원 창구를 마이스타트업 플랫폼으로 단일화해 효율성을 높였다. MOSTI는 SUPER와 마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이 체코를 포함한 일부 유럽 국가를 대상으로 보다 강력한 인공지능(AI) 반도체 통제를 적용한다. 사실상 중국을 겨냥한 규제에 국가별 차등을 두면서 국가 간 기술 경쟁력 불균형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 산하 산업안전국(BIS)은 지난 15일(현지시간) 미국산 AI 칩과 최첨단 AI 모델에 대한 수출 통제 확대안의 세부 내용을 발표했다. 체코, 오스트리아, 폴란드, 슬로바키아를 서유럽 국가들보다 더 엄격한 규제가 적용되는 2등급 국가로 분류했다. 앞서 13일 AI 칩 수출 통제를 전 세계로 확대하고 수출과 재수출, 국가 내 이전 등을 위해서는 미국 정부의 사전 승인을 얻어야 한다고 밝혔다. 중국과 러시아 등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는 국가들이 첨단 AI 기술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국가별로 수출 상한 할당량을 지정해 할당량을 넘어서는 경우에는 AI 칩의 수출을 거부할 수 있도록 했다. 미국은 국가를 세 그룹으로 나눴다. 약 20개 '동맹국 및 파트너'들에 대해서는 미국 기술이 포함된 AI용 반도체 판매에 제약을 두지 않는다. 한국과 캐나다, 독일, 프랑스, 영국
[더구루=오소영 기자] 오스트리아 에너지 회사 'OMV'가 독일 가스 기업 유니퍼(Uniper)에 루마니아산 천연가스를 공급한다. 해상 가스 프로젝트를 통해 생산한 천연가스를 2027년부터 5년 동안 제공한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의 공백을 루마니아산 가스가 채울 것으로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오프쇼어테크놀로지 등 외신에 따르면 OMV는 유니퍼와 천연가스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넵듄 딥 프로젝트를 통해 생산한 천연가스 15TWh를 2027년부터 5년 동안 공급한다. 15TWh는 지난해 독일 가스 수입량의 약 1.5%에 해당하는 양이다. 넵듄 딥 프로젝트는 루마니아 흑해 해상에서 천연가스를 채굴하는 사업이다. 매장량은 약 1000억 ㎥을 유럽연합(EU)에서 최대 규모로 평가된다. OMV의 루마니아 합작사 OMV 페트롬과 루마니아 국영 천연가스 회사 롬가즈(Romgaz)가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2027년부터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며, 연간 70~80억 ㎥을 생산해 약 250억 달러(약 35조원) 상당 수익을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루마니아는 해당 프로젝트로 EU 내 천연가스 수출국으로 도약하게 된다. 루마니아는 현재 자국 수요의 약 70~80%
[더구루=정등용 기자] 마날 아와드 이집트 지방개발부 장관이 김용현 주 이집트 한국 대사와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집트 지방개발부와 한국 행정안전부 간 체결한 양해각서(MOU)의 이행이 주로 거론된 가운데 다양한 분야의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아와드 장관은 최근 김 대사를 만나 지역개발 분야에서의 양국 간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만남에서는 이집트 지방개발부와 한국 행정안전부 간 체결한 양해각서의 이행 증진 방안이 중점적으로 논의됐다. 이 양해각서는 지역 개발 전략과 고형 폐기물 관리, 교육, 역량 강화 이니셔티브 등 주요 분야에서의 협력을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압델 파타 엘시시 이집트 대통령의 이니셔티브인 ‘품위 있는 삶’과 관련해 양해각서의 조항을 이행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논의됐다. 이 이니셔티브는 농촌 개발과 삶의 질 향상 측면에서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한국의 농촌 개발 전문 기관인 사무엘 운동 재단과 협력할 수 있는 기회로 여겨진다. 더불어 지역 공무원과 민간 부문 전문가, 시민사회 구성원에게 고형 폐기물 관리 관행을 교육하기 위해 사카라 훈련 센터에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하는 지원 방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연방수사국(FBI)이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는 해커팀이 개발한 멀웨어를 원격으로 파괴하는 작전을 실시했다. 이번 작전은 국제 공조를 통해 사이버 범죄에 대응한 주요 사례로 평가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FBI는 중국 해커팀 머스탱 판다(Mustang Panda)가 배포한 멀웨어 '플러그X(PlugX)'를 원격으로 삭제했다. 이번 작전에 대상이 된 개인용컴퓨터(PC)는 4258대 규모다. 플러그X는 감염된 컴퓨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플러그X는 감염되더라도 소유자가 인지하기 힘든 것으로 전해졌다. 플러그X에 감염된 PC에서는 정보를 쉽게 추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화면 캡처, 키보드 및 마우스 제어, 시스템 재부팅 등이 가능하다. 머스탱 판다는 적어도 2014년부터 플러그X를 미국, 유럽, 아시아 국가의 정부와 민간 기업, 중국 반체제 단체 등에 배포한 것으로 확인됐다. FBI는 이번 작전을 위해 프랑스 사이버 보안기업 세코이아(Sekoia.io)와 협력했다. 세코이아는 플러그X에 감염된 PC를 식별해냈으며 자폭 명령을 내려, 멀웨어를 파괴시켰다. FBI는 피해자들과 연
[더구루=정등용 기자] 코트라(KOTRA)와 필리핀 국가경제개발청(NEDA)이 한·필리핀 경제혁신파트너십(EIPP)에 관한 주요 프로젝트를 공개했다. 양국 간 디지털 혁신 파트너십 구축에 속도가 붙는 모양새다.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코트라와 필리핀 국가경제개발청은 최근 필리핀 마카티 시티에 위치한 뉴월드 호텔에서 EIPP 첫 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는 필리핀의 정보통신기술(ICT) 발전을 위한 세 가지 디지털 인프라 프로젝트 계획이 발표됐다. 세 가지 프로젝트에는 △국가 통신 위성 로드맵 개발 △필리핀 전자정부 마스터플랜 실행 계획 수립 △통합 데이터 센터 실행 계획 수립이 포함됐다. 국가 통신 위성 로드맵은 필리핀의 강력한 통신 위성 부문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필리핀 전자정부 마스터플랜은 한국의 기술을 활용해 효율적인 전자정부 전략을 개발함으로써 정부의 전문성을 확대하는 것이 골자다. 통합 데이터 센터 사업은 필리핀 정부의 데이터 센터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한국의 통합정보자원 모델을 도입하는 것이 목표다. 이 자리에 참석한 조세프 카푸노 필리핀 국가경제개발청 차관은 디지털 혁신을 발전시키고 동반 성장을 촉진하는 데 있어 양국 간 파트너십의 중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이 애플 등 미국 기술 기업에 대한 수출 통제를 강화하면서 공급망에 차질이 우려된다. 수출 검사 강화로 동남아시아나 인도로의 생산 장비와 자재 운송까지 지연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트럼프 2기 출범을 앞두고 이중 용도 품목에 대한 대미 수출 통제를 강화했다. 중국의 대미 수출 통제는 이중 용도 폼목을 미국 군사 사용자 또는 군사 목적으로 수출하는 것을 금지한다. 또한 갈륨, 게르마늄, 안티몬, 초경질 재료와 흑연 관련 이중 용도 품목에도 수출을 제한해 보다 엄격한 최종 검사를 받도록 했다. 중국은 스마트폰의 속도 테스트에 사용되는 장치조차도 군사적 용도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 수출을 제한하고 있다. 특히 이중 용도로 나열되지 않은 품목과 도구조차도 유사한 국제통일상품분류제도 HS(Harmonized System) 코드를 공유한다는 이유만으로 더욱 엄격한 세관 검사를 받게 했다. 중국의 이번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모든 중국산 제품에 1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제안과 맞물린다. 트럼프 당선인은 대선기간 동안 중국산 수입 제품에 최대 6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더구루=홍성환 기자] 국민연금공단이 미국 부동산 투자사 알마낙리얼티인베스터스(Almanac Realty Investors)와 손잡고 해외 부동산 투자를 확대한다. 운용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대체투자 기회를 지속해서 모색하는 모습이다. 알마낙은 14일(현지시간) 국민연금과 전 세계 부동산 플랫폼 및 부동산 GP(위탁운용사) 지분 투자 등에 협력하는 내용의 전략적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양사는 우선 8억 달러(약 1조1700억원) 규모로 자본금을 출자하고 앞으로 이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부동산 자산운용사 자본 제공 △부동산 투자운용사 소수 지분 투자 △GP 지분 투자 등에 협력한다는 방침이다. 매튜 캐플런 알마낙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협력은 알마낙의 중요한 이정표로 수십년 경험과 회사 역량을 결합해 성장하는 시장에서 기회를 모색할 것"이라고 전했다. 알마낙은 미국 대표 자산운용사 누버거버먼(Neuberger Berman)의 자회사다. 민간·공동 부동산 회사에 성장 자본을 제공하고 있다. 북미 지역 56개 부동산 투자회사에 83억 달러(약 12조1200억원) 이상의 자본을 투입했다. 1939년 설립한 누버거버먼은 총 509
[더구루=진유진 기자] 미국 재무부가 청정 수소 생산 세액 공제(PTC)를 규정한 '섹션 45V(Section 45V)'를 최종 확정키로 했다. 블룸에너지와 플러그파워 등 친환경 에너지 기업이 직접적인 수혜를 입을 전망이다. 섹션 45V는 청정 수소 생산 경제성을 높이고, 탈탄소화를 목표로 하는 산업에 명확성과 유연성을 제공할 것으로 평가된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미 재무부와 국세청(IRS)은 지난 2022년 8월 발효된 인플레이션 감소법(IRA)에 포함된 섹션 45V 청정 수소 세액 공제 규정의 최종안을 발표했다. 섹션 45V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따라 청정 수소 생산에 대한 세액 공제를 차등 적용한다. 청정 수소를 생산하는 기업은 생산된 수소 1kg당 최대 3달러의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2.5~4kg이면 세액공제율은 20%, 1.5~2.5kg은 25%, 0.45~1.5kg은 33.4%, 0.45kg 미만은 100%다. 이는 오는 2033년 이전에 생산시설 건설을 시작한 프로젝트에 적용되며, 운영 첫 10년간 혜택이 주어진다. 다만, 근로자 임금·수습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프로젝트는 공제액이 킬로그램당 60센트로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정부가 데이터 산업 육성에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중국 정부는 데이터 산업을 디지털 경제 발전의 핵심 동력으로 인식하고 적극적인 투자와 정책 지원을 이어나간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国家发改委, 발개위)를 비롯한 6개 중앙 부처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데이터 산업 고수준 발전에 관한 지도 의견'을 발표했다. 지도 의견에는 데이터 수집, 저장, 유통, 활용, 보안, 인프라 구축 등 데이터 산업 전반에 걸친 종합적인 지원 방안이 담겼다. 중국 정부는 이번 지도 의견을 통해 2029년까지 데이터 산업 규모 연평균 15% 이상 성장, 데이터 혁신력 세계 최고 수준 도달 등을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중국 정부는 △산업 클러스터 조성 △산업망 구축 △관련 기업 육성 △핵심 기술력 제고 △관련 인프라 투자 확대 △데이터 규범적 유통과 거래 촉진 △데이터 안보 강화 △관련 제도 표준체계 구축 △인재 육성 △재정금융 지원 강화 등의 조치에 나선다. 중국 정부는 지도의견을 통해 "데이터 산업 발전은 디지털 경제를 구축하는 중요한 이니셔티브"라며 "국가 빅데이터 전략을 추진하고 디지털 중국 건설을 가속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경기 침체에도 유럽연합(EU) 데이터센터 시장이 인공지능(AI) 기술 발달과 클라우드 서비스 수요 증가에 힘입어 급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늘어나는 전력 수요 등은 해결해야 할 과제가 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5일 코트라 브뤼셀무역관이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유럽 데이터센터 총면적은 2015년 600만 제곱피트(ft2, 약16만8600평)에서 2024년 1000만 제곱피트(약30만2500평) 이상으로 증가했다. 유럽 데이터센터 부하 수요는 2024년 10기가와트(GW)였으며 2030년 35GW로, 전력 소비량은 같은 기간 62테라와트시(TWh)에서 150TWh로 3배 증가할 전망이다. 유럽 데이터센터 시장은 프랑크푸르트, 런던, 파리, 암스테르담, 더블린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부동산 기업 JLL은 유럽 주요 시장에서 1.7GW 규모의 데이터센터가 건설 중이며, 추가로 2.5GW 규모의 데이터센터 건설이 계획돼 있다고 전했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 매켄는 유럽 데이터센터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최소 2500억 유로(약 376조 원) 규모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데이터센터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EU와 데이터센터 기
[더구루=홍성일 기자]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쿠웨이트를 방문했다. 43년만에 이뤄진 인도 총리의 쿠웨이트 방문이다. 모디 총리의 방문을 기점으로, 양국 관계 변화가 일어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업계에 따르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지난 21일(현지시간)부터 22일까지 쿠웨이트를 방문, 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국왕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모디 총리의 쿠웨이트 방문은 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국왕의 초청으로 이뤄졌다. 현직 인도 총리가 쿠웨이트를 방문한 것은 1981년 3대 인도 총리 인디라 간디의 방문 이후 43년 만이다. 모디 총리와 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국왕은 회담을 통해 인도와 쿠웨이트의 외교관계를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격상하기로 했다. 또한 IT, 제약, 핀테크, 인프라, 보안 등 다양한 산업에서 협력 관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모디 총리는 이번 회담을 통해 에너지, 무역, 투자에 걸쳐 파트너십을 확대하게 됐다고도 전했다. 이번 회담은 인도와 쿠웨이트의 무역이 확대되면서 진행됐다. 쿠웨이트는 인도에 6번째로 많은 원유를 수출하고 있는 국가이면서, 100억 달러 이상 투자 한 주요 투자국이다. 모디 총리는 "미샬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설립한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Neuralink)가 임상 케이스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뉴럴링크는 미국 밖에서도 최초의 이식 수술을 진행하는 등 임상 범위 확대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뉴럴링크는 10일(현지시간) "전 세계적으로 뉴럴링크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 BCI) 임플란트를 이식받은 환자가 12명"이라고 발표했다. 지난 7월 9번째 이식을 마무리한 후 40여일만에 3명의 임상 참여자가 늘어난 것이다. 뉴럴링크는 올해에만 9건의 이식 수술을 진행했다. 새로 추가된 임상환자 중 2명은 유나이티드 헬스 네트워크(UHN) 산하 캐나다 토론토 웨스턴 병원에서 8월 27일, 9월 3일에 각각 이식 수술을 받았다. 뉴럴링크는 지난해 11월 캐나다에서 CAN-프라임 임상 연구의 승인을 획득하며 임상참가자 모집을 시작했다. 특히 이번 캐나다 이식 수술은 미국 밖에서 진행된 최초의 뉴럴링크 임상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나머지 한 명에 대한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다. 뉴럴링크는 캐나다 외에도 아랍에미리트(UAE), 영국 등에서 임상 참가
[더구루=길소연 기자] 이탈리아 최대 방산기업 레오나르도가 필리핀 차세대 전투기 도입사업에 참전한다. 필리핀 공군에 유럽산 전투기인 유로파이터 타이푼(Eurofighter Typhoon) 구매를 제안하며 전투기 수출 기회를 창출한다. 레오나르도는 유로파이터 타이푼이 다수 유럽 공군의 주력 전투기지만, 필리핀 방공 전력의 공백을 메우고 중국을 억제하고 전투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레오나르도의 구매 제안을 필리핀이 받아들일 경우 유럽산 전투기 수출이 동남아시장으로 확대된다. [유료기사코드] 레오나르도는 8일(현지시간) 공식 소셜미디어 엑스(X)에 필리핀 공군(PAF)의 신형 다목적 전투기 도입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유로파이터 타이푼 전투기 32대를 공식 제안했다고 밝혔다. 레오나르도 측은 "구매 제안에는 현지 지원 및 공급을 위한 기술 이전과 더불어 1급 작전 능력의 모든 범위가 포함된다"며 "현지 산업의 수익 창출을 통해 필리핀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유로파이터 타이푼 전투기의 주요 공중급유 기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유럽의 주력 전투기 '유로파이터 타이푼'은 레오나르도와 프랑스 에어버스, 영국 BAE시스템즈와 함께 만든 전투기이다. 경쟁